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4; 8(1): 53-58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4.8.1.53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Hwanjun Kim1,* , Kichang Oh2 , Sehun Jung3
Correspondence to:Hwanjun Kim
Amsabarun Korean Medicine Clinic, 781 Olympic-ro, Gangdong-gu, Seoul 05241, Korea
Tel: +82-2-6951-3875
Fax: +82-2-6951-2675
E-mail: amsabarun@naver.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Insomnia is a sleep disorder that makes it difficult to fall asleep, stay asleep, or wake up early. The prevalence of insomnia is on the ri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treatment for insomnia.
Methods: In this study, the Pittsburgh Quality of Sleep Index was performed on 2 patients complaining of insomnia. It was used to diagnose insomnia and track treatment progress. Golchimdo was performed in two acupoints (Sinbaihui, Gubaihui) on scalp and thoracic intervertebral space. In addition,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cupping therapy were performed. The acupoints on the occipu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SN acupuncture method.
Results: In both patients, the PSQI-K score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after the treatment. The patient’s discomfort, including sleep duration, time to fall asleep, and arousal during sleep, improved.
Conclusion: The patient’s insomnia improved rapidly after receiving treatment, which included Golchimdo therapy. We suggest that Golchimdo therapy is effective in treating insomnia. More studies on Golchimdo mechanisms and treatment studies are needed.
KeywordsInsomnia, Golchimdo, Autonomic nervous system, Cerebrospinal fluid
불면증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와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면을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장애이다. 이는 기능 장애, 업무 성과 저하, 사회적 고립 및 피로와 같은 상당한 주간 결과를 초래한다1). 추정에 따르면, 성인의 약 10%가 불면증을 앓고 있으며,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환자의 최대 20%가 기능 장애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호소한다고 보고된다2,3).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불면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2016년 495,506명, 2020년 671,307명, 2022년 752,207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4).
불면증의 진단 기준은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 DSM-5) 등에서 정의하고 있다. DSM-5에서는 불면증을 적절한 수면의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면개시 및 유지의 어려움 또는 조기각성, 재입면난 등으로 인해 수면의 양, 질의 현저한 불만족감의 문제가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주3회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한다5). 국제수면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에서는 3개월이 넘으면 만성, 아니면 단기 불면증으로 분류한다. 만성 불면증은 1주일에 3일 이상 나타나야 하며, 단기 불면증은 빈도 기준이 없다6). 이와 같이 불면증의 진단은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에 근거하기 때문에 활동기록지(Actigraphy)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등 기술적 방법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쟁적이다. 특히, 진단 과정에서 PSG를 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7).
불면증의 진단 도구로 수면일지와 설문도 이용된다. 설문으로는 불면증심각도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표, 웹워스 졸림 척도,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믿음과 태도 설문 등이 널리 쓰인다8). 이중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는 한 달 동안의 수면에 대한 양과 깊이, 평안감 등의 수면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 도구로서 다양한 임상 상황과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의 신뢰계수는 0.69로, 적절한 신뢰계수의 기준인 0.6-0.7에 속하여 신뢰도가 양호한 편이며, 총점을 기준으로 6점 이상인 경우 ‘수면장애군’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9).
불면증의 치료는 비약물적치료와 약물치료로 나뉜다. 2019 한국판 불면증 임상진료지침10)에 따르면, 근거수준이 높고 강력히 권고되는 약물은 없으며, 비약물치료인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ognitive Nehavioral Therapy for Insom nia, CBT-I)를 우선 시행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약물 치료로는 Benzodiazepine (BZD),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BZRA) 등이 단기적으로 수면을 유도하고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melatonin,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치료는 4주 이내로 최소 용량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특히 BZD, BZRA는 내성이나, 부작용 등이 있기 때문에 감량하거나 중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8).
한의학에서 불면증은 실면(失眠), 불매(不寐), 다몽(多夢), 소매(少寐), 무면(無眠), 소수(少睡), 부득와(不得臥), 부득면(不得眠) 등의 증후로 기록되어 있으며, 6가지 변증유형(사결불수, 영혈부족, 음허내열, 심담허겁, 담연울결, 위중불화)으로 나누어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11).
