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4; 8(1): 25-37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4.8.1.25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Miju Kwak1 , Wonmo Koo2 , Myungseok Ryu1,2,*
Correspondence to:Myungseok Ryu
Daemyung Korean Medicine Clinic, Wonwoo b/d 3rd fl, Yangpyeong-ro, Yeongdeungpo-gu, Seoul 07208, Korea
Tel: +82-2-2671-7191
Fax: +82-2-2676-1297
E-mail: yeonbu16@gmail.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oculomotor nerve palsy associated with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flow-related disorder at cavernous portion).
Methods: We treated a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right diplopia, right eye pain, ptosis and diagnosed with right oculomotor nerve palsy, with acupotomy, acupuncture, and herbal therapy. The effect of treatment was assessed by MRD1, MRD2, photographs and videos of eyeball movement. Also brain MRI, DWI and MRA were used to identify the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and evaluate the improvement of venous flow at cavernous portion associated with right oculomotor nerve.
Results: After treatment, patient’s symptoms such as diplopia, limitation of eye movement and ptosis were improved and right eye pain, headache, dizziness were decreased. Also probable improvement of caverno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 (AVF) was found by brain MRA.
Conclus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acupotomy can be effective in symptoms such as diplopia, ptosis related to oculomotor nerve palsy with flow-related lesions at cavernous portion including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KeywordsOculomotor nerve palsy, Diplopia, Acupotomy, Case report, Dural AVF
동안신경은 제3번 뇌신경으로 내직근, 하직근, 상직근, 하사근, 상안검거근, 모양체근, 동공괄약근을 지배하여 안구의 움직임, 안구의 개합운동 및 동공의 수축을 조절한다1). 따라서 동안신경이 마비되면 내전, 하전, 상전장애 등이 관찰되며 동안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 외직근과 상사근에 의해 동공은 외하방으로 치우치게 된다2). 이러한 안구운동장애로 인해 하나의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둘로 나뉘어 보이는 복시가 발생하기도 하며, 안검하수, 동공산대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3). 동안신경마비의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4명, 60세 이상 고령 인구에서는 12.5명으로 높지는 않다4).
동안신경섬유는 중뇌를 빠져나와 해면정맥동과 상안와틈새를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5). 따라서 이러한 경로에 있는 미세 혈관 질환 등의 혈관성 인자도 동안신경마비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6,7). 동안신경마비의 양방 치료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를 우선으로 하기에, 뇌혈관성 특히 정맥동에서의 혈관 병변으로 인한 경우 코일이나 색전 물질 등을 이용한 색전술 등 기저질환에 대한 시술이나 치료를 선행한다8,9). 이 외에 일반적인 동안신경마비는 부신피질호르몬제나 비타민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염증 완화를 시도하며, 복시 치료를 위해 보톡스, 프리즘 안경 착용, 마비안을 가리는 등의 방법들을 사용한다10).
동안신경마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한 결과, 주로 사용된 경혈은 안와주위 혈자리였으며, 주로 호침, 한약 등을 활용하여 호전을 보인 소수의 증례들이 있었다2,5,10,11). 침도요법을 활용하여 동안신경마비를 치료한 논문은 1례 발표된 바 있었다4).
그러나 뇌혈관 기형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에 침도를 포함한 한의 치료를 시행하고 치료 효과를 뇌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영상 등으로 실제 검증한 증례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우측 해면정맥동 및 양측 하추체정맥동의 혈류 흐름 이상으로 해면정맥동 경막 동정맥루 의심 및 좌측추골동맥 형성부전, 우측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 등을 동반한 뇌혈관성 동안신경마비로 진단받은 환자에 대한 것이다.
본 의료진은 해부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혈자리를 선정하여 침도 및 호침을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를 통해 초기 약 3개월간 증상의 호전을 관찰하였고, Brain MRA상 뇌 정맥동 내부 혈류 흐름의 회복 및 경막동정맥루의 개선이 추측된다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침 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던 두개 내 혈액 순환이 침도치료 등을 통해 뚜렷하게 회복되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복시, 안검하수, 두통, 현훈 및 안구 동통을 호소하는 57세의 남성 환자로 170 cm, 60 kg의 보통 체형이며, 2022년 12월 30일 본원에 내원하였고, 이후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 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 6월 2일경 대명한의원에 내원하여 좌측 경추신경근병증, 우측 TOS (Thoracic Outlet Syndrome)로 진료받은 이력이 있었다. 2022년 9월에 무리하고 나서 12월 5일부터 우측 복시, 양측 안검하수, 현훈이 발생하였다. 2022년 12월 14일 이대목동병원에서 동안신경마비 진단을 받았으며, Brain MRI, DWI (Diffusion-weighted Imaging), PWI (Perfusion-weighted Imaging), MRA 등의 검사 결과 해면정맥동에 경막 동정맥루 혹은 경정맥 역류, 좌측 추골동맥의 형성부전과 우측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진단 결과를 가지고 2022년 12월 30일에 대명한의원에 내원하였으며, 우측 복시, 양측 안검하수 및 후두통, 현훈, 안통 등을 호소하였다.
추위를 약간 타며, 잘 견딘다. 더위를 약간 탄다. 손, 발이 매우 차다. 윗배와 아랫배는 보통이다. 몸 전체가 차다.
식성은 가리지 않고 좋아한다. 맛은 가리지 않는다. 음식은 채식, 육식, 및 해물을 좋아한다. 술을 매일 1병 마신다. 물은 자주 마신다.
식욕이 좋으며, 아침을 잘 먹지 않는다. 식사량은 보통이며 소화가 잘 된다.
우측 눈 위주로 땀이 많다. 소변은 잘 나오고, 자주 나오며, 시원하지 않다. 대변은 1일 1회 보며, 음주 다음날은 설사를 한다. 대변이 잘 안나오며, 성상은 된편이다.
잠들기 어려우며, 자주 깬다.
뒷목이 뻐근하다. 손이 저린다. 전신이 피로하다. 손이 잘 붓는다. 눈이 쉽게 피로하다. 눈이 아프다. 눈물이 저절로 나온다. 귀가 양쪽 모두 잘 들리지 않는다. 우측 측두통이 있다. 두통이 아침에 일어날 때 심하다.
기억력이 격감하였다.
상기 환자는 복시 및 안검하수의 호전과 안구 움직임의 개선을 위하여 2022년 12월 30일부터 2023년 4월 1일까지 총 15회 본 한의원에 내원하였고, 본 의료진은 환자에게 침도 치료, 호침 치료 및 한약치료를 포함한 한의 복합치료를 시행하였다.
2022년 12월 30일부터 2023년 4월 1일까지 내원할 때마다 동일한 치료점에 침도요법과 호침요법 중 한 가지로 1일 1회 시행하였다. 치료점은 다음과 같다.
① 후두하근 및 주변근육: 양측 승모근(trapezius muscle)(玉枕穴, BL9), 양측 소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muscle) (腦空穴, GB19), 양측 대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muscle) (腦空穴과 完骨穴의 중점), 양측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 (完骨穴, GB12), 양측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瘈脈穴, TE18), 견갑거근(견갑골 상각) (天髎穴, TE15).
② 우측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주변조직: 우측 경상돌기(styloid process)의 후연(翳風穴, TE17).
③ 경추(cervical vertebra): 양측 1번 경추 횡돌기단, 양측 2번 경추 후관절, 양측 3번 경추 후관절.
