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154-159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 프로토콜

Joohyun Lee1 , Jaeseok Kim2 , Hongik Kim3 , Sungwoon Choi4,*

1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Seoul, 2Anapa Korean Medicine Clinic, Seoul, 3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Jeongeup, 4Acumedi Co., Hwasung , Korea

1대한침도의학회, 2아나파한의원, 3정읍시 보건소 고부보건지소, 4(주)아큐메디

Correspondence to:Sungwoon Choi
Acumedi Co., HwangGye-gil 34, Hwasung 18449, Korea
Tel: +82-70-4084-2423
Fax: +82-504-449-0554
E-mail: choisungwoon11@gmail.com

Received: December 1, 2023; Revised: December 7, 2023; Accepted: December 7,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safe and effective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Ultrasound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safety and accuracy of acupotomy. Out-of-plane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less invasive and shorter procedure time compared to in-plane approach, so it is suitable for acupotomy. Therefore, we introduce the protocol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with out-of-plane approach.
Methods: The procedure method was introduced along with the ultrasound image by applying ultrasound-guided acupotomy on ultrasound phantom.
Results: The finding of this paper will help to provide efficient ultrasound scan and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undergoing acupotomy. This is expected to lead to a safer and more effective approach to clinical decision-making and treatment regarding the us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Conclusion: The out-of-plane approach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cpmpared to the in-plane approach.

KeywordsAcupotomy, Ultrasonography, Protocol

침도요법은 침과 수술용 메스를 결합한 형태의 도구인 침도를 사용한 신침요법으로서 유착된 조직을 박리하거나 절개하여 연부조직을 원래의 동적 상태로 회복시키고 기혈을 통하게 하여 동통을 제거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침도는 칼날이 개방형 상처를 낼 만큼 크지는 않으므로 적은 치료점으로 개방형 수술요법의 부작용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폐합성 미세수술침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근골격계질환 및 난치성 질환에 사용된다2). 예를 들어 침도요법은 만성적인 경추통, 요추협착증, 무릎 골관절염, 동결견, 탄발지, 비골신경포착, 드퀘르뱅 증후군과 같은 질환들에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만성적인 연부조직의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3-10).

기존의 보고에 따르면 침도요법은 비가역적이거나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킬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한의사에 의해 임상현장에서 안전한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 자체가 시술자의 감각 및 환자의 느낌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환자의 자세와 시술과정에서 움직이게 되는 연부조직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며 시술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일반적인 호침치료과 비교하여 더욱 침습적인 치료에 해당하여 치료부위 이외의 연부조직, 신경, 혈관들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목표한 치료효과 이외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치료 대상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과 술기에 대한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7,11,12).

따라서 시술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각화된 침도요법으로의 발전방향은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이것의 한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이 부각되고 있다13). X-ray, CT, MRI 등의 진단기기를 통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데에 도움을 받았으나 X-ray는 연부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는 점, CT와 MRI는 침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시술할 수 없다는 점과 높은 비용이 문제가 되어 임상에서 침도요법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써 효율성을 가지지 못했다14). 그러나 초음파는 방사선이나 자기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연부조직의 병변을 진단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치료과정의 중재를 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침도요법을 보조하기에 좋은 영상진단기기라고 할 수 있다15-17). 최근 침도시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술 전 진단 및 시술과정에 초음파 유도의 응용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외에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9,17-19).

초음파 유도하 시술은 시술 시 자입 도구의 방향에 따라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평행인 in-plane approach와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수직인 out-of-plane approach로 나눌 수 있다20). 이 중 out-of-plane approach는 in-plane approach와 비교했을 때 자입된 바늘의 끝이 점의 형태로 보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입 거리가 짧아 비교적 침습이 덜하고 시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21-23). 시술 과정 중에 생기는 불필요한 침습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요법에서는 out-of-plane approach가 더욱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자의 한의 임상 현장에 적용하고, 추후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 연구에 이용하도록 그 시술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Out-of-plane approach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의 장점

침도는 자입부의 끝이 호침과 달리 날이 있는 칼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부조직에 대한 침습량이 상대적으로 크고 자극 목표 대상에 도달하기까지 정상 조직에 대해 불가피하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목표 및 주위 구조물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자입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안전한 침도 시술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Out-of-plane approach의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이점을 가진다.

첫째로 시술 과정 중의 실시간 영상 획득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자입 경로나 자극 목표 주변에 있는 신경과 혈관을 회피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침도가 원하는 깊이와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Qiaoyin Zhou는 100구의 사체를 초음파 유도군과 비유도군으로 나누어 횡수근인대에 침도술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초음파 유도군에서 신경 및 혈관 손상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고 시술의 정확성이나 횡수근인대 절개의 폭에 따른 유효성 검토 결과도 비유도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4).

둘째로 시술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입 거리 및 시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침습을 최소화할 수 있다. Out-of-plane approach는 탐촉자의 장축과 평행하게 들어가는 in-plane approach에 비해 목표 구조물과 더욱 가까운 체표에서 자입하기 때문에 목표 구조물에 도달하기까지의 자입 거리가 짧다. Lei Cao는 요골동맥관삽입술의 long-axis in-plane (LA-IP) 접근과 short-axis out-of-plane (SA-OOP) 접근의 비교에 대한 meta-analysis를 수행하였고, 두 방법 사이에 첫 시도 성공률과 전체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25).