2021년에 개발된 불면증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은 한약치료, 침치료(일반침, 전침, 이침 등), 명상치료 등의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11). 일반침 치료, 전침치료를 통한 불면증 치료 연구는 다수 보고 되고 있으나, 침도(針刀)치료와 관련된 증례 및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사바른한의원에 불면증을 주소증으로 내원한 환자의 침도치료 치험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는 불면장애를 가진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치료 경과를 기록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의 대상자들에게 치료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한 후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차후 연구 출판 및 대상자의 개인 정보의 보호에 대한 사항을 상세히 고지한 후 환자의 동의를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측 풍지(GB20, 風池), 견정(肩井, GB21), C1횡돌기 단자발침 후백회(百會, GV20), 신정(神庭, GV24), 인당(印堂, EX-HN3), 태양(太陽, EX-HN5), 중완(中脘, CV12), 상완(上脘, CV13), 내관(內關, PC6) 각 혈자리와 심정격에 호침 치료(한국메디컬, 0.25×40 mm, stainless steel)를 실시하였다.
이번 증례에서는 국내에선 보고된 바 없는 골침도요법(骨針刀療法)을 활용해 치료하였다. 골침도요법은 주중환(周中煥) 선생이 개발한 술기로, 침도(針刀)를 뼈에 닿도록 자입한 뒤 골망치나 진동기로 조작하는 치료법이다. 본 증례에서는 침도(Maanshan Bond Medical Instruments Co., Ltd CN, 0.60×50 mm)와 골망치, 진동기를 이용하였으며, 세부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침도를 골면까지 자입한 뒤 골망치로 초당 약 4회의 속도로 120회 이상 자극하였다(Fig. 1).
② 자침된 침도의 침체를 100 Hz의 진동기로 10초 동안 자극하였다(Fig. 1).
③ 혈위는 신백회, 구백회, T6/7, T7/8 극간 등을 사용하였다.
④ 흉추부에는 시술 후 습부항을 시술하였다.
전침 치료는 STN-330((주) StraTeK, Korea)을 사용하여 양측 태양(太陽, EX-HN5), 중완(中脘, CV12), 상완(上脘, CV13)에 주파수 3 Hz로 10분간 유침하였다.
한약치료는 증례1에서만 사용하였다. 창방을 각 20첩 20일간 1일 2회 복용하게 했다. 환자에게 처방된 창방의 구성은 Table 1로 수록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Poria cocos (茯神) | 8 g #2 |
Pinelliae Tuber (半夏) | 6 g #2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 4 g #2 |
Ponciri Fructus (枳實) | 4 g #2 |
Phyllostachys nigra (竹茹) | 4 g #2 |
Zizyphus jujuba (酸棗仁) | 4 g #2 |
Cyperi Rhizoma (香附子) | 4 g #2 |
Bupleuri Radix (柴胡) | 2 g #2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2 g #2 |
김○○은 55세 여성환자로, 10년이 넘는 불면증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복용중인 약물은 따로 없었고, 처음에는 소변 때문에 2-3번씩 깨다가 자는 패턴이 바뀌면서 점차 수면의 질이 떨어졌으며, 한 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어졌다. 2024년 3월 12일부터 2024년 4월 12까지 총 9회 한의치료를 시행하였다. 9회 치료 후 수면시간이 5-6시간까지 증가하였고 입면시간은 10-20분까지 줄었으며, 수면 중 각성 회수는 주 1회 이하로 감소했다(Table 2, 3). PSQI-K score가 절단점(5점) 이하까지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Fig. 2).
Table 2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24.03.04 (visit 1) | 24.03.19 (visit 3) | 24.03.27 (visit 5) | 24.04.12 (visit 9) |
---|---|---|---|---|
Duration of sleep | 4 hours | 5.5 hours | 5.5 hours | 5-6 hours |
Sleep latency | 30-60 minutes | 20-30 minutes | 10-20 minutes | 10-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1-2/week | 1-2/week | ~1/week | ~1/week |
PSQI-K score | 14 | 8 | 7 | 4 |
Table 3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Complaints |
---|---|
24.03.12 | Before, if I woke up once, I couldn’t fall back asleep, but now I can fall asleep |
24.03.15 | I slept for 5 hours one day, and woke up every hour the next day |
24.03.19 | I slept for about 6 hours without waking up |
24.03.22 | It takes about 20 minutes to fall back asleep |
24.03.27 | After Golchimdo therapy on the chest and back, I start feeling sleepy around 9 o’clock |
24.03.29 | I go to bed at 12:30 and wake up at 5:30 |
24.04.02 | I decide to have treatment once a week |
24.04.09 | I couldn’t sleep well. I woke up at 5, 5:30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24.04.12 |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고○○은 67세 여성환자로 3년이 넘는, 입면장애가 심한 불면증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복용중인 약물 없으며, 자식이 먼저 세상을 떠나고, 안 좋은 일이 겹치면서 불면증이 발생하였다. 2024년 3월 26일부터 2024년 4월 18일 총 7회 한의치료를 시행하였다. 5회 치료 후 수면시간이 7시간까지 증가하였고 입면시간은 15-20분까지 줄었으며, 수면 중 각성 회수는 주 1-2회로 감소했다(Table 4, 5). PSQI-K score가 절단점(5점) 이하까지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Fig. 3).
