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202-207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202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Jonghwa Park1,a , Hongik Kim2,a,*
Correspondence to:Hongik Kim
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553-3 Yeongju-ro, Gobu-myeon, Jeongeup 56151, Korea
Tel: +82-63-539-6588
Fax: +82-63-539-6531
E-mail: kimhongik561@naver.com
a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acupotomy on lingering frontal and lateral shoulder pain.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at the clinic, but there was no report in Korea and there were only a few of reports in western medicine.
Methods: Two patients with persisting frontal and lateral shoulder pain was treated with acupotomy.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Results: The NRS score of a patient improved from 7 to 2, and another patient improved from 9 to 1.5.
Conclusion: Acupotomy could be effective on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
KeywordsSupraclavicular nerve, Acupotomy, Acupuncture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은 경추 3번과 4번에서 나오는 경신경총의 피부신경이다. 이 신경은 3, 4번 경추 신경절에서 나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후연으로 내려온다. 그 후 쇄골에서는 내측지(Medial branch), 중간지(Intermediate branch), 외측지(Lateral branch)로 나뉘게 되어 쇄골 위 깊은 근막을 관통한다. 내측지는 흉쇄유돌근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쇄골에 도달하며, 그후 광경근을 통과하여 흉골고랑(sternal notch)에 도달하여 감각을 제공한다. 중간지는 흉쇄유돌근의 후면 가장자리 뒤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쇄골의 내측 3분의 1 지점을 통과하고 광경근을 지나 가슴의 전상부의 피부감각을 제공한다. 외측지는 승모근의 근육 앞면을 따라 이동하여 견봉까지 주행하며 대흉근과 삼각근 아래 및 두번째 갈비뼈와 어깨뼈 가시(spine of scapula)의 피부감각을 담당한다(Fig. 1)1-3).
정리해보면 쇄골상신경은 쇄골로 뻗어나가 쇄골, 전내측 어깨, 근위 흉부(proximal chet)의 감각을 담당하고 따라서 쇄골상신경의 손상 및 포착은 이상 감각, 신경과 관련한 피부감각분포 이상, 감각과민과 비슷한 국소 통증으로 느껴질 수 있다4-6).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의 신경 포착은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쇄골중앙부에서 어깨 앞쪽으로 마비감과 압통 그리고 쇄골과 가슴 상부로 퍼지는 통증(심장 통증과 유사)을 만들고, 이는 정침(RNS Acupuncture)의 진단 기법인 pinch roll test와 압통점 검사로 진단 할 수 있다.
Pinch roll test 부위는 쇄골상신경이 흉쇄유돌근을 빠져나오는 부위와 승모근 상부 섬유부위, 사각근 종지부와 견봉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할 수 있다. 압통점 검사는 경추 면관절 3, 4번, 경추 횡돌기 3, 4번,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사각근 종지부와 견봉부위, 흉쇄유돌근 쇄골지 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이다.
양방학적 치료는 쇄골하동맥 뒤쪽의 상완 신경총 덮개 안으로 주사하여 신경을 차단하는 방식이나 외과적 수술이 있으나 신경 주행경로에 직접 근접하여 처치하는 것이기에 동맥 천공, 기흉, 반회신경(recurrent laryngeal) 및 횡격신경(phrenic nerve) 마비, 영구적 신경손상 등의 부작용들이 있다7).
국내에서는 아직 쇄골상신경 포착에 대한 임상 증례보고가 없고 외국에서도 아직 증례보고의 총 건수가 많지 않아 침도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을 주소로 내원한 2명의 환자에게 정침(RSN acupuncture)을 기반으로 하여 침도 치료를 시행하고 효과를 얻은 바 후향적으로 진료 차트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캐나다 밴쿠버에 소재한 본 의원에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2명을 경과 관찰 하였다.
상기 환자는 2023년 과거력으로는 후각상실이 있던 52세 환자로, 2023년 9월 초에 발생한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9월 15일 힐링한의원에 내원하였다. 본원에서는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관찰을 진행하였다.
2주 전부터 갑자기 왼쪽 어깨 뒤쪽, 옆쪽 그리고 앞쪽이 아파서 물리치료와 마사지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 호전이 없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 같아 예전 COVID 후유증 중의 하나인 후각상실을 치료 받았던 기억이 나서 내원하게 되었음.