셋째로 시술 적용부위의 제약이 적다. Out-of-plane approach의 경우 탐촉자의 접촉면과 가까운 곳에서 시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이 둥글거나 접촉면이 적을 때도 시술하기에 용이하다. 발목관절이나 손가락 관절 등 시술부위의 굴곡이 많고 접근 부위가 제한적일 때에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침도요법은 근육, 인대, 점액낭 등 전신에 분포하는 연조직을 치료 목표물로 삼기 때문에 적용부위의 제약이 적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구체적인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 프로토콜

본 연구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의 시술과정 설명에 사용된 도구들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초음파기기: 삼성메디슨사의 V7 및 CA1-7SD convex probe.

침도: Maanshan Bond Medical Instruments Co., Ltd CN의 0.60×75 mm 침도.

초음파 팬텀: 상해의료모형사의 초음파 유도 천자 훈련모델 팬텀.

프루브 커버: Fitone Latex Products Co., LTD. Guangdong의 Sterile natural latex rubber probe cover.

멸균 필름: 3M Tegaderm Film.

이상의 도구들은 일례로, 임상의가 각 임상 환경 및 치료 목표에 맞게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1) 시술 전 과정

모든 침습적인 시술이 그러하듯 시술 과정 및 시술 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균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침도술은 피부를 절개하며 자입하기 때문에 호침치료에 비에 무균 처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멸균된 침도를 사용하고, 시술에 이용되는 초음파 탐촉자의 접촉면과 피부를 소독하여 무균 처치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초음파 탐촉자는 탐촉자의 수명을 보존하고 환자의 피부와 접촉면의 무균 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멸균 필름을 이용해 그 표면을 충분히 감싸거나 프루브 커버를 씌운다. 탐촉자와 환부는 포비돈 아이오딘을 일차 도포하여 건조한 후 시술 직전에 다시 도포하여 소독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초음파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Fig. 1, 2).

Figure 1.Sterillized flim.
Figure 2.Sterile natural latex rubber probe cover.

2) 자입 및 침도 조작 시술

(1) 목표하는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고려하여 시술에 이용할 탐촉자를 선택한다.

(2) 초음파 영상 화면에 probe center line을 설정한다.

(3) 탐촉자를 체표면에 대고 치료 목표 구조물을 영상 화면상 정중선에 위치시킨다.

(4) 목표 구조물까지의 수직거리 및 깊이(cm)를 확인한다.

(5) 탐촉자의 정중선에 맞추어 약간 떨어진 곳에서 침도를 자입할 지점을 선정한다. 이 때 피부면과 침도가 이루는 각이 작을수록, 탐촉자와 침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얕은 깊이에서 초음파 영상화면에 침도의 끝이 나타나게 되므로 자입위치와 각도를 선정함에 있어서 반드시 구조물까지의 깊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6) 피부 표면을 신속히 절개하여 침도를 자입하고 목표 구조물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깊이만큼 침도의 침체가 들어가도록 하고 영상에서 고에코의 점의 형태로 나타나는 침도를 찾는다. Out-of-plane approach의 특성상 침도의 단면이 점의 형태로 초음파 영상에 나타나서 화면을 보면서 진입할 경우 침도의 끝을 놓치거나, 목표물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먼저 진입한 후 화면을 보며 확인하도록 한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침도를 미세하게 넣었다 빼며 움직이거나 탐촉자를 기울여보며 확인한다(Fig. 3, 4).

Figure 3.Ultrasound-guided acupotomy applied on ultrasound phantom.
Figure 4.Ultrasound image of acupotomy applied on phantom. White arrow; tip of acupotomy blade.

Fig. 4처럼 탐촉자의 기울기에 따라 치료목표와 침도의 영상 표현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주의하여야 한다.

(7) 탐촉자를 기울이며 침도의 끝을 찾는다. 탐촉자를 침도와 먼 쪽으로 기울여보면서 고에코의 점이 사라지는 부분을 확인하였다면 그 직전이 정확한 침도의 끝에 해당한다. 침도를 더 진행 시에는 탐촉자를 같이 기울이며 침도의 끝을 따라가야 한다.

(8) 침도의 끝이 목표 구조물에 도달하였다면 침도로 자극 또는 절개하고 필요에 따라 제삽한다.

침도요법을 비롯한 기존의 한의 침 시술은 적절한 실시간 영상 장비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 손 끝 감각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초음파 기기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의사의 초음파 사용은 기존의 체표 표지 중심 2D 침구학이 신체 내부 해부학적 구조물 중심의 3D 침구학으로 전환되는 계기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26).

침도요법은 전문가에 의해 시행될 시 안전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호침 치료에 비해 체내 조직에 대한 침습량이 크고 그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이나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7,11,12). 그렇기 때문에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으면서도 실시간으로 영상 관찰이 가능한 초음파 기기는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매우 적합하다15-17).