Table 4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24.03.22 (before treatment) | 24.04.02 (visit 2) | 24.04.16 (visit 5) |
---|---|---|---|
Duration of sleep | 6.5 hours | 6-7 hour | 7 hours |
Sleep latency | Over 1 hours | Over 1 hours | 15-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Over 3/week | Over 3/week | 1-2/week |
PSQI-K score | 11 | 8 | 5 |
Table 5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Complaints |
---|---|
24.03.28 | I went to bed at 10:30 and fell asleep at 11 I woke up at 5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02 | This week, I slept better than last week It didn’t take long to fall asleep |
24.04.08 | I sleep well all week. I feel bloated |
24.04.11 | I sleep for about 6 hours, wake up once, and fall back asleep quickly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
24.04.16 | I sleep for about 6 and a half hours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18 | If I lie down, I fall asleep right away The stomach feels comfortable |
불면증의 치료에 있어서 강하게 권고할 만한 약물이 없고, 인지행동치료(CBT-I) 역시 임상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불면증에 자주 사용되는 estazolam은 환자의 수면 구조를 파괴하고 환자의 기억력, 주의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는 반면, 침술은 수면 구조를 향상시키며 얕은 수면을 줄이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12). 또한 기존 연구에서 백회(CV20), 사신총(EX-HN1), 신정(GV24), 신문(HT7), 내관(PC6), 삼음교(SP6), 태충(LR3) 등의 침치료는 불면증을 개선하는데 유효함이 보고된 바 있고11), 전침치료도 부작용 없이 단기, 만성 불면증에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13,14). 이처럼 침술은 기존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통용되기 쉽기 때문에, 긍정적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두개의 증례에서 골침도, 호침, 전침 등 다양한 침치료를 사용했으며, 첫 번째 증례에서는 한약치료를 병용하였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10년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이 3회 치료 후부터 PSQI-K가 유의미하게 줄어들었으며 9회 치료 후에는 정상 범위로 들어왔다. 또한, 수면시간, 잠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 수면 중 깨는 횟수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한약 치료 없이, 침 치료 단독 요법으로 환자의 만성적인 불면증이 보다 신속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면증의 본질, 병인, 병태생리학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델은 없다. 다만, 불면증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흐름과의 연관성이고, 다른 하나는 자율신경과의 관계이다.
여러 연구를 통해 불면증과 뇌척수액 생체표지자(ex. CSF Aβ42, Aβ40)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15,16). 특히, CSF Aβ40 및 Aβ42 수준은 수면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17).
수면과 자율신경 조절은 양방향적이며 공유되는 관계이다18). 자율신경계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군과 원심성 신호는 수면-각성 시스템을 조절하는 세포군과 공간적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수면 구조와 자율신경계 협응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병리 공유 외에 양방향 관계가 존재함을 시사한다19).
불면증은 하루 종일 경험하는 과각성(Hyperarousa)상태로 생각되며, 이는 여러 모델(인지모델, 신경생리학적)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신경생리학적 모델에서, 과각성은 전신대사율, 심박수, 신경내분비 등을 통해 평가되는데12), 불면증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24시간 대사율이 높았으며, 모든 수면단계에서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였다20). 또한, 수면 장애와 관련된 빈번한 각성은 자율신경계를 손상시킬 수 있는 교감신경 긴장도를 증가시킨다21). 심각한 수면 부족과 미주신경 불균형 사이의 연관성도 입증된 바 있으며22), 불면증 환자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수면을 시작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교감신경이 과항진 되어있음이 밝혀졌다23).