우측 안와(orbit) 주변조직: 안와 내측상방(睛明穴, BL1), 안와 상방(上明穴, 經外奇穴), 안와 외측상방(瞳子髎穴, GB1), 안와 하방(承泣穴, ST1), 안와상신경(supraorbital nerve) 피부출구점(陽白穴, GB14), 관골측두신경(zygomaticotemporal nerve) 피부출구점(絲竹空穴, TE23), 관골궁(zygomatic arch)의 하연(下關穴, ST7)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복와위 상태에서 복와위 치료점에 압진을 하고 압통이 나타나는 치료점에 의료용 마커펜으로 표시하고, 침도 치료 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피부마취 크림을 도포하였다.
② 양측 2번 경추 후관절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5 Hz 강도로 전기자극을 20분 동안 가하는 전침요법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③ 호침을 발침한 후 치료점에 포비돈으로 도포한 후 알코올로 소독하였다.
④ 치료점 중 양측 경상돌기의 후연에는 0.40 mm×40 mm 침도로 자침 및 발침하였고, 나머지 치료점에는 0.50 mm×40 mm 침도로 단자발침하는 침도요법을 시행하였다.
⑤ 모든 치료점에 부항을 각각 1개씩 붙혀서 약 30초간 습식부항요법을 시행하였고, 다시 치료점에 포비돈으로 도포한 후 알코올로 소독하였다.
⑥ 양측 2번 경추 후관절과 우측 경상돌기의 후연에 소염약침 0.8 mL를 1/3씩 나누어 자입하는 약침요법을 시행하였고, 감염방지를 위하여 치료점에 원형밴드를 부착하였다.
⑦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한 후 관골궁의 하연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SPG (sphenopalatine ganglion)를 향해 4-5 cm 정도 내측 전상방으로 자침하고, 정명혈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3 cm 정도 직자하였으며, 나머지 앙와위 치료점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15분간 유침하였다.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① 복와위 상태에서 경항부에 수건으로 감싼 80℃의 hot pack으로 15분 동안 열자극을 가하는 경피경근온열요법을 시행하였다.
② 복와위 치료점 중 양측 1번 횡돌기단, 2번 및 3번 경추 후관절에는 0.30 mm×40 mm 호침으로 자침하였고, 나머지 복와위 치료점에는 0.25 mm×30 mm 호침으로 자침하여 호침요법을 시행하였다.
③ 양측 2번 경추 후관절과 우측 경상돌기의 후연에 소염약침 0.8 mL를 1/3씩 나누어 자입하는 약침요법을 시행하였다.
④ 양측 경항부에 부항 2 cup을 각각 1개씩 붙혀서 약 30초간 습식부항요법을 시행하였다.
⑤ 양측 2번 경추 후관절에 자침된 침에 5 Hz 강도로 전기자극을 15분 동안 가하는 전침요법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⑥ 발침한 후 경항부에 5 Hz 강도로 간섭파자극을 15분 동안 가하는 경근간섭파요법(ICT)을 시행하였다.
⑦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한 후 관골궁의 하연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SPG를 향해 4-5 cm 정도 내측 전상방으로 자침하고, 정명혈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3 cm 정도 직자하였으며, 나머지 앙와위 치료점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15분간 유침하였다.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본 의료진은 2022년 12월 30일에 加味釣藤散과 加味對金飮子를 합방하여 20일분, 2023년 1월 3일에 回首散을 1일분, 2023년 1월 10일에 加味釣藤散을 1일분, 2023년 2월 7일에 活血潤燥生津飮과 釣藤散을 합방하여 20일분 처방하였다. 加味釣藤散 合 加味對金飮子와 活血潤燥生津飮 合 釣藤散의 구성은 각각 Table 1과 Table 2에 수록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1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Gamidaekumeumjahapjodeungsan(加味對金飮子合釣藤散)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Puerariae Radix (葛根)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Gypsum Fibrosum (石膏) Uncariae Ramulus et Uncus (釣鉤藤) Pinelliae Rhizoma (半夏) Liriopis Radix (麥門冬) Batryticatus Bombyx (白殭蠶) Zizyphi Spinosae Semen (酸棗仁) Poria Sclerotium (白茯苓) Ginseng Radix (人蔘) Chrysanthemi Flos (菊花) Saposhnikoviae Radix (防風) Atractylodis Rhizoma (蒼朮) Magnoliae Cortex (厚朴) Gastrodiae Rhizoma (天麻) Phyllostachyos Caulis in Taeniam (竹茹) Schizonepetae Spica (荊芥)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 12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2 g #2 2 g #2 2 g #2 |
Table 2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2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Hwalhyeolyunjosaengjineumhapjodeungsan(活血潤燥生津飮合釣藤散) | Astragali Radix (黃芪)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參) Paeoniae Radix Rubra (赤芍藥) Cnidii Rhizoma (川芎) Gastrodiae Rhizoma (天麻) Polygalae Radix (遠志) Asparagi Radix (天門冬) Liriopis Radix (麥門冬) Schisandrae Fructus (五味子) Trichosanthis semen (瓜蔞仁) Cannabis Semen (麻子仁) Rehmanniae Radix Preparata (熟地黃) Rehmanniae Radix (生地黃) Trichosanthis Radix (天花粉) Acori Graminei Rhizoma (石菖蒲) Carthami Flos (紅花) | 16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2 g #2 |
우측 복시, 양쪽 안검하수 및 후두통, 현훈, 안통 호소하였으며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여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加味釣藤散과 과다 음주로 인한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加味對金飮子를 합방하여 20일분 처방하였다.
우측 안검이 2/3 이상 닫혀 있었으며, 이에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고 경항부의 긴장을 해소하여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回首散을 1일분 처방하였다.
안검이 개방되어 있었고 안검하수가 호전되었으며, 복시 간격이 감소하였고, 현훈은 소실되었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 였다.
안검은 우측이 0.3 cm, 좌측이 0.6 cm로 개방되어 있었다. 좌측이랑 전면을 볼 때 복시가 생기고, 우측을 볼 때 복시가 소실되었다. 특정 거리를 볼 때에도 복시가 없었다. 이에 호침 치료 시행하였다.
정면, 우측, 하향 시에 복시가 존재하였으며, 이에 침도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여 두통을 완화하기 위하여 加味釣藤散을 1일분 처방하였다.
안검하수는 호전되었고, 복시 간격이 감소하였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호침 치료 시행하였다.
안검의 개방은 우측 0.8 cm, 좌측 1 cm로 측정되었다. 복시 간격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안구 움직임 동조 또한 호전되었다. 우측 두통이 있었으며 현훈이 심하였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上眼이 많이 호전되었고, 복시 간격이 감소했으며, 안구 움직임이 많이 호전되었다. 현훈은 심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 간격이 감소할수록 혼돈스러움을 호소하였으며, 두통과 현훈은 사라졌다고 하였다.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고, 심한 당뇨조절을 위해 活血潤燥生津飮, 두통과 현훈을 치료하기 위한 釣藤散을 합방하여 처방하였다.
복시는 많이 호전되었으며, 가끔 우측에 측두통이 나타난다고 호소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가 존재하며, 정좌할 때는 정상이지만 빛을 쬐거나 바깥에서는 눈부심이 있다고 하였다. 안구 움직임은 호전되었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는 실내에서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야외에서는 눈부심이 적고 복시가 있다.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최근에 일을 시작했으며, 움직일 때만 복시가 있고, 야외에서는 복시가 호전되었다. 이에 침도 치료하였다.
