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160-164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 치료 방법 제안

Kyungho Kang1,2,* , Hongmin Chu1,3 , Beomchang Kim1 , Jinsam Wang1

1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Seoul, 2Departmen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Goyang,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대한침도의학회, 2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3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

Correspondence to:Kyungho Kang
Departmen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32 Dongguk-ro, Ilsandong-gu, Goyang 10326, Korea
Tel: +82-2-572-7773
Fax: +82-0303-3444-3013
E-mail: zhain@naver.com

Received: December 9, 2023; Revised: December 14, 2023; Accepted: December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This study introduces an approach to ultrasound guided acupotomy for foraminal stenosis, for enhanced precision.
Methods: Anatomical and vascular considerations of spine were explored to identify suitable candidates based on foramen width and type of stenosis. The procedure involved ultrasound-guided acupotomy needling in the posterior superior and posterior inferior quarters, with safety measures.
Results: Precise acupotomy needling in identified quarters proved effective, with careful attention to safety measures minimizing adverse events. Ultrasound guidance significantly enhanced accuracy throughout the procedure.
Conclusion: This research advocates for the adoption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 foraminal stenosis cases. By integrating anatomical insights, vascular considerations, and advanced imaging techniques, this approach offer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in the management of spinal stenosis, paving the way for further exploration in non-surgical interventions.

KeywordsLumbar vertebrae, Stenosis, Foraminal stenosis, Acupotomy, Ultrasound, Protocol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은 협착이 주로 일어난 부위에 따라 중심성 척추관 협착(Central spinal stenosis)과 외측 함요부(Lateral recess) 협착, 추간공 협착(foramen stenosis) 등으로 분류된다1). 중심성 척추관 협착의 경우 경막낭, 척추체, 추간판, 황색인대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말하며, Lee의 연구에서는 신경근 압박이 발생하는 병리적 구조의 설명을 위해 신경근관(Nerve Root Canal)의 종류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1). 추간공 협착은 발생률이 8-11%로 알려져 있으며, 주된 원인은 요추 추궁(Pars) 부위의 섬유연골의 증식(proliferative fibrocartilage) 혹은 추간판 탈출(disc herniation)로 알려져있다2). 추간공 협착은 5번 요추 신경근(7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이 보고되고 있으며, 4번 요추 신경근(15%), 3번 신경근(5.3%)의 순서로 빈발함이 보고되었다3).

특히 4, 5번 요추의 배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은 추간공의 내측(intraforaminal)에서 압박이 가장 빈번하며 천추 1번 배근신경절은 척추관의 상부(cephalad) 혹은 척추내 공간(intraspinal)인 경우가 흔하다4).

척추 협착증에 대한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로 크게 구분되는데, 코크란 리뷰 그룹이 발표한 2016년 발표에 의하면 협착증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그룹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그룹의 3년 추적관찰 결과 후 효과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존재한다5).

척추관 협착증에 대한 한의 비수술적 치료방법 중 하나로 침도요법이 존재하며 주요 시술점으로 외구혈이 존재하나, 아직 해당 혈위에 대해 초음파를 활용하여 시술하는 공식화된 프로토콜이 부재한 실정이다6). 이에 본 연구진은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 대해 초음파 중재하에 침도치료를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추간공의 해부학적 구조

먼저 추간공이라는 공간의 정의는 전방 경계로는 상하부의 척추경(pedicle), 상부 척추체 후하부의 가장자리, 추간판의 후면, 하부 척추체의 후상부 가장자리가 존재하며, 후방 경계로는 황색인대 및 상하부의 후관절(articular facets)로 정의된다7,8).

외측부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외측 척추내 공간과 척추 외 공간을 이어주는 외측 척추관 부위에 협착증이 진행된 것이며, 입구대(Entry zone), 중간대(Mid zone), 출구대(Exit zone)로 구분된다. 특히 중간대는 척추경 아래 추궁 협부(pars interarticularis)에 해당한다(Fig. 1).

Figure 1.Diagram of the spinal canal. (A) Mid zone highlighted in red. (B) Representation of the nerve root canal. (C) Representation of the foramen.

2. 추간공에서 혈관의 위치

Neural foramen에서는 신경의 분포뿐만 아니라 혈관 또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시술자는 인지해야 한다. 추간공을 4등분하였을 때, 전상방(Anterior Superior quarter), 후상방(Posterior Superior quarter), 전하방(Anterior Inferior quarter), 후하방(Posterior Inferior quarter)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술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뿌리동맥(Radicular artery)은 전상방에 위치한다(Fig. 2)9,10).