본 연구진은 본 증례에서의 환자들이 모두 만성 수면장애가 있기 때문에, 그들의 자율신경이 실조된 상태이며 뇌척수액 흐름이 원활치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골침도요법을 활용해 뇌척수액 흐름을 조절하고, 항진된 교감신경을 가라앉혀 자율신경계를 정상화하여 불면증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유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두피 침치료는 자율신경계에 작용해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고 교감신경을 억제하여24)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치료의 효율성을 위해, 필자는 두부(頭部) 혈자리 중 신백회, 구백회 등의 경혈을 선혈하였는데, 각 혈자리가 가지는 추가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신백회는 머리의 가마부위(hair whorl)를 말한다. 모상건막(galea aponeurotica)은 후두골과 외후두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에서 기시해 전두근에 부착하는 건막으로, 가마는 모상건막의 고응력점이다25). 해당 부위를 송해, 자극함으로써 모상건막의 긴장을 효율적으로 풀어내고, 두부(頭部)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부의 정맥과 경정맥의 흐름 모두 뇌척수액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26), 뇌척수액의 흐름 증가는 뇌척수액 청소율에도 영향을 미친다27).
구백회는 sagital suture와 lambdoidal suture가 만나는 부위로 인자봉(人子縫)으로도 불린다. 구백회는 외후두융기 하단부에서 4횡지 위쪽에서 탐혈한다. 뇌막(Cerebral Meninges)은 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경막은 뇌막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지주막과 붙어있는 뇌막층(내부)과 두개골과 붙어있는 골막층(외부)으로 나뉜다. 골막은 두개골 안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두개골 봉합선(cranial suture)과 두개골 기저부를 따라 강하게 붙어 있다. 주중환선생은 이 때문에 cranial suture가 모이는 구백회에 골침도를 하면, 두개골 골막 자극을 통해 내부에 있는 중추신경계를 조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구백회, 신백회 등 두부의 침치료를 통해, 불면과 상관있는 CSF Aβ40 및 Aβ42 등의 생체표지자를 더 빠르게 청소할 수 있으며, 이는 불면증 치료에 유의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자는 망치자극을 통한 울림자극과 진동기를 통한 진동자극이 더 큰 자극을 주어 빠른 효과를 일으켰다고 생각한다.
방척추 공간(thoracic paravertebral space, TPVS)은 척추체(Vertebral Body)와 디스크 가쪽에 있는 공간으로, 앞쪽으로는 흉막(Pleura), 뒤쪽으로는 늑횡인대(Costotransverse Ligament), 위, 아래로는 갈비뼈(Ribs)로 둘러싸여 있다. TPVS는 지방으로 채워져있으며, 척수신경의 등쪽가지, 복부가지, 교통가지, 늑간신경 및 혈관, 흉관과 교감신경간 등이 있다28). 흉추 극간의 골침도요법은 TPVS에 울림과 진동을 주어 교감신경을 조절하고자 했다.
두 증례 모두 오래된 불면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매 치료시마다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총 증상이 빠르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골침도요법이라는 새로운 침도 조작법을 활용하였으며, 불면증과 관련된 새로운 해부학적 접근으로 선혈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아직 골침도요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는 점과 해부학적 구조물과 불면 증의 직접적인 생리·병리학적 이해가 미흡하다는 보완점이 있다. 추후에 골침도요법을 이용한 다양한 증례와 대조군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4; 8(1): 53-58
Published online June 30, 2024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4.8.1.53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Hwanjun Kim1,* , Kichang Oh2 , Sehun Jung3
1Amsabarun Korean Medical Clinic, Seoul, 2Mul-ya Public Health Subcenter, Bonghwa Public Health Center, Bonghwa, 3Kyung Hee Yongddeum Korean Medicine Clinic,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Hwanjun Kim
Amsabarun Korean Medicine Clinic, 781 Olympic-ro, Gangdong-gu, Seoul 05241, Korea
Tel: +82-2-6951-3875
Fax: +82-2-6951-2675
E-mail: amsabarun@naver.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Insomnia is a sleep disorder that makes it difficult to fall asleep, stay asleep, or wake up early. The prevalence of insomnia is on the ri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treatment for insomnia.
Methods: In this study, the Pittsburgh Quality of Sleep Index was performed on 2 patients complaining of insomnia. It was used to diagnose insomnia and track treatment progress. Golchimdo was performed in two acupoints (Sinbaihui, Gubaihui) on scalp and thoracic intervertebral space. In addition,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cupping therapy were performed. The acupoints on the occipu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SN acupuncture method.
Results: In both patients, the PSQI-K score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after the treatment. The patient’s discomfort, including sleep duration, time to fall asleep, and arousal during sleep, improved.
Conclusion: The patient’s insomnia improved rapidly after receiving treatment, which included Golchimdo therapy. We suggest that Golchimdo therapy is effective in treating insomnia. More studies on Golchimdo mechanisms and treatment studies are needed.