기존의 맹검하에 시술되는 침도요법에 비하여 초음파 유도후 침도술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정확한 목표지점의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초음파를 사용하면 조직 내부를 실시간으로 시각화 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치료자는 정확한 침의 자입지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혈관, 신경 및 기타 중요한 구조물들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술의 난이도나 성공률을 미리 가늠해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27). 두 번째는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최소한의 침습상태로 시술이 성공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탐색 가능하게 하므로 치료과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손상이 진행되더라도 자침하는 동안 초음파 이미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조치가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세 번째는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병인의 정확한 위치와 치료 지점에 대한 정확한 자침으로 목표한 구조물을 정확히 자극, 박리, 절개할 수 있으므로 목표한 생체반응을 이끌어내 더 나은 치료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것은 드퀘르뱅 증후군, 무릎 골관절염, 방아쇠 수지 증후군, 동결견, 경추신경근병증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이 맹검하 침도술이나 수압팽창술과 같은 대조군에 비해 치료효과가 좋다는 보고들이 뒷받침하고 있다12,28-31). 최근 강경호의 초음파 유도하 황색인대 침도시술에 관한 연구와 같이 국내에서도 고위험 침도 술기에 대한 시술법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존 고위험 침도 술기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도 초음파 유도는 강력한 이점이 있다32).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시술 시 자입 도구의 방향에 따라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평행인 in-plane approach와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수직인 out-of-plane approach로 나눌 수 있다20). In-plane 방식은 탐촉자의 장축과 평행하게 침도가 자입되므로 각도만 가파르지 않다면 침체의 끝을 포함한 대부분의 침도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가시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침습의 정도가 더 크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어 비만의 환자나 노인환자를 치료하는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21,33). 반면 out-of-plane 방식의 경우 탐촉자의 장축과 수직으로 침도가 자입되므로 침체 끝의 단면만 확인할 수 있어 탐촉자를 기울이거나 평행이동 하면서 침체의 끝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치료목표 지점까지 가파른 각도로 자입할 수 있어 침습의 정도가 비교적 덜 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1).