보행 시에만 복시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치료 경과에 따른 사진 및 치료점을 Fig. 1-7에 수록하였으며, 주요 치료 및 경과를 Table 3에 요약하였다.
Table 3 Progress of treatment
Date | Acupuncture | Acupotomy | Diplopia | Moving of eyeball | Ptosis | Headache | Dizziness | ETC | Prescription name |
---|---|---|---|---|---|---|---|---|---|
22.12.30. | ○ | Diplopia | Ptosis | Occipital headache | Dizziness | Eye pain | Eunkyo-san (釣藤散) 加味 Daekumeumja (對金飮子) (20) | ||
23.01.03. | ○ | Eye open - greater than two third | Hoesusan (回首散) (1) | ||||||
23.01.06. | ○ | Decreased gap | Eye openimprovement | Dizziness × | |||||
23.01.07. | ○ | Diplopia(left side, front side) Right side × No diplopia even at certain distances | Eyelid opening right side 0.3 cm left side 0.6 cm | ||||||
23.01.10. | ○ | Diplopia when head on, right side, downside | 釣藤散 (Diaoteng-san) | ||||||
23.01.13. | ○ | Decreased gap | Ptosis improve | ||||||
23.01.14. | ○ | ||||||||
23.01.17. | ○ | Decreased gap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Eyelid opening - both side 0.8 cm-1 cm | Headache (rightside) | Dizziness (severe) | |||
23.01.25. | ○ | Decreased gap | Upper eye improve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Dizziness (severe) | |||||
23.02.07. | ○ | As gap narrows,there is confusion | Headache × | Dizziness × | 活血潤燥生津飮 (Whal Whel Yun Zo Saeng Jin Eum) 釣藤散 (Diaoteng-san) (20) | ||||
23.02.14. | ○ | Symptoms improve | Sometimesheadache (right side) | ||||||
23.03.08. | ○ | Normal state at sit up straight Dazzling when shine in the light or at outside, diplopia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
23.03.14. | ○ | Normal in indoor Dazzling in outdoor decrease, diplopia | |||||||
23.03.22. | ○ | Diplopia when moving Symtoms improve in outdoor | Return to work | ||||||
23.04.01. | ○ | Diplopia only when going slow |
동안신경은 제 3번 뇌신경으로, 외안근(extraocular muscle)인 상직근(superior rectus muscle), 하직근(inferior rectus muscle), 내직근(medial rectus muscle), 상안검거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하사근을 지배한다. 또한 내안근(intraocular muscle)인 섬모체근(ciliary muscle)과 동공괄약근(sphincter pupillae muscle)을 지배한다. 따라서 동안신경이 마비되면 상사근과 외측직근의 작용에 의해 눈은 외측 하방으로 치우치게 되며, 눈꺼풀이 처지는 안검하수, 동공 확장 등이 발생한다. 환자에 따라서는 종종 심한 안구통이나 두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안구운동장애로 인한 복시 및 사시를 호소하기도 한다.
동안신경섬유는 중뇌의 경간와(interpeduncular fossa)에서 중뇌를 빠져나와 후대뇌동맥과 상소뇌동맥사이를 지나, 해면정맥동 측벽을 통과하고, 상안와틈새를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12-15). 따라서, 동안신경의 작용에는 동안신경이 지나가는 경로 주변의 많은 혈관이 관여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15년에 발생한 후천성 뇌신경 마비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53명의 환자 중 63명(41.2%)이 동안신경마비였으며, 원인은 혈관성(63.5%)이었고 특발성(26.9%), 외상(4.76%), 신생물(3.17%) 등이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주요 발병 원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미세 혈관 질환으로 인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보고된 바에 따르면 혈관 질환 중에서도 본 증례 환자의 의심질환이기도 한,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cavernous DAVF) 또한 동안신경마비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다.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는 해면정맥동내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작은 경막동맥 분지가 해면정맥동으로 동정맥루(du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or dural cavernous sinus fistula)를 형성하는 질환이다9,16). 뇌 내 혈액이 정맥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뇌 및 주변 구조물의 압력이 높아져 다양한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경막동정맥루의 임상증상은 평균 내원 2개월전부터 발현된 복시(9/12), 외전신경마비(9/12), 두통(6/12), 안구통(5/12), 결막부종(5/12), 안구돌출증(4/12), 안검하수(3/12), 동안신경마비(3/12) 등이 있다17).
S Miyachi 등의 연구에서는, 동안신경마비가 있는 환자에서 해면정맥동의 경막 동정맥루를 고려할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동안신경마비에 경막동정맥루가 동반될 수 있다는 연결점을 시사한다. 연구에서는 동안신경마비를 나타내는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 환자 5명을 보고하였다. 모든 환자는 내경동맥에서 유래한 단락이 있는 노인 여성이었으며, 상후방 해면정맥동을 빠르게 채운 혈액이 후방 하추체정맥동으로 빠져 나갔다. 이러한 사례에서 동안신경마비의 주된 원인은 동안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동에서 팽창된 후상방 부분의 신경 압박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18,19).
동안 신경은 해면정맥동 천장과 외측 후상돌기(lateral posterior clinoid process)를 지나가며 외측 벽의 윗부분을 지난다12-15). 따라서, 경막동정맥루에 의한 해면정맥동의 확장과 혈전은 해면정맥동의 천장부에 대하여 동안신경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Brain MRA는 이러한 경막동정맥루를 의심하고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증례도 동안신경마비 환자로 Brain MRA 검사 결과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가 강하게 의심되며, 우측 경막정맥동 및 양측 하추체정맥동의 혈액 흐름에 이상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 외에도 뇌 영상 검사 결과 허혈성 신경병증 혹은 경정맥 역류 그리고 좌측 추골동맥의 형성부전 및 우측 근위부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 등의 소견을 받았다. 따라서 본 증례의 환자는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에 따른 신경압박 및 연관되는 기타 다른 뇌혈관의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동안신경마비로 추정되는 바이다.
동안신경마비에 대한 침구치료 논문이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었는데, 대부분 안면부 아시혈 치료가 많았으며, X. Zhang 등이 침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동안신경마비 논문 중 정량적분석을 시행한 18편을 살펴본 결과 정명(睛明, BL1), 태양(太陽,EX-HN5) 등이 다빈도로 사용되었다고 보고하였다20). 또한 동안신경마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한 논문에 의하면 주로 사용된 경혈은 안와주위 혈자리였다2,5,10,11). 본 증례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혈위가 아닌 후두하근 및 승모근, 신경 주행 경로 등과 연관되는 혈위를 이용하였다. 이로써 해부 생리학적으로 뇌 혈관 흐름과 신경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의료진은 혈관성 동안신경마비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를 적용하기 위해 후두부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뇌의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안구와 관련한 근육 및 신경을 자극하여 안구 기능의 개선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증례에서의 후두부 근육 치료는 해면정맥동 순환 및 추골동맥 형성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 유효했을 것이라 추측된다.