Keywords: Insomnia, Golchimdo, Autonomic nervous system, Cerebrospinal fluid
불면증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와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면을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장애이다. 이는 기능 장애, 업무 성과 저하, 사회적 고립 및 피로와 같은 상당한 주간 결과를 초래한다1). 추정에 따르면, 성인의 약 10%가 불면증을 앓고 있으며,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환자의 최대 20%가 기능 장애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호소한다고 보고된다2,3).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불면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2016년 495,506명, 2020년 671,307명, 2022년 752,207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4).
불면증의 진단 기준은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 DSM-5) 등에서 정의하고 있다. DSM-5에서는 불면증을 적절한 수면의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면개시 및 유지의 어려움 또는 조기각성, 재입면난 등으로 인해 수면의 양, 질의 현저한 불만족감의 문제가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주3회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한다5). 국제수면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에서는 3개월이 넘으면 만성, 아니면 단기 불면증으로 분류한다. 만성 불면증은 1주일에 3일 이상 나타나야 하며, 단기 불면증은 빈도 기준이 없다6). 이와 같이 불면증의 진단은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에 근거하기 때문에 활동기록지(Actigraphy)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등 기술적 방법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쟁적이다. 특히, 진단 과정에서 PSG를 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7).
불면증의 진단 도구로 수면일지와 설문도 이용된다. 설문으로는 불면증심각도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표, 웹워스 졸림 척도,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믿음과 태도 설문 등이 널리 쓰인다8). 이중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는 한 달 동안의 수면에 대한 양과 깊이, 평안감 등의 수면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 도구로서 다양한 임상 상황과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의 신뢰계수는 0.69로, 적절한 신뢰계수의 기준인 0.6-0.7에 속하여 신뢰도가 양호한 편이며, 총점을 기준으로 6점 이상인 경우 ‘수면장애군’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9).
불면증의 치료는 비약물적치료와 약물치료로 나뉜다. 2019 한국판 불면증 임상진료지침10)에 따르면, 근거수준이 높고 강력히 권고되는 약물은 없으며, 비약물치료인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ognitive Nehavioral Therapy for Insom nia, CBT-I)를 우선 시행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약물 치료로는 Benzodiazepine (BZD),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BZRA) 등이 단기적으로 수면을 유도하고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melatonin,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치료는 4주 이내로 최소 용량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특히 BZD, BZRA는 내성이나, 부작용 등이 있기 때문에 감량하거나 중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8).
한의학에서 불면증은 실면(失眠), 불매(不寐), 다몽(多夢), 소매(少寐), 무면(無眠), 소수(少睡), 부득와(不得臥), 부득면(不得眠) 등의 증후로 기록되어 있으며, 6가지 변증유형(사결불수, 영혈부족, 음허내열, 심담허겁, 담연울결, 위중불화)으로 나누어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11).
2021년에 개발된 불면증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은 한약치료, 침치료(일반침, 전침, 이침 등), 명상치료 등의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11). 일반침 치료, 전침치료를 통한 불면증 치료 연구는 다수 보고 되고 있으나, 침도(針刀)치료와 관련된 증례 및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사바른한의원에 불면증을 주소증으로 내원한 환자의 침도치료 치험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는 불면장애를 가진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치료 경과를 기록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의 대상자들에게 치료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한 후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차후 연구 출판 및 대상자의 개인 정보의 보호에 대한 사항을 상세히 고지한 후 환자의 동의를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측 풍지(GB20, 風池), 견정(肩井, GB21), C1횡돌기 단자발침 후백회(百會, GV20), 신정(神庭, GV24), 인당(印堂, EX-HN3), 태양(太陽, EX-HN5), 중완(中脘, CV12), 상완(上脘, CV13), 내관(內關, PC6) 각 혈자리와 심정격에 호침 치료(한국메디컬, 0.25×40 mm, stainless steel)를 실시하였다.
이번 증례에서는 국내에선 보고된 바 없는 골침도요법(骨針刀療法)을 활용해 치료하였다. 골침도요법은 주중환(周中煥) 선생이 개발한 술기로, 침도(針刀)를 뼈에 닿도록 자입한 뒤 골망치나 진동기로 조작하는 치료법이다. 본 증례에서는 침도(Maanshan Bond Medical Instruments Co., Ltd CN, 0.60×50 mm)와 골망치, 진동기를 이용하였으며, 세부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침도를 골면까지 자입한 뒤 골망치로 초당 약 4회의 속도로 120회 이상 자극하였다(Fig. 1).