Out-of-plane 접근법은 초음파 기기의 영상구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시술의 안정성, 정확성이 in-plane 접근법에 뒤지지 않는다. 시술자의 숙련도가 뒷받침될 때 in-plane 접근법보다 불필요한 정상조직의 손상이 적고, 시술의 편의성과 속도에서 우월하여 숙련된 임상가들에게 선호되는 방법이기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out-of-plane 접근법으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을 소개하는 바이지만, 현재 다용하고 있는 모든 침도시술의 목표부위를 획일적으로 out-of-plane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시술자의 숙련도와 시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각 치료부위에 따라 맹검접근, in-plane 접근, 약침의 주사 위주로 접근하는 것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본 연구는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을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과정을 기술한 것으로 구체적인 시술부위와 치료 목표물에 따라 그 방법은 다소 차이가 있다. 추후에 여러 질환 및 치료 목표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침도시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1. Zhu HZ. Acupotomy. Beijing : Chinese Medicine Publishing Company. 1992;9-42.
  2. Lim N, Kim S, Jang E, Na W, Lim S, Shin J, et al. Case Study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 Acupotomy Therapy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J Acupunct Res. 2008;25(4):163-70.
  3. Liu F, Zhou F, Zhao M, Fang T, Chen M, Yan X. Acupotomy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7;e6197308.
    Pubmed KoreaMed CrossRef
  4. Kwon C, Yoon S, Lee B, Leem J. Acupotomy for the 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2019;98(32):e16662.
    Pubmed KoreaMed CrossRef
  5. Sun J, Zhao Y, Zhu R, Chen Q, Song M, Xue Z, et al. Acupotomy therapy for knee osteoarthritis pa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20;e2168283.
    Pubmed KoreaMed CrossRef
  6. You J, Yang F, Liu N, Tang N, Fang T, Liu F, et al. Acupotomy Therapy for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e2010816.
    Pubmed KoreaMed CrossRef
  7. Chae H, Chu H, Lee J, Kim H, Kim D, Park S, a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Treatment on Shoulder Pain: 25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J Pain Res. 2023;1367-80.
    Pubmed KoreaMed CrossRef
  8. Shen Y, Zhou Q, Sun X, Qiu Z, Jia Y, Li S, et al. The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technique for De Quervain’s disease using an acupotomy. Front Surg. 2022;9:1034716.
    Pubmed KoreaMed CrossRef
  9. Kim S, Park M, Lee S, Jung H, Park S, Park O, et al. The case report of common peroneal nerve palsy treated with musculoskeletal ultrasound-guided acupotomy therapy. J Acupunct Res. 2012;29(5):177-85.
  10. Yuk DI, Kim KM, Jeon JH, Kim YI, Kim JH. A review of trends for acupotomy. The Acupuncture. 2014;31(3):35-43.
    CrossRef
  11. Yoon S, Kwon C, Jo H, Sul J, Lee H, Won J, et al. Safety of acupotomy in a real-world setting: a prospective pilot and feasibility study. J Integr Med. 2022;20(6):514-23.
    Pubmed CrossRef
  12. Kwon C, Yoon S, Lee B. Clinic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Complement Ther Clin Pract. 2019;36:142-52.
    Pubmed CrossRef
  13. Shen Y, Zhou Q, Li S. Research progress of acupotomy treatment guided by ultrasound. China Med Herald. 2017;14:55-8.
  14. Narouze Samer N.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pain management: evidence-based medicine. Reg AnesthPain Med. 2010;35(Suppl1):S55-8.
    Pubmed CrossRef
  15. Haar GT. Ultrasound bioeffects and safety. Proc Inst Mech Eng H. 2010;224(2):363-73.
    Pubmed CrossRef
  16. Ye L, Zheng YJ, Zhu ZY. Ultrasound-guided radiofrequency neurotomy on posterior medial branch for treatment of disfunction of lumbar facet joints. Shanghai Med J. 2012;35:476-9.
  17. Zhu X, Shen Y, Liu Z, Gu P, Li S, Zhang W.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in the lumbar ligamentum flavum by acupotomy: a cadaveric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e2807901.
    Pubmed KoreaMed CrossRef
  18. Lin S, Lai C, Wang J, Lin Y, Tu Y, Yang Y, et al.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for knee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dicine. 2023;102(2):e32663.
    Pubmed KoreaMed CrossRef
  19. Oh J, Yoon J, Kim W, Kang K. A Case Report of Changes in Median Nerve Thickness Observed During Acupotomy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Focusing on Musculoskeletal Acupoint Ultrasonography. JKMST. 2022;6(2):117-22.
    CrossRef
  20. Ihnatsenka B, Boezaart AP. Ultrasound: Basic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language. Int J Shoulder Surg. 2010;4(3):55-62.
    Pubmed KoreaMed CrossRef
  21. Meiser VC, Kreysa H, Guntinas-Lichius O, Volk GF. Comparison of in-plane and out-of-plane needle insertion with vs. without needle guidanc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6;273(9):2697-705.
    Pubmed CrossRef
  22. Gao YB, Yan JH, Ma JM, Liu XN, Dong JY, Sun F, et al. Effects of long axis in-plane vs short axis out-of-plane techniques during ultrasound-guided vascular access: preliminary evidence. Am J Emerg Med. 2016;34(5):778-83.
    Pubmed CrossRef
  23. Stone MB, Moon C, Sutijono D, Blavias M. Needle tip visualization during ultrasound-guided vascular access: short-axis vs long-axis approach. Am J Emer Med. 2010;28(3):343-7.
    Pubmed CrossRef
  24. Zhou Q, Shen Y, Zhu X, Sun X, Qiu Z, Li S, et al.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in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by acupotomy: a cadaveric study. Front Surg. 2023;9:e906109.
    Pubmed KoreaMed CrossRef
  25. Cao L, Tan YT, Wei T, Li H. Comparison between the long-axis in-plane and short-axis out-of-plane approaches for ultrasound-guided arterial cannulation: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BMC anesthesiol. 2023;23(1):120.
    Pubmed KoreaMed CrossRef
  26. Lee S.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Acupuncture Treatment Led by the Use of Ultrasound Imaging Devices. JKMST. 2021;5(1):8-11.
    CrossRef
  27. Qiu Z, Jia Y, Shen Y, Zhou Q, Sun X, Zhu X, et al. Acupotomy by an ultrasound-guided technique: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Medicine. 2019;98(42):e17398.
    Pubmed KoreaMed CrossRef
  28. Pu J, Cao W, Chen Y, Fan Y, Cao Y. Ultrasound-guided injection acupotomy as a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 therapy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a randomized control trial. Ann Med. 2023;55(1):2233556.
    Pubmed KoreaMed CrossRef
  29. Xu H, Zhang Y, Wang C. Ultrasound-guided hydrodilatation of glenohumeral joint combined with acupotomy for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2022;35(5):1153-60.
    Pubmed CrossRef
  30. Liang YS, Chen LY, Cui YY, Du CX, Xu YX, Yin LH. Ultrasound-guided acupotomy for trigger fing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rthop Surg Res. 2023;18(1):678.
    Pubmed KoreaMed CrossRef
  31. Wang YH, Zhou Y, Xie YZ, Fan XH, Liang WQ, Wei X, et al. The effect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and Juanbi decoction on lumbar disc herni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ine (Baltimore). 2023;102(1):e32622.
    Pubmed KoreaMed CrossRef
  32. Kang K, Oh K, Kim J, Chu H.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at Ligament Flavum. J Acupotomy. 2023;7(1):1-6.
    CrossRef
  33. Guo S, Schwab A, Mcleod G, Corner G, Cochran S, Eisma R, et al. Echogenic regional anaesthesia needles: A comparison study in thiel cadavers. Ultrasound in med & Biol. 2012;38(4):702-7.
    CrossRef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154-159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Joohyun Lee1 , Jaeseok Kim2 , Hongik Kim3 , Sungwoon Choi4,*

1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Seoul, 2Anapa Korean Medicine Clinic, Seoul, 3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Jeongeup, 4Acumedi Co., Hwasung , Korea