Figure 2.Vascular system of the neural foramen. When dividing the L1 foramen into four quarters, the Radicular artery is located in the Anterior Superior quarter.

3.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시술 대상

추간공의 정상 폭은 높이 20-23 mm, 너비 8-10 mm로 알려져있다. 추간공이 15 mm 이하인 경우 협착증의 잠재적 지표로 판단된다11). 협착증의 경우 선천성 협착증과 퇴행성 협착증으로 원인을 구분할 수 있으며 선천성 협착증의 경우 연골 무형성 왜소증 환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12). 퇴행성 협착증의 경우 노화나 체중부하에 따라 황색인대가 비대해지는 등의 이유로 발생하기에 침도 시술의 대상은 주로 퇴행성 추간공 협착증 환자로 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foraminal zone과 exit zone stenosis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13).

4.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기전

추간공 협착증에 대해 침도치료가 효과있는 기전은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다. 경공인대(transforaminal ligaments)의 감압, 황색인대(ligament flavum)로 인한 압박의 해소, 추간판 탈출로 인해 좁아진 추간공 부위의 압박 해소 및 소염작용, 척추 배신경절에 대한 자극, 신경근의 글라인딩(grinding) 회복이다. 이를 위해 추간공 외구혈 등에 침도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5. 시술 전 확인 사항

안전한 시술을 위해 시술 전 환자가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지 혹은 혈액응고장애나 간병증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14). 이러한 기왕력의 환자는 시술 후 혈종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 있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급성 정맥혈전증이나 심뇌혈관 질환 혹은 뇌졸중으로 인해 항혈전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을 복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기에 주의해야 한다15).

6.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구체적인 방법

1) 천골 1번(S1)에서부터 종축으로 추궁판(larmina)을 배열시켜 환자의 추간공 협착이 진단된 레벨을 찾는다. MRI 영상이 있다면 MRI 영상을 통해 협착증 부위를 찾아 시술 부위를 결정한다(Fig. 3).

Figure 3.Checking MRI image of patient. (A) Vertebra foramen of right side. (B) Vertebra foramen of left side.

2) 찾아진 레벨에서 외측으로 프로브를 이동시켜 위아래 횡돌기를 확인한다.

3) 횡돌기간에서 프로브를 90도 회전시켜서 신경근을 확인한다.

4) Subpedicular approch와 posteroinferior, anteroinferior 시술법을 선택한다.

A. Subpedicular approch를 선택했다면 해당레벨의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두측(cephalic)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내려온다. Power doppler를 켜고 신경근 아래쪽으로 지나는 혈관을 확인한다9). 신경근 위쪽으로 침도를 자입한다.

B. Posteroinferior approch를 선택했다면 아래레벨의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미측(caudal)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올라온다. 이 위치에서 아래 추체의 superior articular process의 하연을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

C. Anteriorinferior approch를 선택했다면 아래레벨을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미측(caudal)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올라온다. 이 위치에서 아래 추체를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Fig. 4).

Figure 4.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an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7. 요추 5번에서의 Posterior Superior Quarter 시술(Fig. 5)

1) 요추 5번을 종축으로 확인한후 화면의 중심에 5번 요추의 추궁판을 중앙을 두고 90도 회전시킨다.

Figure 5.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superior quarter. (A) Image of needle insertion, (B) anatomical structure, (C) Doppler image of radicular atery.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NR: nerve root, RA: radicular artery, Pm: psoas major,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white ellipse). *Exiting Nerve Root.

2) 5번 요추의 횡돌기 바로 아래, 천골익(ala of sacrum)과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사이에서 신경근이 보이는 위치를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시킨다.

3) 프로브의 두측(cephalic) 방향을 내측(medial)으로 45도 회전시켜, 요추 5번의 척추경(pedicle) – 천골익(ala) – 장골능(iliac crest)을 일렬로 배열한다.

4) 장골능(Iliac crest)쪽에서 요추 5번 척추경(pedicle)의 아래쪽을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

8. 요추 5번에서 Posterior Inferior Quarter 시술(Fig. 6)

1) 요추 5번을 종축으로 확인한 후 화면의 중심에 요추 5번 추궁판을 중앙을 두고 90도 회전시킨다.