② 자침된 침도의 침체를 100 Hz의 진동기로 10초 동안 자극하였다(Fig. 1).
③ 혈위는 신백회, 구백회, T6/7, T7/8 극간 등을 사용하였다.
④ 흉추부에는 시술 후 습부항을 시술하였다.
전침 치료는 STN-330((주) StraTeK, Korea)을 사용하여 양측 태양(太陽, EX-HN5), 중완(中脘, CV12), 상완(上脘, CV13)에 주파수 3 Hz로 10분간 유침하였다.
한약치료는 증례1에서만 사용하였다. 창방을 각 20첩 20일간 1일 2회 복용하게 했다. 환자에게 처방된 창방의 구성은 Table 1로 수록하였다.
Table 1 .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Poria cocos (茯神) | 8 g #2 |
Pinelliae Tuber (半夏) | 6 g #2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 4 g #2 |
Ponciri Fructus (枳實) | 4 g #2 |
Phyllostachys nigra (竹茹) | 4 g #2 |
Zizyphus jujuba (酸棗仁) | 4 g #2 |
Cyperi Rhizoma (香附子) | 4 g #2 |
Bupleuri Radix (柴胡) | 2 g #2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2 g #2 |
김○○은 55세 여성환자로, 10년이 넘는 불면증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복용중인 약물은 따로 없었고, 처음에는 소변 때문에 2-3번씩 깨다가 자는 패턴이 바뀌면서 점차 수면의 질이 떨어졌으며, 한 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어졌다. 2024년 3월 12일부터 2024년 4월 12까지 총 9회 한의치료를 시행하였다. 9회 치료 후 수면시간이 5-6시간까지 증가하였고 입면시간은 10-20분까지 줄었으며, 수면 중 각성 회수는 주 1회 이하로 감소했다(Table 2, 3). PSQI-K score가 절단점(5점) 이하까지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Fig. 2).
Table 2 .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24.03.04 (visit 1) | 24.03.19 (visit 3) | 24.03.27 (visit 5) | 24.04.12 (visit 9) |
---|---|---|---|---|
Duration of sleep | 4 hours | 5.5 hours | 5.5 hours | 5-6 hours |
Sleep latency | 30-60 minutes | 20-30 minutes | 10-20 minutes | 10-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1-2/week | 1-2/week | ~1/week | ~1/week |
PSQI-K score | 14 | 8 | 7 | 4 |
Table 3 .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Complaints |
---|---|
24.03.12 | Before, if I woke up once, I couldn’t fall back asleep, but now I can fall asleep |
24.03.15 | I slept for 5 hours one day, and woke up every hour the next day |
24.03.19 | I slept for about 6 hours without waking up |
24.03.22 | It takes about 20 minutes to fall back asleep |
24.03.27 | After Golchimdo therapy on the chest and back, I start feeling sleepy around 9 o’clock |
24.03.29 | I go to bed at 12:30 and wake up at 5:30 |
24.04.02 | I decide to have treatment once a week |
24.04.09 | I couldn’t sleep well. I woke up at 5, 5:30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24.04.12 |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고○○은 67세 여성환자로 3년이 넘는, 입면장애가 심한 불면증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복용중인 약물 없으며, 자식이 먼저 세상을 떠나고, 안 좋은 일이 겹치면서 불면증이 발생하였다. 2024년 3월 26일부터 2024년 4월 18일 총 7회 한의치료를 시행하였다. 5회 치료 후 수면시간이 7시간까지 증가하였고 입면시간은 15-20분까지 줄었으며, 수면 중 각성 회수는 주 1-2회로 감소했다(Table 4, 5). PSQI-K score가 절단점(5점) 이하까지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Fig. 3).