Correspondence to:Sungwoon Choi
Acumedi Co., HwangGye-gil 34, Hwasung 18449, Korea
Tel: +82-70-4084-2423
Fax: +82-504-449-0554
E-mail: choisungwoon11@gmail.com

Received: December 1, 2023; Revised: December 7, 2023; Accepted: December 7,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safe and effective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Ultrasound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safety and accuracy of acupotomy. Out-of-plane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less invasive and shorter procedure time compared to in-plane approach, so it is suitable for acupotomy. Therefore, we introduce the protocol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with out-of-plane approach.
Methods: The procedure method was introduced along with the ultrasound image by applying ultrasound-guided acupotomy on ultrasound phantom.
Results: The finding of this paper will help to provide efficient ultrasound scan and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undergoing acupotomy. This is expected to lead to a safer and more effective approach to clinical decision-making and treatment regarding the us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Conclusion: The out-of-plane approach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cpmpared to the in-plane approach.

Keywords: Acupotomy, Ultrasonography, Protocol

INTRODUCTION

침도요법은 침과 수술용 메스를 결합한 형태의 도구인 침도를 사용한 신침요법으로서 유착된 조직을 박리하거나 절개하여 연부조직을 원래의 동적 상태로 회복시키고 기혈을 통하게 하여 동통을 제거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침도는 칼날이 개방형 상처를 낼 만큼 크지는 않으므로 적은 치료점으로 개방형 수술요법의 부작용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폐합성 미세수술침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근골격계질환 및 난치성 질환에 사용된다2). 예를 들어 침도요법은 만성적인 경추통, 요추협착증, 무릎 골관절염, 동결견, 탄발지, 비골신경포착, 드퀘르뱅 증후군과 같은 질환들에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만성적인 연부조직의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3-10).

기존의 보고에 따르면 침도요법은 비가역적이거나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킬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한의사에 의해 임상현장에서 안전한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 자체가 시술자의 감각 및 환자의 느낌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환자의 자세와 시술과정에서 움직이게 되는 연부조직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며 시술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일반적인 호침치료과 비교하여 더욱 침습적인 치료에 해당하여 치료부위 이외의 연부조직, 신경, 혈관들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목표한 치료효과 이외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치료 대상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과 술기에 대한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7,11,12).

따라서 시술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각화된 침도요법으로의 발전방향은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이것의 한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이 부각되고 있다13). X-ray, CT, MRI 등의 진단기기를 통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데에 도움을 받았으나 X-ray는 연부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는 점, CT와 MRI는 침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시술할 수 없다는 점과 높은 비용이 문제가 되어 임상에서 침도요법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써 효율성을 가지지 못했다14). 그러나 초음파는 방사선이나 자기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연부조직의 병변을 진단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치료과정의 중재를 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침도요법을 보조하기에 좋은 영상진단기기라고 할 수 있다15-17). 최근 침도시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술 전 진단 및 시술과정에 초음파 유도의 응용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외에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9,17-19).

초음파 유도하 시술은 시술 시 자입 도구의 방향에 따라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평행인 in-plane approach와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수직인 out-of-plane approach로 나눌 수 있다20). 이 중 out-of-plane approach는 in-plane approach와 비교했을 때 자입된 바늘의 끝이 점의 형태로 보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입 거리가 짧아 비교적 침습이 덜하고 시술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21-23). 시술 과정 중에 생기는 불필요한 침습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요법에서는 out-of-plane approach가 더욱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자의 한의 임상 현장에 적용하고, 추후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 연구에 이용하도록 그 시술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MAIN BODY

1. Out-of-plane approach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의 장점

침도는 자입부의 끝이 호침과 달리 날이 있는 칼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부조직에 대한 침습량이 상대적으로 크고 자극 목표 대상에 도달하기까지 정상 조직에 대해 불가피하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목표 및 주위 구조물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자입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안전한 침도 시술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Out-of-plane approach의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이점을 가진다.

첫째로 시술 과정 중의 실시간 영상 획득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자입 경로나 자극 목표 주변에 있는 신경과 혈관을 회피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침도가 원하는 깊이와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Qiaoyin Zhou는 100구의 사체를 초음파 유도군과 비유도군으로 나누어 횡수근인대에 침도술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초음파 유도군에서 신경 및 혈관 손상은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고 시술의 정확성이나 횡수근인대 절개의 폭에 따른 유효성 검토 결과도 비유도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4).

둘째로 시술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입 거리 및 시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침습을 최소화할 수 있다. Out-of-plane approach는 탐촉자의 장축과 평행하게 들어가는 in-plane approach에 비해 목표 구조물과 더욱 가까운 체표에서 자입하기 때문에 목표 구조물에 도달하기까지의 자입 거리가 짧다. Lei Cao는 요골동맥관삽입술의 long-axis in-plane (LA-IP) 접근과 short-axis out-of-plane (SA-OOP) 접근의 비교에 대한 meta-analysis를 수행하였고, 두 방법 사이에 첫 시도 성공률과 전체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25).