Xu-Hui Zhang 등이 저술한 후두하 해면정맥동과 근경막연결체의 연관성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에 따르면, 후두하근과 경추 경막 사이를 연결하는 섬유질은 지주막하 공간의 음압을 변화시킴으로써 뇌척수액 흐름을 변화시키고 뇌척수액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21). 후두하근은 수축 또는 이완하면서 섬유 결합 조직 연결체를 통해 후두하 해면정맥동(SCS) 내의 혈액 순환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SCS 벽의 섬유는 SCS 내부의 정맥동 막 섬유와 연속적이므로 SCS 벽의 견인은 해당 벽뿐만 아니라 정맥동 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SCS는 뇌정맥 유출의 주요 경로인 척추정맥계의 기능적 구성요소라고 한다. SCS와 두개 내 정맥동 및 내부 경정맥 사이에 여러 연결 혈관이 발견되었으며, SCS가 뇌정맥 유출에서 중요한 중계소이다21). 이는 뇌 바깥의 후두하근에 대한 침 자극을 통해서도 전해진 자극이 SCS 내의 혈액 순환을 변화시키고, 이는 결국 잠재적으로 두개 내 혈액순환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근거가 된다. 또한 VA의 후두하 분절의 수평 부분이 SCS에 의해 완충되므로 추골동맥과 두개 내 정맥동 및 후두하근 역시 서로 영향을 미침을 추측해볼 수 있다. 즉, 이는 뇌 외부에서도 뇌 내부의 혈액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승모근, 대후두직근, 소후두직근, 두판상근, 흉쇄유돌근, 1번 경추 횡돌기, 견갑거근 등에 침도 및 호침 치료를 하여, 후두부 근육의 유착을 해소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추골동맥과 후두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한 것으로 사료된다.
예풍혈에 자침한 것은, 안면신경과 삼차신경이 연관되어 동반된 안통을 치료하고, 예풍혈 부근을 지나는 경정맥(jugular vein) 및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의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해면정맥동에서 빠져나오는 정맥 흐름을 원활히 하여 두개 내의 전반적인 혈액 순환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해면 정맥동은 상하추체 정맥동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내경정맥으로 이어지는데 위 환자의 경우 해면정맥동과 하추체 정맥동에서의 혈액 순환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였으므로 예풍혈 주변의 긴장을 해소한 것이 더욱 유효했을 것으로 보인다22,23).
C2, C3 facet joint에 자침한 것은, 삼차신경경부복합체(trigeminocervical complex)에 영향을 미치고, 동반된 면관절 기원성 두통 및 안통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정명혈에 심자한 것은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을 직접 자극하고 상안와열 주위의 결합조직을 자극하여 안구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자 한 것이다. 상명, 승읍, 동자료혈의 자침은 안구 근육 자극과 안구 내 긴장 해소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들을 직접 자극한 것으로 안구 내 긴장 해소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사죽공 및 양백, 권료혈은 삼차신경 중 안지와 관련된 신경으로서, 동반된 안통을 치료하는 데에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의료진은 이번 증례를 통해 뇌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뇌 외부에서의 침 자극 및 한약 투여 또한 혈액순환 개선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실제 신경압박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한방복합치료 이후의 MRI 진단결과를 통해 추정하였다. 신경출구점의 혈자리들이 안와 위쪽 눈확틈새로 나오는 동안신경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후두하근 및 승모근의 자극이 후두하정맥동에서 해면정맥동으로 이어지는 전체 뇌 혈액순환을 개선함으로써 동안신경에 미치는 압박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였다고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경정맥 색전술을 통해 혈류흐름을 차단하는 치료를 하지 않아도, 침도 및 침 치료를 통해 뇌 안쪽의 혈액 순환을 회복하는 데 유용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증례에서는 치료 이후 뚜렷한 자각 증상 개선과 더불어 뇌 MRA 영상에서 해면정맥동 경막 동정맥루가 호전되었음을 보여줬고, 사용한 혈위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안와 주위 혈위 뿐만이 아닌 후두부 긴장 해소 및 신경 자극을 위한 혈자리를 통한 치료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치료 전에 있었던 혈관 이상 신호가 사라짐을 통해 해면정맥동의 정맥 흐름이 MRI상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증례를 통해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 뿐만 아니라 뇌혈관 기형이나 뇌혈관 흐름 장애 및 압박으로 인한 뇌신경마비 또한 침 및 침도 치료와 한약 치료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뇌혈관 이상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로 진단받고 복시, 안구운동장애, 안검하수를 호소한 환자 1례에 대해 침도치료를 중심으로 호침, 약침, 전침, 부항, 한약 치료 등을 시행하였으며, 약 3달간 15차례의 통원 치료로 복시, 안구운동장애, 안검하수, 안구통증, 두통, 현훈 등이 완전 회복되었다.
이번 증례는 기존에 이루어진 증례 보고와는 다르게 뇌혈관 이상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로서, 동안신경마비가 치료됨에 따라 원인 질환이 될 수 있는 뇌혈관 이상 흐름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전후 MRA 촬영을 통해 치료 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MRA 진단 결과에 따르면, 치료 후 정맥 흐름 이상 신호가 사라짐에 따라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한다(Probable improvement of cavernous dural AVF with/without small resional lesion was found by brain MRA).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고 내경동정맥, 추골동맥 및 후두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였으며,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들을 직접 자극하여 안구 내 긴장을 해소하고, 삼차신경 중 안지와 관련된 신경 등을 자극하는 등 안통 치료점을 효과적으로 선정하여 침도 및 호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고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한약까지 병용하여 치료 효과를 배가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뇌혈관 질환이 동반된 뇌신경마비 질환에 혈액 순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이와 관련하여 더욱 많은 증례 보고와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4; 8(1): 25-37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4.8.1.25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Miju Kwak1 , Wonmo Koo2 , Myungseok Ryu1,2,*
1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y, Seoul, 2Daemyung Korean Medicine Clinic,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Myungseok Ryu
Daemyung Korean Medicine Clinic, Wonwoo b/d 3rd fl, Yangpyeong-ro, Yeongdeungpo-gu, Seoul 07208, Korea
Tel: +82-2-2671-7191
Fax: +82-2-2676-1297
E-mail: yeonbu16@gmail.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oculomotor nerve palsy associated with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flow-related disorder at cavernous portion).
Methods: We treated a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right diplopia, right eye pain, ptosis and diagnosed with right oculomotor nerve palsy, with acupotomy, acupuncture, and herbal therapy. The effect of treatment was assessed by MRD1, MRD2, photographs and videos of eyeball movement. Also brain MRI, DWI and MRA were used to identify the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and evaluate the improvement of venous flow at cavernous portion associated with right oculomotor nerve.
Results: After treatment, patient’s symptoms such as diplopia, limitation of eye movement and ptosis were improved and right eye pain, headache, dizziness were decreased. Also probable improvement of cavernous dural arteriovenous fistula (AVF) was found by brain MRA.
Conclus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acupotomy can be effective in symptoms such as diplopia, ptosis related to oculomotor nerve palsy with flow-related lesions at cavernous portion including intracranial vascular lesions.
Keywords: Oculomotor nerve palsy, Diplopia, Acupotomy, Case report, Dural AVF
동안신경은 제3번 뇌신경으로 내직근, 하직근, 상직근, 하사근, 상안검거근, 모양체근, 동공괄약근을 지배하여 안구의 움직임, 안구의 개합운동 및 동공의 수축을 조절한다1). 따라서 동안신경이 마비되면 내전, 하전, 상전장애 등이 관찰되며 동안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 외직근과 상사근에 의해 동공은 외하방으로 치우치게 된다2). 이러한 안구운동장애로 인해 하나의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둘로 나뉘어 보이는 복시가 발생하기도 하며, 안검하수, 동공산대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3). 동안신경마비의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4명, 60세 이상 고령 인구에서는 12.5명으로 높지는 않다4).