Table 4 .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24.03.22 (before treatment) | 24.04.02 (visit 2) | 24.04.16 (visit 5) |
---|---|---|---|
Duration of sleep | 6.5 hours | 6-7 hour | 7 hours |
Sleep latency | Over 1 hours | Over 1 hours | 15-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Over 3/week | Over 3/week | 1-2/week |
PSQI-K score | 11 | 8 | 5 |
Table 5 .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Complaints |
---|---|
24.03.28 | I went to bed at 10:30 and fell asleep at 11 I woke up at 5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02 | This week, I slept better than last week It didn’t take long to fall asleep |
24.04.08 | I sleep well all week. I feel bloated |
24.04.11 | I sleep for about 6 hours, wake up once, and fall back asleep quickly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
24.04.16 | I sleep for about 6 and a half hours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18 | If I lie down, I fall asleep right away The stomach feels comfortable |
불면증의 치료에 있어서 강하게 권고할 만한 약물이 없고, 인지행동치료(CBT-I) 역시 임상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불면증에 자주 사용되는 estazolam은 환자의 수면 구조를 파괴하고 환자의 기억력, 주의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는 반면, 침술은 수면 구조를 향상시키며 얕은 수면을 줄이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12). 또한 기존 연구에서 백회(CV20), 사신총(EX-HN1), 신정(GV24), 신문(HT7), 내관(PC6), 삼음교(SP6), 태충(LR3) 등의 침치료는 불면증을 개선하는데 유효함이 보고된 바 있고11), 전침치료도 부작용 없이 단기, 만성 불면증에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13,14). 이처럼 침술은 기존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통용되기 쉽기 때문에, 긍정적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두개의 증례에서 골침도, 호침, 전침 등 다양한 침치료를 사용했으며, 첫 번째 증례에서는 한약치료를 병용하였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10년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이 3회 치료 후부터 PSQI-K가 유의미하게 줄어들었으며 9회 치료 후에는 정상 범위로 들어왔다. 또한, 수면시간, 잠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 수면 중 깨는 횟수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한약 치료 없이, 침 치료 단독 요법으로 환자의 만성적인 불면증이 보다 신속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면증의 본질, 병인, 병태생리학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델은 없다. 다만, 불면증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흐름과의 연관성이고, 다른 하나는 자율신경과의 관계이다.
여러 연구를 통해 불면증과 뇌척수액 생체표지자(ex. CSF Aβ42, Aβ40)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15,16). 특히, CSF Aβ40 및 Aβ42 수준은 수면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17).
수면과 자율신경 조절은 양방향적이며 공유되는 관계이다18). 자율신경계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군과 원심성 신호는 수면-각성 시스템을 조절하는 세포군과 공간적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수면 구조와 자율신경계 협응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병리 공유 외에 양방향 관계가 존재함을 시사한다19).
불면증은 하루 종일 경험하는 과각성(Hyperarousa)상태로 생각되며, 이는 여러 모델(인지모델, 신경생리학적)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신경생리학적 모델에서, 과각성은 전신대사율, 심박수, 신경내분비 등을 통해 평가되는데12), 불면증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24시간 대사율이 높았으며, 모든 수면단계에서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였다20). 또한, 수면 장애와 관련된 빈번한 각성은 자율신경계를 손상시킬 수 있는 교감신경 긴장도를 증가시킨다21). 심각한 수면 부족과 미주신경 불균형 사이의 연관성도 입증된 바 있으며22), 불면증 환자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수면을 시작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교감신경이 과항진 되어있음이 밝혀졌다23).
본 연구진은 본 증례에서의 환자들이 모두 만성 수면장애가 있기 때문에, 그들의 자율신경이 실조된 상태이며 뇌척수액 흐름이 원활치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골침도요법을 활용해 뇌척수액 흐름을 조절하고, 항진된 교감신경을 가라앉혀 자율신경계를 정상화하여 불면증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유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두피 침치료는 자율신경계에 작용해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고 교감신경을 억제하여24)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치료의 효율성을 위해, 필자는 두부(頭部) 혈자리 중 신백회, 구백회 등의 경혈을 선혈하였는데, 각 혈자리가 가지는 추가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신백회는 머리의 가마부위(hair whorl)를 말한다. 모상건막(galea aponeurotica)은 후두골과 외후두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에서 기시해 전두근에 부착하는 건막으로, 가마는 모상건막의 고응력점이다25). 해당 부위를 송해, 자극함으로써 모상건막의 긴장을 효율적으로 풀어내고, 두부(頭部)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부의 정맥과 경정맥의 흐름 모두 뇌척수액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26), 뇌척수액의 흐름 증가는 뇌척수액 청소율에도 영향을 미친다27).
구백회는 sagital suture와 lambdoidal suture가 만나는 부위로 인자봉(人子縫)으로도 불린다. 구백회는 외후두융기 하단부에서 4횡지 위쪽에서 탐혈한다. 뇌막(Cerebral Meninges)은 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경막은 뇌막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지주막과 붙어있는 뇌막층(내부)과 두개골과 붙어있는 골막층(외부)으로 나뉜다. 골막은 두개골 안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두개골 봉합선(cranial suture)과 두개골 기저부를 따라 강하게 붙어 있다. 주중환선생은 이 때문에 cranial suture가 모이는 구백회에 골침도를 하면, 두개골 골막 자극을 통해 내부에 있는 중추신경계를 조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구백회, 신백회 등 두부의 침치료를 통해, 불면과 상관있는 CSF Aβ40 및 Aβ42 등의 생체표지자를 더 빠르게 청소할 수 있으며, 이는 불면증 치료에 유의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자는 망치자극을 통한 울림자극과 진동기를 통한 진동자극이 더 큰 자극을 주어 빠른 효과를 일으켰다고 생각한다.