셋째로 시술 적용부위의 제약이 적다. Out-of-plane approach의 경우 탐촉자의 접촉면과 가까운 곳에서 시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이 둥글거나 접촉면이 적을 때도 시술하기에 용이하다. 발목관절이나 손가락 관절 등 시술부위의 굴곡이 많고 접근 부위가 제한적일 때에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침도요법은 근육, 인대, 점액낭 등 전신에 분포하는 연조직을 치료 목표물로 삼기 때문에 적용부위의 제약이 적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구체적인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 프로토콜

본 연구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의 시술과정 설명에 사용된 도구들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초음파기기: 삼성메디슨사의 V7 및 CA1-7SD convex probe.

침도: Maanshan Bond Medical Instruments Co., Ltd CN의 0.60×75 mm 침도.

초음파 팬텀: 상해의료모형사의 초음파 유도 천자 훈련모델 팬텀.

프루브 커버: Fitone Latex Products Co., LTD. Guangdong의 Sterile natural latex rubber probe cover.

멸균 필름: 3M Tegaderm Film.

이상의 도구들은 일례로, 임상의가 각 임상 환경 및 치료 목표에 맞게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1) 시술 전 과정

모든 침습적인 시술이 그러하듯 시술 과정 및 시술 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균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침도술은 피부를 절개하며 자입하기 때문에 호침치료에 비에 무균 처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멸균된 침도를 사용하고, 시술에 이용되는 초음파 탐촉자의 접촉면과 피부를 소독하여 무균 처치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초음파 탐촉자는 탐촉자의 수명을 보존하고 환자의 피부와 접촉면의 무균 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멸균 필름을 이용해 그 표면을 충분히 감싸거나 프루브 커버를 씌운다. 탐촉자와 환부는 포비돈 아이오딘을 일차 도포하여 건조한 후 시술 직전에 다시 도포하여 소독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초음파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Fig. 1, 2).

Figure 1. Sterillized flim.
Figure 2. Sterile natural latex rubber probe cover.

2) 자입 및 침도 조작 시술

(1) 목표하는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고려하여 시술에 이용할 탐촉자를 선택한다.

(2) 초음파 영상 화면에 probe center line을 설정한다.

(3) 탐촉자를 체표면에 대고 치료 목표 구조물을 영상 화면상 정중선에 위치시킨다.

(4) 목표 구조물까지의 수직거리 및 깊이(cm)를 확인한다.

(5) 탐촉자의 정중선에 맞추어 약간 떨어진 곳에서 침도를 자입할 지점을 선정한다. 이 때 피부면과 침도가 이루는 각이 작을수록, 탐촉자와 침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얕은 깊이에서 초음파 영상화면에 침도의 끝이 나타나게 되므로 자입위치와 각도를 선정함에 있어서 반드시 구조물까지의 깊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6) 피부 표면을 신속히 절개하여 침도를 자입하고 목표 구조물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깊이만큼 침도의 침체가 들어가도록 하고 영상에서 고에코의 점의 형태로 나타나는 침도를 찾는다. Out-of-plane approach의 특성상 침도의 단면이 점의 형태로 초음파 영상에 나타나서 화면을 보면서 진입할 경우 침도의 끝을 놓치거나, 목표물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먼저 진입한 후 화면을 보며 확인하도록 한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침도를 미세하게 넣었다 빼며 움직이거나 탐촉자를 기울여보며 확인한다(Fig. 3, 4).

Figure 3. Ultrasound-guided acupotomy applied on ultrasound phantom.
Figure 4. Ultrasound image of acupotomy applied on phantom. White arrow; tip of acupotomy blade.

Fig. 4처럼 탐촉자의 기울기에 따라 치료목표와 침도의 영상 표현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주의하여야 한다.

(7) 탐촉자를 기울이며 침도의 끝을 찾는다. 탐촉자를 침도와 먼 쪽으로 기울여보면서 고에코의 점이 사라지는 부분을 확인하였다면 그 직전이 정확한 침도의 끝에 해당한다. 침도를 더 진행 시에는 탐촉자를 같이 기울이며 침도의 끝을 따라가야 한다.

(8) 침도의 끝이 목표 구조물에 도달하였다면 침도로 자극 또는 절개하고 필요에 따라 제삽한다.

DISCUSSION AND CONCLUSION

침도요법을 비롯한 기존의 한의 침 시술은 적절한 실시간 영상 장비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 손 끝 감각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초음파 기기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의사의 초음파 사용은 기존의 체표 표지 중심 2D 침구학이 신체 내부 해부학적 구조물 중심의 3D 침구학으로 전환되는 계기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26).

침도요법은 전문가에 의해 시행될 시 안전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호침 치료에 비해 체내 조직에 대한 침습량이 크고 그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이나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7,11,12). 그렇기 때문에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으면서도 실시간으로 영상 관찰이 가능한 초음파 기기는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매우 적합하다15-17).