하루에도 몇번씩 어깨 위, 옆 그리고 가슴 위 부위가 아파서 손으로 계속 마사지 한다고 이야기 함. 통증의 위치와 호소하는 부위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의심되어 하기 테스트 실시 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pinch roll & 압통점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쇄골상신경 포착 증후군으로 확진함.
1)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2)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6, 승모근 상부 섬유, 횡돌기 C3 & C4, 쇄골 위 외측 1/3 지점, 후사각근 종지 부위,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자침은 침도(0.35×40) 치료, 호침(0.3×40) 치료와 전침 치료를 하였으나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침도 치료를 하였다(Fig. 2).
자침부위는 Facet joints C3 & C6 (직자), Transverse process C3 & C4 (직자), 승모근 상부 섬유의 마진 부위(견봉 방향으로), 쇄골 위 외측 1/3 지점(바깥 방향으로 자침),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쇄골 밑쪽 방향으로)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를 피부를 잡은 상태에서 하사자 하였다(Fig. 3).
Sep 15, 2023 – NRS 9, 9월 초부터 증상 발생되어 어깨 위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와 쇄골 위 외측 1/3 부위,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의 통증을 호소.
(–) 경추 6종 테스트.
(+)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6, 승모근 상부 섬유, C3 to C5 횡돌기,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Sep 18, 2023 – NRS 7,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많이 좋아짐. 하지만,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는 약간 좋아졌다고 함.
Sep 21, 2023 – NRS 4,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거의 사라짐.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통증은 지난번 보다 좋으나 아직 통증이 느껴진다고 함.
Sep 25, 2023 – NRS 2-3,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없음.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는 통증이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함.
Sep 29, 2023 – NRS 2,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통증은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조금 더 편해졌다고 함.
Oct 4, 2023 – NRS 1.5-2, 지난번 보다는 조금 좋아졌으나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lingering pain,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을 보임.
Oct 11, 2023– NRS 1-2, 대흉근 상부 부위와 사각근 부위에서 lingering pain,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
Oct 19, 2023– NRS 2-3,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pinch roll test시 약간 아프다고 함, 사각근 부위의 가벼운 통증 호소, 아직도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Fig. 4).
상기 환자는 30세 남자 환자로, 2023년 5월 초에 발생한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8월 22일 힐링한의원에 내원하였다. 본원에서는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관찰을 진행하였다.
2023년 5월부터 오른쪽 소흉근 부위가 아파서 마사지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 호전이 없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 같아 구글 검색 후 내원하게 되었음.
하루에도 몇번씩 소흉근 부위가 아파서 손으로 마사지 한다고 함. 통증의 위치와 호소하는 부위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의심되어 하기 테스트 실시 후 확진함.
(–) 경추 6종 테스트(음성).
(+)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4, 승모근 상부 섬유, C3 to C5 횡돌기,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자침은 침도(0.35×40)와 호침(0.3×40)을 사용하였으나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침도 치료를 하였다.
자침부위는 Facet joints C3 & C4 (직자), 횡돌기기 C3 & C4 (직자), 승모근 상부 섬유의 마진 부위(견봉 방향으로), 쇄골 위 외측 1/3 지점(바깥 방향으로 자침),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쇄골 밑쪽 방향으로)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를 피부를 잡은 상태에서 하사자 하였다.
Aug 22, 2023 – NRS 9, 소흉근 기시부와 종지부 부위만 침도 치료 함. 환자가 gym training을 오래해서 소흉근의 문제라고 확신해서 일단 소흉근 부착부위의 경결점만 치료해 줌.
Aug 28, 2023 – NRS 8-9, 지난번과 비교했을 때 통증 level 은 거의 변화 없다고 함. 환자를 설득해서 소흉근도 치료하고 신경 포착된 부위도 같이 치료 받기로 함.
Sep 1, 2023 – NRS 5-7, 지난번 보다는 확실히 좋아졌다고 함.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많이 좋아졌지만 대흉근 상부 부위의 통증은 조금만 좋아졌다고해서 상기와 동일한 치료 함.