동안신경섬유는 중뇌를 빠져나와 해면정맥동과 상안와틈새를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5). 따라서 이러한 경로에 있는 미세 혈관 질환 등의 혈관성 인자도 동안신경마비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6,7). 동안신경마비의 양방 치료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를 우선으로 하기에, 뇌혈관성 특히 정맥동에서의 혈관 병변으로 인한 경우 코일이나 색전 물질 등을 이용한 색전술 등 기저질환에 대한 시술이나 치료를 선행한다8,9). 이 외에 일반적인 동안신경마비는 부신피질호르몬제나 비타민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염증 완화를 시도하며, 복시 치료를 위해 보톡스, 프리즘 안경 착용, 마비안을 가리는 등의 방법들을 사용한다10).
동안신경마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한 결과, 주로 사용된 경혈은 안와주위 혈자리였으며, 주로 호침, 한약 등을 활용하여 호전을 보인 소수의 증례들이 있었다2,5,10,11). 침도요법을 활용하여 동안신경마비를 치료한 논문은 1례 발표된 바 있었다4).
그러나 뇌혈관 기형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에 침도를 포함한 한의 치료를 시행하고 치료 효과를 뇌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영상 등으로 실제 검증한 증례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우측 해면정맥동 및 양측 하추체정맥동의 혈류 흐름 이상으로 해면정맥동 경막 동정맥루 의심 및 좌측추골동맥 형성부전, 우측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 등을 동반한 뇌혈관성 동안신경마비로 진단받은 환자에 대한 것이다.
본 의료진은 해부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혈자리를 선정하여 침도 및 호침을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를 통해 초기 약 3개월간 증상의 호전을 관찰하였고, Brain MRA상 뇌 정맥동 내부 혈류 흐름의 회복 및 경막동정맥루의 개선이 추측된다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침 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던 두개 내 혈액 순환이 침도치료 등을 통해 뚜렷하게 회복되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복시, 안검하수, 두통, 현훈 및 안구 동통을 호소하는 57세의 남성 환자로 170 cm, 60 kg의 보통 체형이며, 2022년 12월 30일 본원에 내원하였고, 이후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 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 6월 2일경 대명한의원에 내원하여 좌측 경추신경근병증, 우측 TOS (Thoracic Outlet Syndrome)로 진료받은 이력이 있었다. 2022년 9월에 무리하고 나서 12월 5일부터 우측 복시, 양측 안검하수, 현훈이 발생하였다. 2022년 12월 14일 이대목동병원에서 동안신경마비 진단을 받았으며, Brain MRI, DWI (Diffusion-weighted Imaging), PWI (Perfusion-weighted Imaging), MRA 등의 검사 결과 해면정맥동에 경막 동정맥루 혹은 경정맥 역류, 좌측 추골동맥의 형성부전과 우측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진단 결과를 가지고 2022년 12월 30일에 대명한의원에 내원하였으며, 우측 복시, 양측 안검하수 및 후두통, 현훈, 안통 등을 호소하였다.
추위를 약간 타며, 잘 견딘다. 더위를 약간 탄다. 손, 발이 매우 차다. 윗배와 아랫배는 보통이다. 몸 전체가 차다.
식성은 가리지 않고 좋아한다. 맛은 가리지 않는다. 음식은 채식, 육식, 및 해물을 좋아한다. 술을 매일 1병 마신다. 물은 자주 마신다.
식욕이 좋으며, 아침을 잘 먹지 않는다. 식사량은 보통이며 소화가 잘 된다.
우측 눈 위주로 땀이 많다. 소변은 잘 나오고, 자주 나오며, 시원하지 않다. 대변은 1일 1회 보며, 음주 다음날은 설사를 한다. 대변이 잘 안나오며, 성상은 된편이다.
잠들기 어려우며, 자주 깬다.
뒷목이 뻐근하다. 손이 저린다. 전신이 피로하다. 손이 잘 붓는다. 눈이 쉽게 피로하다. 눈이 아프다. 눈물이 저절로 나온다. 귀가 양쪽 모두 잘 들리지 않는다. 우측 측두통이 있다. 두통이 아침에 일어날 때 심하다.
기억력이 격감하였다.
상기 환자는 복시 및 안검하수의 호전과 안구 움직임의 개선을 위하여 2022년 12월 30일부터 2023년 4월 1일까지 총 15회 본 한의원에 내원하였고, 본 의료진은 환자에게 침도 치료, 호침 치료 및 한약치료를 포함한 한의 복합치료를 시행하였다.
2022년 12월 30일부터 2023년 4월 1일까지 내원할 때마다 동일한 치료점에 침도요법과 호침요법 중 한 가지로 1일 1회 시행하였다. 치료점은 다음과 같다.
① 후두하근 및 주변근육: 양측 승모근(trapezius muscle)(玉枕穴, BL9), 양측 소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muscle) (腦空穴, GB19), 양측 대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muscle) (腦空穴과 完骨穴의 중점), 양측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 (完骨穴, GB12), 양측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瘈脈穴, TE18), 견갑거근(견갑골 상각) (天髎穴, TE15).
② 우측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주변조직: 우측 경상돌기(styloid process)의 후연(翳風穴, TE17).
③ 경추(cervical vertebra): 양측 1번 경추 횡돌기단, 양측 2번 경추 후관절, 양측 3번 경추 후관절.
우측 안와(orbit) 주변조직: 안와 내측상방(睛明穴, BL1), 안와 상방(上明穴, 經外奇穴), 안와 외측상방(瞳子髎穴, GB1), 안와 하방(承泣穴, ST1), 안와상신경(supraorbital nerve) 피부출구점(陽白穴, GB14), 관골측두신경(zygomaticotemporal nerve) 피부출구점(絲竹空穴, TE23), 관골궁(zygomatic arch)의 하연(下關穴, ST7)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복와위 상태에서 복와위 치료점에 압진을 하고 압통이 나타나는 치료점에 의료용 마커펜으로 표시하고, 침도 치료 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피부마취 크림을 도포하였다.
② 양측 2번 경추 후관절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5 Hz 강도로 전기자극을 20분 동안 가하는 전침요법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③ 호침을 발침한 후 치료점에 포비돈으로 도포한 후 알코올로 소독하였다.
④ 치료점 중 양측 경상돌기의 후연에는 0.40 mm×40 mm 침도로 자침 및 발침하였고, 나머지 치료점에는 0.50 mm×40 mm 침도로 단자발침하는 침도요법을 시행하였다.
⑤ 모든 치료점에 부항을 각각 1개씩 붙혀서 약 30초간 습식부항요법을 시행하였고, 다시 치료점에 포비돈으로 도포한 후 알코올로 소독하였다.
⑥ 양측 2번 경추 후관절과 우측 경상돌기의 후연에 소염약침 0.8 mL를 1/3씩 나누어 자입하는 약침요법을 시행하였고, 감염방지를 위하여 치료점에 원형밴드를 부착하였다.
⑦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한 후 관골궁의 하연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SPG (sphenopalatine ganglion)를 향해 4-5 cm 정도 내측 전상방으로 자침하고, 정명혈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3 cm 정도 직자하였으며, 나머지 앙와위 치료점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15분간 유침하였다.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① 복와위 상태에서 경항부에 수건으로 감싼 80℃의 hot pack으로 15분 동안 열자극을 가하는 경피경근온열요법을 시행하였다.