기존의 맹검하에 시술되는 침도요법에 비하여 초음파 유도후 침도술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정확한 목표지점의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초음파를 사용하면 조직 내부를 실시간으로 시각화 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치료자는 정확한 침의 자입지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혈관, 신경 및 기타 중요한 구조물들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술의 난이도나 성공률을 미리 가늠해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27). 두 번째는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최소한의 침습상태로 시술이 성공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탐색 가능하게 하므로 치료과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손상이 진행되더라도 자침하는 동안 초음파 이미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조치가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세 번째는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병인의 정확한 위치와 치료 지점에 대한 정확한 자침으로 목표한 구조물을 정확히 자극, 박리, 절개할 수 있으므로 목표한 생체반응을 이끌어내 더 나은 치료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것은 드퀘르뱅 증후군, 무릎 골관절염, 방아쇠 수지 증후군, 동결견, 경추신경근병증에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이 맹검하 침도술이나 수압팽창술과 같은 대조군에 비해 치료효과가 좋다는 보고들이 뒷받침하고 있다12,28-31). 최근 강경호의 초음파 유도하 황색인대 침도시술에 관한 연구와 같이 국내에서도 고위험 침도 술기에 대한 시술법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존 고위험 침도 술기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도 초음파 유도는 강력한 이점이 있다32).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은 시술 시 자입 도구의 방향에 따라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평행인 in-plane approach와 탐촉자의 장축 방향과 자입방향이 수직인 out-of-plane approach로 나눌 수 있다20). In-plane 방식은 탐촉자의 장축과 평행하게 침도가 자입되므로 각도만 가파르지 않다면 침체의 끝을 포함한 대부분의 침도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가시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침습의 정도가 더 크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어 비만의 환자나 노인환자를 치료하는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21,33). 반면 out-of-plane 방식의 경우 탐촉자의 장축과 수직으로 침도가 자입되므로 침체 끝의 단면만 확인할 수 있어 탐촉자를 기울이거나 평행이동 하면서 침체의 끝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치료목표 지점까지 가파른 각도로 자입할 수 있어 침습의 정도가 비교적 덜 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1).

Out-of-plane 접근법은 초음파 기기의 영상구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시술의 안정성, 정확성이 in-plane 접근법에 뒤지지 않는다. 시술자의 숙련도가 뒷받침될 때 in-plane 접근법보다 불필요한 정상조직의 손상이 적고, 시술의 편의성과 속도에서 우월하여 숙련된 임상가들에게 선호되는 방법이기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out-of-plane 접근법으로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을 소개하는 바이지만, 현재 다용하고 있는 모든 침도시술의 목표부위를 획일적으로 out-of-plane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시술자의 숙련도와 시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각 치료부위에 따라 맹검접근, in-plane 접근, 약침의 주사 위주로 접근하는 것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본 연구는 초음파 유도하 침도술을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과정을 기술한 것으로 구체적인 시술부위와 치료 목표물에 따라 그 방법은 다소 차이가 있다. 추후에 여러 질환 및 치료 목표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침도시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Fig 1.

Figure 1.Sterillized flim.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54-159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Fig 2.

Figure 2.Sterile natural latex rubber probe cover.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54-159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Fig 3.

Figure 3.Ultrasound-guided acupotomy applied on ultrasound phantom.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54-159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Fig 4.

Figure 4.Ultrasound image of acupotomy applied on phantom. White arrow; tip of acupotomy blad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54-159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References