Sep 8, 2023 – NRS 2, 지난번 보다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함.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없음. 대흉근 부위 통증이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함.
Sep 16, 2023 – NRS 2, 지난번 하고 비슷함. 좋아진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 대흉근 상부 부위 pinch roll test시, 약간 아프긴 하나 예전보다 많이 좋다고 함.
Sep 23, 2023 – NRS 1.5-2 대흉근 부위의 통증이 약간 남아 있으나 통증의 정도가 처음과 비교 했을 때 많이 줄어 오늘 치료를 마지막으로 치료 종결하기로 함(Fig. 5).
지금까지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쇄골중앙부에서 어깨 앞쪽으로 마비감과 압통 그리고 쇄골과 가슴 상부로 퍼지는 통증(심장 통증과 유사)을 만드는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 포착 증후군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환자들이 경추 6종 테스트에 걸리지 않고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 견봉 상부,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의 pinch roll test에 양성 반응을 보였던 환자들의 치료율이 높지 않았는데, 정침(RSN Acupuncture) 강의를 통해 정확한 치료 부위를 알게 되어 적용한 사례이다.
1년 넘게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검증 방법으로 환자를 보고 있는데, 경추 6종 테스트에 걸리지 않고 어깨 통증과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대부분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이었다.
아직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pinch roll test 양성 반응이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인지 견갑상신경 포착증후군인지 논란이 있으나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와 pinch roll test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 -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를 통하면 어느 정도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신경해부학적 지식을 기반으로한 침도와 침치료를 지향하는 RSN acupuncture의 개념을 적용하여 쇄골상신경 포착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치료한 경우들을 정리한 것이다. RSN acupuncture는 근육과 신경의 개별 주행 경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축된 구조물을을 이완시키고 포착된 연부조직들을 감압해주는 치료법인데 위와 같은 2례는 모두 핀치롤과 압통점 검사시에 쇄골상신경의 포착으로 의심된 케이스였다.
환자 1의 경우 2023. 09. 18. 1회차 NRS 7의 점수가 2023. 10. 11. 6회차 치료시에 NRS 1점으로 호전, 2023. 10. 19. 7회차 치료시에 NRS 2점으로 약간 다시 상승으로 나타났다. 쇄골상신경이 포착되는 곳을 침도와 침으로 송해하여 증상의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7회차 치료시 NRS점수가 약간 다시 상승하는 것은 치료의 효과가 안좋았다고 해석하기 보단 포착되다 풀린 신경으로 인해 기능회복이 이루어지면서 약간의 통증 민감도가 올라간 것으로 사료되었고 환자 또한 크게 불편감을 느끼지 않았기에 치료를 종결하였다. 환자 2의 경우는 2023. 08. 22. 1회차 치료시 NRS 9점이었으나 2023.09.08. 4회차 치료시 NRS 2점으로 크게 개선됨을 보였고 2023.09.23. 6회차 치료시에는 NRS가 1점으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거의 없었기에 치료를 종결하였다.
본 연구는 침도나 침을 함께 사용한 복합중재술로 환자를 치료하였기에 침도나 침을 단독으로 이용한 사례보다 효과성을 확실히 판단할 수 없다는 점과 치료사례가 2례로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케이스를 후향적으로 보고한 형식이기에 전향적인 연구결과들에 비해 효과성을 입증하기도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양, 한방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지 않은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로 의심되는 환자를 직접 RSN acupunture의 치료방식으로 증상을 개선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존재한다. 앞으로 Supraclavicular entrapment 환자를 RSN acupuncture의 방식으로 치료하는 케이스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야 하고 RCT, 전향적인 연구 등의 보다 신뢰성이 있는 후속 연구들이 보완된다면 추후 Supravlavicular entrapment에 대한 RSN acupuncture의 효과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202-207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202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Jonghwa Park1,a , Hongik Kim2,a,*
1Burnaby Healing Acupuncture and Herb Clinic, Vancouver, Canada, 2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Jeongeup, Korea
Correspondence to:Hongik Kim
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553-3 Yeongju-ro, Gobu-myeon, Jeongeup 56151, Korea
Tel: +82-63-539-6588
Fax: +82-63-539-6531
E-mail: kimhongik561@naver.com
a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acupotomy on lingering frontal and lateral shoulder pain.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at the clinic, but there was no report in Korea and there were only a few of reports in western medicine.