② 복와위 치료점 중 양측 1번 횡돌기단, 2번 및 3번 경추 후관절에는 0.30 mm×40 mm 호침으로 자침하였고, 나머지 복와위 치료점에는 0.25 mm×30 mm 호침으로 자침하여 호침요법을 시행하였다.
③ 양측 2번 경추 후관절과 우측 경상돌기의 후연에 소염약침 0.8 mL를 1/3씩 나누어 자입하는 약침요법을 시행하였다.
④ 양측 경항부에 부항 2 cup을 각각 1개씩 붙혀서 약 30초간 습식부항요법을 시행하였다.
⑤ 양측 2번 경추 후관절에 자침된 침에 5 Hz 강도로 전기자극을 15분 동안 가하는 전침요법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⑥ 발침한 후 경항부에 5 Hz 강도로 간섭파자극을 15분 동안 가하는 경근간섭파요법(ICT)을 시행하였다.
⑦ 앙와위로 체위를 변경한 후 관골궁의 하연에 0.30 mm×60 mm 호침을 사용하여 SPG를 향해 4-5 cm 정도 내측 전상방으로 자침하고, 정명혈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3 cm 정도 직자하였으며, 나머지 앙와위 치료점에 0.25 mm×30 mm 호침을 사용하여 자침한 후 15분간 유침하였다. 동시에 250 W 강도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피적외선조사요법(IR)을 시행하였다.
본 의료진은 2022년 12월 30일에 加味釣藤散과 加味對金飮子를 합방하여 20일분, 2023년 1월 3일에 回首散을 1일분, 2023년 1월 10일에 加味釣藤散을 1일분, 2023년 2월 7일에 活血潤燥生津飮과 釣藤散을 합방하여 20일분 처방하였다. 加味釣藤散 合 加味對金飮子와 活血潤燥生津飮 合 釣藤散의 구성은 각각 Table 1과 Table 2에 수록하였다.
Table 1 .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1.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Gamidaekumeumjahapjodeungsan(加味對金飮子合釣藤散)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Puerariae Radix (葛根)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Gypsum Fibrosum (石膏) Uncariae Ramulus et Uncus (釣鉤藤) Pinelliae Rhizoma (半夏) Liriopis Radix (麥門冬) Batryticatus Bombyx (白殭蠶) Zizyphi Spinosae Semen (酸棗仁) Poria Sclerotium (白茯苓) Ginseng Radix (人蔘) Chrysanthemi Flos (菊花) Saposhnikoviae Radix (防風) Atractylodis Rhizoma (蒼朮) Magnoliae Cortex (厚朴) Gastrodiae Rhizoma (天麻) Phyllostachyos Caulis in Taeniam (竹茹) Schizonepetae Spica (荊芥)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 12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2 g #2 2 g #2 2 g #2 |
Table 2 .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2.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Hwalhyeolyunjosaengjineumhapjodeungsan(活血潤燥生津飮合釣藤散) | Astragali Radix (黃芪)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參) Paeoniae Radix Rubra (赤芍藥) Cnidii Rhizoma (川芎) Gastrodiae Rhizoma (天麻) Polygalae Radix (遠志) Asparagi Radix (天門冬) Liriopis Radix (麥門冬) Schisandrae Fructus (五味子) Trichosanthis semen (瓜蔞仁) Cannabis Semen (麻子仁) Rehmanniae Radix Preparata (熟地黃) Rehmanniae Radix (生地黃) Trichosanthis Radix (天花粉) Acori Graminei Rhizoma (石菖蒲) Carthami Flos (紅花) | 16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2 g #2 |
우측 복시, 양쪽 안검하수 및 후두통, 현훈, 안통 호소하였으며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여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加味釣藤散과 과다 음주로 인한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加味對金飮子를 합방하여 20일분 처방하였다.
우측 안검이 2/3 이상 닫혀 있었으며, 이에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고 경항부의 긴장을 해소하여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回首散을 1일분 처방하였다.
안검이 개방되어 있었고 안검하수가 호전되었으며, 복시 간격이 감소하였고, 현훈은 소실되었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 였다.
안검은 우측이 0.3 cm, 좌측이 0.6 cm로 개방되어 있었다. 좌측이랑 전면을 볼 때 복시가 생기고, 우측을 볼 때 복시가 소실되었다. 특정 거리를 볼 때에도 복시가 없었다. 이에 호침 치료 시행하였다.
정면, 우측, 하향 시에 복시가 존재하였으며, 이에 침도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여 두통을 완화하기 위하여 加味釣藤散을 1일분 처방하였다.
안검하수는 호전되었고, 복시 간격이 감소하였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호침 치료 시행하였다.
안검의 개방은 우측 0.8 cm, 좌측 1 cm로 측정되었다. 복시 간격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안구 움직임 동조 또한 호전되었다. 우측 두통이 있었으며 현훈이 심하였다. 이에 호침치료를 시행하였다.
上眼이 많이 호전되었고, 복시 간격이 감소했으며, 안구 움직임이 많이 호전되었다. 현훈은 심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 간격이 감소할수록 혼돈스러움을 호소하였으며, 두통과 현훈은 사라졌다고 하였다.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고, 심한 당뇨조절을 위해 活血潤燥生津飮, 두통과 현훈을 치료하기 위한 釣藤散을 합방하여 처방하였다.
복시는 많이 호전되었으며, 가끔 우측에 측두통이 나타난다고 호소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가 존재하며, 정좌할 때는 정상이지만 빛을 쬐거나 바깥에서는 눈부심이 있다고 하였다. 안구 움직임은 호전되었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복시는 실내에서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야외에서는 눈부심이 적고 복시가 있다.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최근에 일을 시작했으며, 움직일 때만 복시가 있고, 야외에서는 복시가 호전되었다. 이에 침도 치료하였다.
보행 시에만 복시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이에 침도치료 시행하였다.
치료 경과에 따른 사진 및 치료점을 Fig. 1-7에 수록하였으며, 주요 치료 및 경과를 Table 3에 요약하였다.
Table 3 . Progress of treatment.
Date | Acupuncture | Acupotomy | Diplopia | Moving of eyeball | Ptosis | Headache | Dizziness | ETC | Prescription name |
---|---|---|---|---|---|---|---|---|---|
22.12.30. | ○ | Diplopia | Ptosis | Occipital headache | Dizziness | Eye pain | Eunkyo-san (釣藤散) 加味 Daekumeumja (對金飮子) (20) | ||
23.01.03. | ○ | Eye open - greater than two third | Hoesusan (回首散) (1) | ||||||
23.01.06. | ○ | Decreased gap | Eye openimprovement | Dizziness × | |||||
23.01.07. | ○ | Diplopia(left side, front side) Right side × No diplopia even at certain distances | Eyelid opening right side 0.3 cm left side 0.6 cm | ||||||
23.01.10. | ○ | Diplopia when head on, right side, downside | 釣藤散 (Diaoteng-san) | ||||||
23.01.13. | ○ | Decreased gap | Ptosis improve | ||||||
23.01.14. | ○ | ||||||||
23.01.17. | ○ | Decreased gap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Eyelid opening - both side 0.8 cm-1 cm | Headache (rightside) | Dizziness (severe) | |||
23.01.25. | ○ | Decreased gap | Upper eye improve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Dizziness (severe) | |||||
23.02.07. | ○ | As gap narrows,there is confusion | Headache × | Dizziness × | 活血潤燥生津飮 (Whal Whel Yun Zo Saeng Jin Eum) 釣藤散 (Diaoteng-san) (20) | ||||
23.02.14. | ○ | Symptoms improve | Sometimesheadache (right side) | ||||||
23.03.08. | ○ | Normal state at sit up straight Dazzling when shine in the light or at outside, diplopia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
23.03.14. | ○ | Normal in indoor Dazzling in outdoor decrease, diplopia | |||||||
23.03.22. | ○ | Diplopia when moving Symtoms improve in outdoor | Return to work | ||||||
23.04.01. | ○ | Diplopia only when going slow |
동안신경은 제 3번 뇌신경으로, 외안근(extraocular muscle)인 상직근(superior rectus muscle), 하직근(inferior rectus muscle), 내직근(medial rectus muscle), 상안검거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 하사근을 지배한다. 또한 내안근(intraocular muscle)인 섬모체근(ciliary muscle)과 동공괄약근(sphincter pupillae muscle)을 지배한다. 따라서 동안신경이 마비되면 상사근과 외측직근의 작용에 의해 눈은 외측 하방으로 치우치게 되며, 눈꺼풀이 처지는 안검하수, 동공 확장 등이 발생한다. 환자에 따라서는 종종 심한 안구통이나 두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안구운동장애로 인한 복시 및 사시를 호소하기도 한다.