  1. Zhu HZ. Acupotomy. Beijing : Chinese Medicine Publishing Company. 1992;9-42.
  2. Lim N, Kim S, Jang E, Na W, Lim S, Shin J, et al. Case Study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 Acupotomy Therapy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J Acupunct Res. 2008;25(4):163-70.
  3. Liu F, Zhou F, Zhao M, Fang T, Chen M, Yan X. Acupotomy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7;e6197308.
    Pubmed KoreaMed CrossRef
  4. Kwon C, Yoon S, Lee B, Leem J. Acupotomy for the 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2019;98(32):e16662.
    Pubmed KoreaMed CrossRef
  5. Sun J, Zhao Y, Zhu R, Chen Q, Song M, Xue Z, et al. Acupotomy therapy for knee osteoarthritis pa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20;e2168283.
    Pubmed KoreaMed CrossRef
  6. You J, Yang F, Liu N, Tang N, Fang T, Liu F, et al. Acupotomy Therapy for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e2010816.
    Pubmed KoreaMed CrossRef
  7. Chae H, Chu H, Lee J, Kim H, Kim D, Park S, a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Treatment on Shoulder Pain: 25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J Pain Res. 2023;1367-80.
    Pubmed KoreaMed CrossRef
  8. Shen Y, Zhou Q, Sun X, Qiu Z, Jia Y, Li S, et al. The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technique for De Quervain’s disease using an acupotomy. Front Surg. 2022;9:1034716.
    Pubmed KoreaMed CrossRef
  9. Kim S, Park M, Lee S, Jung H, Park S, Park O, et al. The case report of common peroneal nerve palsy treated with musculoskeletal ultrasound-guided acupotomy therapy. J Acupunct Res. 2012;29(5):177-85.
  10. Yuk DI, Kim KM, Jeon JH, Kim YI, Kim JH. A review of trends for acupotomy. The Acupuncture. 2014;31(3):35-43.
    CrossRef
  11. Yoon S, Kwon C, Jo H, Sul J, Lee H, Won J, et al. Safety of acupotomy in a real-world setting: a prospective pilot and feasibility study. J Integr Med. 2022;20(6):514-23.
    Pubmed CrossRef
  12. Kwon C, Yoon S, Lee B. Clinic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Complement Ther Clin Pract. 2019;36:142-52.
    Pubmed CrossRef
  13. Shen Y, Zhou Q, Li S. Research progress of acupotomy treatment guided by ultrasound. China Med Herald. 2017;14:55-8.
  14. Narouze Samer N.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pain management: evidence-based medicine. Reg AnesthPain Med. 2010;35(Suppl1):S55-8.
    Pubmed CrossRef
  15. Haar GT. Ultrasound bioeffects and safety. Proc Inst Mech Eng H. 2010;224(2):363-73.
    Pubmed CrossRef
  16. Ye L, Zheng YJ, Zhu ZY. Ultrasound-guided radiofrequency neurotomy on posterior medial branch for treatment of disfunction of lumbar facet joints. Shanghai Med J. 2012;35:476-9.
  17. Zhu X, Shen Y, Liu Z, Gu P, Li S, Zhang W.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in the lumbar ligamentum flavum by acupotomy: a cadaveric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e2807901.
    Pubmed KoreaMed CrossRef
  18. Lin S, Lai C, Wang J, Lin Y, Tu Y, Yang Y, et al.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for knee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dicine. 2023;102(2):e32663.
    Pubmed KoreaMed CrossRef
  19. Oh J, Yoon J, Kim W, Kang K. A Case Report of Changes in Median Nerve Thickness Observed During Acupotomy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Focusing on Musculoskeletal Acupoint Ultrasonography. JKMST. 2022;6(2):117-22.
    CrossRef
  20. Ihnatsenka B, Boezaart AP. Ultrasound: Basic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language. Int J Shoulder Surg. 2010;4(3):55-62.
    Pubmed KoreaMed CrossRef
  21. Meiser VC, Kreysa H, Guntinas-Lichius O, Volk GF. Comparison of in-plane and out-of-plane needle insertion with vs. without needle guidanc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6;273(9):2697-705.
    Pubmed CrossRef
  22. Gao YB, Yan JH, Ma JM, Liu XN, Dong JY, Sun F, et al. Effects of long axis in-plane vs short axis out-of-plane techniques during ultrasound-guided vascular access: preliminary evidence. Am J Emerg Med. 2016;34(5):778-83.
    Pubmed CrossRef
  23. Stone MB, Moon C, Sutijono D, Blavias M. Needle tip visualization during ultrasound-guided vascular access: short-axis vs long-axis approach. Am J Emer Med. 2010;28(3):343-7.
    Pubmed CrossRef
  24. Zhou Q, Shen Y, Zhu X, Sun X, Qiu Z, Li S, et al.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in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by acupotomy: a cadaveric study. Front Surg. 2023;9:e906109.
    Pubmed KoreaMed CrossRef
  25. Cao L, Tan YT, Wei T, Li H. Comparison between the long-axis in-plane and short-axis out-of-plane approaches for ultrasound-guided arterial cannulation: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BMC anesthesiol. 2023;23(1):120.
    Pubmed KoreaMed CrossRef
  26. Lee S.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Acupuncture Treatment Led by the Use of Ultrasound Imaging Devices. JKMST. 2021;5(1):8-11.
    CrossRef
  27. Qiu Z, Jia Y, Shen Y, Zhou Q, Sun X, Zhu X, et al. Acupotomy by an ultrasound-guided technique: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Medicine. 2019;98(42):e17398.
    Pubmed KoreaMed CrossRef
  28. Pu J, Cao W, Chen Y, Fan Y, Cao Y. Ultrasound-guided injection acupotomy as a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 therapy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a randomized control trial. Ann Med. 2023;55(1):2233556.
    Pubmed KoreaMed CrossRef
  29. Xu H, Zhang Y, Wang C. Ultrasound-guided hydrodilatation of glenohumeral joint combined with acupotomy for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2022;35(5):1153-60.
    Pubmed CrossRef
  30. Liang YS, Chen LY, Cui YY, Du CX, Xu YX, Yin LH. Ultrasound-guided acupotomy for trigger fing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rthop Surg Res. 2023;18(1):678.
    Pubmed KoreaMed CrossRef
  31. Wang YH, Zhou Y, Xie YZ, Fan XH, Liang WQ, Wei X, et al. The effect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and Juanbi decoction on lumbar disc herni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ine (Baltimore). 2023;102(1):e32622.
    Pubmed KoreaMed CrossRef
  32. Kang K, Oh K, Kim J, Chu H.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at Ligament Flavum. J Acupotomy. 2023;7(1):1-6.
    CrossRef
  33. Guo S, Schwab A, Mcleod G, Corner G, Cochran S, Eisma R, et al. Echogenic regional anaesthesia needles: A comparison study in thiel cadavers. Ultrasound in med & Biol. 2012;38(4):702-7.
    CrossRe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Vol.8 No.2

December 2024

pISSN 2982-9976
eISSN 2983-0273

Frequency: Semiannual

Current Issue   |   Archives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