Methods: Two patients with persisting frontal and lateral shoulder pain was treated with acupotomy.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Results: The NRS score of a patient improved from 7 to 2, and another patient improved from 9 to 1.5.
Conclusion: Acupotomy could be effective on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
Keywords: Supraclavicular nerve, Acupotomy, Acupuncture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은 경추 3번과 4번에서 나오는 경신경총의 피부신경이다. 이 신경은 3, 4번 경추 신경절에서 나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후연으로 내려온다. 그 후 쇄골에서는 내측지(Medial branch), 중간지(Intermediate branch), 외측지(Lateral branch)로 나뉘게 되어 쇄골 위 깊은 근막을 관통한다. 내측지는 흉쇄유돌근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쇄골에 도달하며, 그후 광경근을 통과하여 흉골고랑(sternal notch)에 도달하여 감각을 제공한다. 중간지는 흉쇄유돌근의 후면 가장자리 뒤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쇄골의 내측 3분의 1 지점을 통과하고 광경근을 지나 가슴의 전상부의 피부감각을 제공한다. 외측지는 승모근의 근육 앞면을 따라 이동하여 견봉까지 주행하며 대흉근과 삼각근 아래 및 두번째 갈비뼈와 어깨뼈 가시(spine of scapula)의 피부감각을 담당한다(Fig. 1)1-3).
정리해보면 쇄골상신경은 쇄골로 뻗어나가 쇄골, 전내측 어깨, 근위 흉부(proximal chet)의 감각을 담당하고 따라서 쇄골상신경의 손상 및 포착은 이상 감각, 신경과 관련한 피부감각분포 이상, 감각과민과 비슷한 국소 통증으로 느껴질 수 있다4-6).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의 신경 포착은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쇄골중앙부에서 어깨 앞쪽으로 마비감과 압통 그리고 쇄골과 가슴 상부로 퍼지는 통증(심장 통증과 유사)을 만들고, 이는 정침(RNS Acupuncture)의 진단 기법인 pinch roll test와 압통점 검사로 진단 할 수 있다.
Pinch roll test 부위는 쇄골상신경이 흉쇄유돌근을 빠져나오는 부위와 승모근 상부 섬유부위, 사각근 종지부와 견봉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할 수 있다. 압통점 검사는 경추 면관절 3, 4번, 경추 횡돌기 3, 4번,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사각근 종지부와 견봉부위, 흉쇄유돌근 쇄골지 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이다.
양방학적 치료는 쇄골하동맥 뒤쪽의 상완 신경총 덮개 안으로 주사하여 신경을 차단하는 방식이나 외과적 수술이 있으나 신경 주행경로에 직접 근접하여 처치하는 것이기에 동맥 천공, 기흉, 반회신경(recurrent laryngeal) 및 횡격신경(phrenic nerve) 마비, 영구적 신경손상 등의 부작용들이 있다7).
국내에서는 아직 쇄골상신경 포착에 대한 임상 증례보고가 없고 외국에서도 아직 증례보고의 총 건수가 많지 않아 침도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을 주소로 내원한 2명의 환자에게 정침(RSN acupuncture)을 기반으로 하여 침도 치료를 시행하고 효과를 얻은 바 후향적으로 진료 차트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캐나다 밴쿠버에 소재한 본 의원에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2명을 경과 관찰 하였다.
상기 환자는 2023년 과거력으로는 후각상실이 있던 52세 환자로, 2023년 9월 초에 발생한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9월 15일 힐링한의원에 내원하였다. 본원에서는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관찰을 진행하였다.
2주 전부터 갑자기 왼쪽 어깨 뒤쪽, 옆쪽 그리고 앞쪽이 아파서 물리치료와 마사지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 호전이 없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 같아 예전 COVID 후유증 중의 하나인 후각상실을 치료 받았던 기억이 나서 내원하게 되었음.
하루에도 몇번씩 어깨 위, 옆 그리고 가슴 위 부위가 아파서 손으로 계속 마사지 한다고 이야기 함. 통증의 위치와 호소하는 부위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의심되어 하기 테스트 실시 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pinch roll & 압통점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쇄골상신경 포착 증후군으로 확진함.