동안신경섬유는 중뇌의 경간와(interpeduncular fossa)에서 중뇌를 빠져나와 후대뇌동맥과 상소뇌동맥사이를 지나, 해면정맥동 측벽을 통과하고, 상안와틈새를 통해 안와로 들어간다12-15). 따라서, 동안신경의 작용에는 동안신경이 지나가는 경로 주변의 많은 혈관이 관여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15년에 발생한 후천성 뇌신경 마비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53명의 환자 중 63명(41.2%)이 동안신경마비였으며, 원인은 혈관성(63.5%)이었고 특발성(26.9%), 외상(4.76%), 신생물(3.17%) 등이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주요 발병 원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미세 혈관 질환으로 인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보고된 바에 따르면 혈관 질환 중에서도 본 증례 환자의 의심질환이기도 한,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cavernous DAVF) 또한 동안신경마비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다.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는 해면정맥동내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작은 경막동맥 분지가 해면정맥동으로 동정맥루(du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or dural cavernous sinus fistula)를 형성하는 질환이다9,16). 뇌 내 혈액이 정맥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뇌 및 주변 구조물의 압력이 높아져 다양한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경막동정맥루의 임상증상은 평균 내원 2개월전부터 발현된 복시(9/12), 외전신경마비(9/12), 두통(6/12), 안구통(5/12), 결막부종(5/12), 안구돌출증(4/12), 안검하수(3/12), 동안신경마비(3/12) 등이 있다17).
S Miyachi 등의 연구에서는, 동안신경마비가 있는 환자에서 해면정맥동의 경막 동정맥루를 고려할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동안신경마비에 경막동정맥루가 동반될 수 있다는 연결점을 시사한다. 연구에서는 동안신경마비를 나타내는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 환자 5명을 보고하였다. 모든 환자는 내경동맥에서 유래한 단락이 있는 노인 여성이었으며, 상후방 해면정맥동을 빠르게 채운 혈액이 후방 하추체정맥동으로 빠져 나갔다. 이러한 사례에서 동안신경마비의 주된 원인은 동안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동에서 팽창된 후상방 부분의 신경 압박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18,19).
동안 신경은 해면정맥동 천장과 외측 후상돌기(lateral posterior clinoid process)를 지나가며 외측 벽의 윗부분을 지난다12-15). 따라서, 경막동정맥루에 의한 해면정맥동의 확장과 혈전은 해면정맥동의 천장부에 대하여 동안신경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Brain MRA는 이러한 경막동정맥루를 의심하고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증례도 동안신경마비 환자로 Brain MRA 검사 결과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가 강하게 의심되며, 우측 경막정맥동 및 양측 하추체정맥동의 혈액 흐름에 이상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 외에도 뇌 영상 검사 결과 허혈성 신경병증 혹은 경정맥 역류 그리고 좌측 추골동맥의 형성부전 및 우측 근위부 내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 등의 소견을 받았다. 따라서 본 증례의 환자는 해면정맥동의 경막동정맥루에 따른 신경압박 및 연관되는 기타 다른 뇌혈관의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동안신경마비로 추정되는 바이다.
동안신경마비에 대한 침구치료 논문이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었는데, 대부분 안면부 아시혈 치료가 많았으며, X. Zhang 등이 침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동안신경마비 논문 중 정량적분석을 시행한 18편을 살펴본 결과 정명(睛明, BL1), 태양(太陽,EX-HN5) 등이 다빈도로 사용되었다고 보고하였다20). 또한 동안신경마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한 논문에 의하면 주로 사용된 경혈은 안와주위 혈자리였다2,5,10,11). 본 증례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혈위가 아닌 후두하근 및 승모근, 신경 주행 경로 등과 연관되는 혈위를 이용하였다. 이로써 해부 생리학적으로 뇌 혈관 흐름과 신경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의료진은 혈관성 동안신경마비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를 적용하기 위해 후두부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뇌의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안구와 관련한 근육 및 신경을 자극하여 안구 기능의 개선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증례에서의 후두부 근육 치료는 해면정맥동 순환 및 추골동맥 형성부전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 유효했을 것이라 추측된다.
Xu-Hui Zhang 등이 저술한 후두하 해면정맥동과 근경막연결체의 연관성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에 따르면, 후두하근과 경추 경막 사이를 연결하는 섬유질은 지주막하 공간의 음압을 변화시킴으로써 뇌척수액 흐름을 변화시키고 뇌척수액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21). 후두하근은 수축 또는 이완하면서 섬유 결합 조직 연결체를 통해 후두하 해면정맥동(SCS) 내의 혈액 순환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추측된다. SCS 벽의 섬유는 SCS 내부의 정맥동 막 섬유와 연속적이므로 SCS 벽의 견인은 해당 벽뿐만 아니라 정맥동 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SCS는 뇌정맥 유출의 주요 경로인 척추정맥계의 기능적 구성요소라고 한다. SCS와 두개 내 정맥동 및 내부 경정맥 사이에 여러 연결 혈관이 발견되었으며, SCS가 뇌정맥 유출에서 중요한 중계소이다21). 이는 뇌 바깥의 후두하근에 대한 침 자극을 통해서도 전해진 자극이 SCS 내의 혈액 순환을 변화시키고, 이는 결국 잠재적으로 두개 내 혈액순환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근거가 된다. 또한 VA의 후두하 분절의 수평 부분이 SCS에 의해 완충되므로 추골동맥과 두개 내 정맥동 및 후두하근 역시 서로 영향을 미침을 추측해볼 수 있다. 즉, 이는 뇌 외부에서도 뇌 내부의 혈액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승모근, 대후두직근, 소후두직근, 두판상근, 흉쇄유돌근, 1번 경추 횡돌기, 견갑거근 등에 침도 및 호침 치료를 하여, 후두부 근육의 유착을 해소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추골동맥과 후두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한 것으로 사료된다.
예풍혈에 자침한 것은, 안면신경과 삼차신경이 연관되어 동반된 안통을 치료하고, 예풍혈 부근을 지나는 경정맥(jugular vein) 및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의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해면정맥동에서 빠져나오는 정맥 흐름을 원활히 하여 두개 내의 전반적인 혈액 순환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해면 정맥동은 상하추체 정맥동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내경정맥으로 이어지는데 위 환자의 경우 해면정맥동과 하추체 정맥동에서의 혈액 순환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였으므로 예풍혈 주변의 긴장을 해소한 것이 더욱 유효했을 것으로 보인다22,23).