방척추 공간(thoracic paravertebral space, TPVS)은 척추체(Vertebral Body)와 디스크 가쪽에 있는 공간으로, 앞쪽으로는 흉막(Pleura), 뒤쪽으로는 늑횡인대(Costotransverse Ligament), 위, 아래로는 갈비뼈(Ribs)로 둘러싸여 있다. TPVS는 지방으로 채워져있으며, 척수신경의 등쪽가지, 복부가지, 교통가지, 늑간신경 및 혈관, 흉관과 교감신경간 등이 있다28). 흉추 극간의 골침도요법은 TPVS에 울림과 진동을 주어 교감신경을 조절하고자 했다.
두 증례 모두 오래된 불면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매 치료시마다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총 증상이 빠르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골침도요법이라는 새로운 침도 조작법을 활용하였으며, 불면증과 관련된 새로운 해부학적 접근으로 선혈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아직 골침도요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되어있지 않다는 점과 해부학적 구조물과 불면 증의 직접적인 생리·병리학적 이해가 미흡하다는 보완점이 있다. 추후에 골침도요법을 이용한 다양한 증례와 대조군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Table 1 Composition of patient’s herbal medicine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Poria cocos (茯神) | 8 g #2 |
Pinelliae Tuber (半夏) | 6 g #2 |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 4 g #2 |
Ponciri Fructus (枳實) | 4 g #2 |
Phyllostachys nigra (竹茹) | 4 g #2 |
Zizyphus jujuba (酸棗仁) | 4 g #2 |
Cyperi Rhizoma (香附子) | 4 g #2 |
Bupleuri Radix (柴胡) | 2 g #2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2 g #2 |
Table 2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24.03.04 (visit 1) | 24.03.19 (visit 3) | 24.03.27 (visit 5) | 24.04.12 (visit 9) |
---|---|---|---|---|
Duration of sleep | 4 hours | 5.5 hours | 5.5 hours | 5-6 hours |
Sleep latency | 30-60 minutes | 20-30 minutes | 10-20 minutes | 10-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1-2/week | 1-2/week | ~1/week | ~1/week |
PSQI-K score | 14 | 8 | 7 | 4 |
Table 3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1)
Date | Complaints |
---|---|
24.03.12 | Before, if I woke up once, I couldn’t fall back asleep, but now I can fall asleep |
24.03.15 | I slept for 5 hours one day, and woke up every hour the next day |
24.03.19 | I slept for about 6 hours without waking up |
24.03.22 | It takes about 20 minutes to fall back asleep |
24.03.27 | After Golchimdo therapy on the chest and back, I start feeling sleepy around 9 o’clock |
24.03.29 | I go to bed at 12:30 and wake up at 5:30 |
24.04.02 | I decide to have treatment once a week |
24.04.09 | I couldn’t sleep well. I woke up at 5, 5:30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24.04.12 | It takes 10-20 minutes to fall asleep I don’t wake up in the middle |
Table 4 Changing of symptom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24.03.22 (before treatment) | 24.04.02 (visit 2) | 24.04.16 (visit 5) |
---|---|---|---|
Duration of sleep | 6.5 hours | 6-7 hour | 7 hours |
Sleep latency | Over 1 hours | Over 1 hours | 15-20 minutes |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the night | Over 3/week | Over 3/week | 1-2/week |
PSQI-K score | 11 | 8 | 5 |
Table 5 Changing of complaints during treatment (patient 2)
Date | Complaints |
---|---|
24.03.28 | I went to bed at 10:30 and fell asleep at 11 I woke up at 5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02 | This week, I slept better than last week It didn’t take long to fall asleep |
24.04.08 | I sleep well all week. I feel bloated |
24.04.11 | I sleep for about 6 hours, wake up once, and fall back asleep quickly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
24.04.16 | I sleep for about 6 and a half hours I fall asleep within 15 minutes The stomach feels more comfortable than before |
24.04.18 | If I lie down, I fall asleep right away The stomach feels comforta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