1)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2)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6, 승모근 상부 섬유, 횡돌기 C3 & C4, 쇄골 위 외측 1/3 지점, 후사각근 종지 부위,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자침은 침도(0.35×40) 치료, 호침(0.3×40) 치료와 전침 치료를 하였으나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침도 치료를 하였다(Fig. 2).
자침부위는 Facet joints C3 & C6 (직자), Transverse process C3 & C4 (직자), 승모근 상부 섬유의 마진 부위(견봉 방향으로), 쇄골 위 외측 1/3 지점(바깥 방향으로 자침),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쇄골 밑쪽 방향으로)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를 피부를 잡은 상태에서 하사자 하였다(Fig. 3).
Sep 15, 2023 – NRS 9, 9월 초부터 증상 발생되어 어깨 위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와 쇄골 위 외측 1/3 부위,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의 통증을 호소.
(–) 경추 6종 테스트.
(+)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6, 승모근 상부 섬유, C3 to C5 횡돌기,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Sep 18, 2023 – NRS 7,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많이 좋아짐. 하지만,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는 약간 좋아졌다고 함.
Sep 21, 2023 – NRS 4,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거의 사라짐.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통증은 지난번 보다 좋으나 아직 통증이 느껴진다고 함.
Sep 25, 2023 – NRS 2-3,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없음.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는 통증이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함.
Sep 29, 2023 – NRS 2,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통증은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조금 더 편해졌다고 함.
Oct 4, 2023 – NRS 1.5-2, 지난번 보다는 조금 좋아졌으나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lingering pain,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을 보임.
Oct 11, 2023– NRS 1-2, 대흉근 상부 부위와 사각근 부위에서 lingering pain,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
Oct 19, 2023– NRS 2-3, 대흉근 상부 부위에서 pinch roll test시 약간 아프다고 함, 사각근 부위의 가벼운 통증 호소, 아직도 C3-C6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 양성 반응(Fig. 4).
상기 환자는 30세 남자 환자로, 2023년 5월 초에 발생한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8월 22일 힐링한의원에 내원하였다. 본원에서는 해당 환자에 대해 한의치료 및 경과관찰을 진행하였다.
2023년 5월부터 오른쪽 소흉근 부위가 아파서 마사지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 호전이 없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 같아 구글 검색 후 내원하게 되었음.
하루에도 몇번씩 소흉근 부위가 아파서 손으로 마사지 한다고 함. 통증의 위치와 호소하는 부위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으로 의심되어 하기 테스트 실시 후 확진함.
(–) 경추 6종 테스트(음성).
(+) Pinch roll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
(+) 압통점 - Facet joints C3 to C4, 승모근 상부 섬유, C3 to C5 횡돌기, 쇄골 위 외측 1/3 지점, SCM 쇄골지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 대흉근 상부 부위).
자침은 침도(0.35×40)와 호침(0.3×40)을 사용하였으나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침도 치료를 하였다.
자침부위는 Facet joints C3 & C4 (직자), 횡돌기기 C3 & C4 (직자), 승모근 상부 섬유의 마진 부위(견봉 방향으로), 쇄골 위 외측 1/3 지점(바깥 방향으로 자침), SCM 후연과 쇄골이 교차하는 부위(쇄골 밑쪽 방향으로) 그리고 대흉근 상부 부위를 피부를 잡은 상태에서 하사자 하였다.
Aug 22, 2023 – NRS 9, 소흉근 기시부와 종지부 부위만 침도 치료 함. 환자가 gym training을 오래해서 소흉근의 문제라고 확신해서 일단 소흉근 부착부위의 경결점만 치료해 줌.
Aug 28, 2023 – NRS 8-9, 지난번과 비교했을 때 통증 level 은 거의 변화 없다고 함. 환자를 설득해서 소흉근도 치료하고 신경 포착된 부위도 같이 치료 받기로 함.
Sep 1, 2023 – NRS 5-7, 지난번 보다는 확실히 좋아졌다고 함.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많이 좋아졌지만 대흉근 상부 부위의 통증은 조금만 좋아졌다고해서 상기와 동일한 치료 함.