C2, C3 facet joint에 자침한 것은, 삼차신경경부복합체(trigeminocervical complex)에 영향을 미치고, 동반된 면관절 기원성 두통 및 안통을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정명혈에 심자한 것은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을 직접 자극하고 상안와열 주위의 결합조직을 자극하여 안구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자 한 것이다. 상명, 승읍, 동자료혈의 자침은 안구 근육 자극과 안구 내 긴장 해소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들을 직접 자극한 것으로 안구 내 긴장 해소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사죽공 및 양백, 권료혈은 삼차신경 중 안지와 관련된 신경으로서, 동반된 안통을 치료하는 데에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의료진은 이번 증례를 통해 뇌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뇌 외부에서의 침 자극 및 한약 투여 또한 혈액순환 개선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실제 신경압박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한방복합치료 이후의 MRI 진단결과를 통해 추정하였다. 신경출구점의 혈자리들이 안와 위쪽 눈확틈새로 나오는 동안신경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후두하근 및 승모근의 자극이 후두하정맥동에서 해면정맥동으로 이어지는 전체 뇌 혈액순환을 개선함으로써 동안신경에 미치는 압박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였다고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경정맥 색전술을 통해 혈류흐름을 차단하는 치료를 하지 않아도, 침도 및 침 치료를 통해 뇌 안쪽의 혈액 순환을 회복하는 데 유용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증례에서는 치료 이후 뚜렷한 자각 증상 개선과 더불어 뇌 MRA 영상에서 해면정맥동 경막 동정맥루가 호전되었음을 보여줬고, 사용한 혈위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안와 주위 혈위 뿐만이 아닌 후두부 긴장 해소 및 신경 자극을 위한 혈자리를 통한 치료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치료 전에 있었던 혈관 이상 신호가 사라짐을 통해 해면정맥동의 정맥 흐름이 MRI상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증례를 통해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 뿐만 아니라 뇌혈관 기형이나 뇌혈관 흐름 장애 및 압박으로 인한 뇌신경마비 또한 침 및 침도 치료와 한약 치료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뇌혈관 이상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로 진단받고 복시, 안구운동장애, 안검하수를 호소한 환자 1례에 대해 침도치료를 중심으로 호침, 약침, 전침, 부항, 한약 치료 등을 시행하였으며, 약 3달간 15차례의 통원 치료로 복시, 안구운동장애, 안검하수, 안구통증, 두통, 현훈 등이 완전 회복되었다.
이번 증례는 기존에 이루어진 증례 보고와는 다르게 뇌혈관 이상을 동반한 동안신경마비로서, 동안신경마비가 치료됨에 따라 원인 질환이 될 수 있는 뇌혈관 이상 흐름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전후 MRA 촬영을 통해 치료 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MRA 진단 결과에 따르면, 치료 후 정맥 흐름 이상 신호가 사라짐에 따라 해면정맥동 경막동정맥루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한다(Probable improvement of cavernous dural AVF with/without small resional lesion was found by brain MRA).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고 내경동정맥, 추골동맥 및 후두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였으며, 안구운동과 관련된 근육들을 직접 자극하여 안구 내 긴장을 해소하고, 삼차신경 중 안지와 관련된 신경 등을 자극하는 등 안통 치료점을 효과적으로 선정하여 침도 및 호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후두부 긴장을 해소하고 두개 내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한약까지 병용하여 치료 효과를 배가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뇌혈관 질환이 동반된 뇌신경마비 질환에 혈액 순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이와 관련하여 더욱 많은 증례 보고와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Table 1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1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Gamidaekumeumjahapjodeungsan(加味對金飮子合釣藤散)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Puerariae Radix (葛根)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Gypsum Fibrosum (石膏) Uncariae Ramulus et Uncus (釣鉤藤) Pinelliae Rhizoma (半夏) Liriopis Radix (麥門冬) Batryticatus Bombyx (白殭蠶) Zizyphi Spinosae Semen (酸棗仁) Poria Sclerotium (白茯苓) Ginseng Radix (人蔘) Chrysanthemi Flos (菊花) Saposhnikoviae Radix (防風) Atractylodis Rhizoma (蒼朮) Magnoliae Cortex (厚朴) Gastrodiae Rhizoma (天麻) Phyllostachyos Caulis in Taeniam (竹茹) Schizonepetae Spica (荊芥)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 12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3.2 g #2 2 g #2 2 g #2 2 g #2 |
Table 2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2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Hwalhyeolyunjosaengjineumhapjodeungsan(活血潤燥生津飮合釣藤散) | Astragali Radix (黃芪)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參) Paeoniae Radix Rubra (赤芍藥) Cnidii Rhizoma (川芎) Gastrodiae Rhizoma (天麻) Polygalae Radix (遠志) Asparagi Radix (天門冬) Liriopis Radix (麥門冬) Schisandrae Fructus (五味子) Trichosanthis semen (瓜蔞仁) Cannabis Semen (麻子仁) Rehmanniae Radix Preparata (熟地黃) Rehmanniae Radix (生地黃) Trichosanthis Radix (天花粉) Acori Graminei Rhizoma (石菖蒲) Carthami Flos (紅花) | 16 g #2 8 g #2 8 g #2 6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4 g #2 3.2 g #2 2 g #2 |
Table 3 Progress of treatment
Date | Acupuncture | Acupotomy | Diplopia | Moving of eyeball | Ptosis | Headache | Dizziness | ETC | Prescription name |
---|---|---|---|---|---|---|---|---|---|
22.12.30. | ○ | Diplopia | Ptosis | Occipital headache | Dizziness | Eye pain | Eunkyo-san (釣藤散) 加味 Daekumeumja (對金飮子) (20) | ||
23.01.03. | ○ | Eye open - greater than two third | Hoesusan (回首散) (1) | ||||||
23.01.06. | ○ | Decreased gap | Eye openimprovement | Dizziness × | |||||
23.01.07. | ○ | Diplopia(left side, front side) Right side × No diplopia even at certain distances | Eyelid opening right side 0.3 cm left side 0.6 cm | ||||||
23.01.10. | ○ | Diplopia when head on, right side, downside | 釣藤散 (Diaoteng-san) | ||||||
23.01.13. | ○ | Decreased gap | Ptosis improve | ||||||
23.01.14. | ○ | ||||||||
23.01.17. | ○ | Decreased gap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Eyelid opening - both side 0.8 cm-1 cm | Headache (rightside) | Dizziness (severe) | |||
23.01.25. | ○ | Decreased gap | Upper eye improve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Dizziness (severe) | |||||
23.02.07. | ○ | As gap narrows,there is confusion | Headache × | Dizziness × | 活血潤燥生津飮 (Whal Whel Yun Zo Saeng Jin Eum) 釣藤散 (Diaoteng-san) (20) | ||||
23.02.14. | ○ | Symptoms improve | Sometimesheadache (right side) | ||||||
23.03.08. | ○ | Normal state at sit up straight Dazzling when shine in the light or at outside, diplopia | Movement of eyeball improve | ||||||
23.03.14. | ○ | Normal in indoor Dazzling in outdoor decrease, diplopia | |||||||
23.03.22. | ○ | Diplopia when moving Symtoms improve in outdoor | Return to work | ||||||
23.04.01. | ○ | Diplopia only when going sl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