Sep 8, 2023 – NRS 2, 지난번 보다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함.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통증은 없음. 대흉근 부위 통증이 아직 남아 있으나 지난번 보다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함.
Sep 16, 2023 – NRS 2, 지난번 하고 비슷함. 좋아진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 대흉근 상부 부위 pinch roll test시, 약간 아프긴 하나 예전보다 많이 좋다고 함.
Sep 23, 2023 – NRS 1.5-2 대흉근 부위의 통증이 약간 남아 있으나 통증의 정도가 처음과 비교 했을 때 많이 줄어 오늘 치료를 마지막으로 치료 종결하기로 함(Fig. 5).
지금까지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 쇄골중앙부에서 어깨 앞쪽으로 마비감과 압통 그리고 쇄골과 가슴 상부로 퍼지는 통증(심장 통증과 유사)을 만드는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erve) 포착 증후군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환자들이 경추 6종 테스트에 걸리지 않고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 후사각근 종지부위 & 견봉 상부, 쇄골 상부 & 대흉근 상부 부위의 pinch roll test에 양성 반응을 보였던 환자들의 치료율이 높지 않았는데, 정침(RSN Acupuncture) 강의를 통해 정확한 치료 부위를 알게 되어 적용한 사례이다.
1년 넘게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검증 방법으로 환자를 보고 있는데, 경추 6종 테스트에 걸리지 않고 어깨 통증과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대부분은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이었다.
아직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의 pinch roll test 양성 반응이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인지 견갑상신경 포착증후군인지 논란이 있으나 Facet joints 압통점 검사와 pinch roll test (쇄골상신경 포착증후군 - 흉쇄유돌근 후면과 경추 3, 4, 5번 횡돌기가 교차하는 부위/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 - 승모근 상부 섬유 부위)를 통하면 어느 정도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신경해부학적 지식을 기반으로한 침도와 침치료를 지향하는 RSN acupuncture의 개념을 적용하여 쇄골상신경 포착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치료한 경우들을 정리한 것이다. RSN acupuncture는 근육과 신경의 개별 주행 경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축된 구조물을을 이완시키고 포착된 연부조직들을 감압해주는 치료법인데 위와 같은 2례는 모두 핀치롤과 압통점 검사시에 쇄골상신경의 포착으로 의심된 케이스였다.
환자 1의 경우 2023. 09. 18. 1회차 NRS 7의 점수가 2023. 10. 11. 6회차 치료시에 NRS 1점으로 호전, 2023. 10. 19. 7회차 치료시에 NRS 2점으로 약간 다시 상승으로 나타났다. 쇄골상신경이 포착되는 곳을 침도와 침으로 송해하여 증상의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7회차 치료시 NRS점수가 약간 다시 상승하는 것은 치료의 효과가 안좋았다고 해석하기 보단 포착되다 풀린 신경으로 인해 기능회복이 이루어지면서 약간의 통증 민감도가 올라간 것으로 사료되었고 환자 또한 크게 불편감을 느끼지 않았기에 치료를 종결하였다. 환자 2의 경우는 2023. 08. 22. 1회차 치료시 NRS 9점이었으나 2023.09.08. 4회차 치료시 NRS 2점으로 크게 개선됨을 보였고 2023.09.23. 6회차 치료시에는 NRS가 1점으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거의 없었기에 치료를 종결하였다.
본 연구는 침도나 침을 함께 사용한 복합중재술로 환자를 치료하였기에 침도나 침을 단독으로 이용한 사례보다 효과성을 확실히 판단할 수 없다는 점과 치료사례가 2례로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케이스를 후향적으로 보고한 형식이기에 전향적인 연구결과들에 비해 효과성을 입증하기도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양, 한방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지 않은 Supraclavicular nerve entrapment로 의심되는 환자를 직접 RSN acupunture의 치료방식으로 증상을 개선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존재한다. 앞으로 Supraclavicular entrapment 환자를 RSN acupuncture의 방식으로 치료하는 케이스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야 하고 RCT, 전향적인 연구 등의 보다 신뢰성이 있는 후속 연구들이 보완된다면 추후 Supravlavicular entrapment에 대한 RSN acupuncture의 효과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December 2024
pISSN 2982-9976
eISSN 2983-0273
Frequency: Semian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