Figure 6.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2) 5번 요추의 횡돌기 바로 아래, 천골익(ala of sacrum)과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사이에서 신경근이 보이는 위치를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시킨다.

3) 프로브의 미측(Caudal) 방향을 내측(medial)으로 45도 회전시켜, 5번 요추 횡돌기(transverse process) –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 천골(sacrum)을 일렬로 배열한다.

4) 5번 요추 횡돌기와 L5-s1 후관절 사이 공간으로 침도를 자입한다.

9. 시술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주사나 침도 등 자입 도구의 삽입 과정에서 혈관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혈종 형성, 출혈 등 부작용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16).

또한 추간공 외구혈보다 깊은 부위에 자침을 시행하면, 추간판에 직접적인 자극이 발생하기 때문에 추간판염이나, 척수신경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침체가 추간공 외구 내측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주의해야 하며, 침 조작은 횡돌기 근부(Facet joint 부위의 외측연)에 연해서 이루어져야 한다6).

뿐만 아니라, 자입도구에 의한 척수 신경 또는 배근신경절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신경 손상의 경우 심한 통증이 발생하기에 시술 시 통증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자입도구를 퇴침한 후 자입 위치를 재평가해야 한다17).

추간공 외구혈의 시술은 효과성이 우수하나, 부주의한 시술이 이루어지거나, 환자의 특성에 따라상기 열거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치료법이므로, 초음파 유도하에 시술하는 것을 권한다. 초음파 유도 하에서도 맹검하에 시행하는 것에 비해서는 추간공으로 침도체가 정확하게 확인되지만, 최종단계에서 needle의 끝을 관찰하기가 어렵다는 점 또한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척추관 협착증이나 척추디스크 등의 척추신경근병증에서 외구혈의 정확한 취혈과 자침은 치료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6). DRG주변의 압박을 풀어주려는 목적이면 PSQ, Ligament flavum에 대한 decompression이 목적이면 PIQ, Disc의 degeneration으로 인한 증상에는 AIQ를 시술점으로 한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1. Lee CK, Rauschning W, Glenn W. Lateral lumbar spinal canal stenosis: classification, pathologic anatomy and surgical decompression. Spine (Phila Pa 1976). 1988;13(3):313-20.
    Pubmed CrossRef
  2. Kunogi J, Hasue M. Diagnosis and operative treatment of intraforaminal and extraforaminal nerve root compression. Spine (Phila Pa 1976). 1991;16(11):1312-20.
    Pubmed CrossRef
  3. Jenis LG, An HS. Spine update: lumbar foraminal stenosis. Spine (Phila Pa 1976). 2000;25:389-94.
    Pubmed CrossRef
  4. Schönström N, Willén J. Imaging lumbar spinal stenosis. Radiol Clin North Am. 2001;39(1):31-53.
    Pubmed CrossRef
  5. Zaina F, Tomkins-Lane C, Carragee E, Negrini S. Surgical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lumbar spinal steno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29;2016(1):CD010264.
    Pubmed KoreaMed CrossRef
  6. Choi J, Chu H, Kang K, Lee J, Ryu M. Acupoint Definition and Clinical Study Analysis for Internal and External Orifices of Intervertebral Foramen Procedure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2; 6:96-102.
    CrossRef
  7. Hasegawa T, An HS, Haughton VM. Imaging anatomy of the lateral lumbar spinal canal. Semin Ultrasound CT MR. 1993;14(6):404-13.
    Pubmed CrossRef
  8. Nowicki BH, Haughton VM. Neural foraminal ligaments of the lumbar spine: appearance at CT and MR imaging. Radiology. 1992;183(1):257-64.
    Pubmed CrossRef
  9. Gregg L, Sorte DE, Gailloud P. Intraforaminal Location of Thoracolumbar Radicular Arteries Providing an Anterior Radiculomedullary Artery Using Flat Panel Catheter Angiotomography. AJNR Am J Neuroradiol. 2017;38(5):1054-1060.
    Pubmed KoreaMed CrossRef
  10. Orita S, Inage K, Eguchi Y, Kubota G, Aoki Y, Nakamura J, Matsuura Y, Furuya T, Koda M, Ohtori S. Lumbar foraminal stenosis, the hidden stenosis including at L5/S1. Eur J Orthop Surg Traumatol. 2016;26(7):685-93.
    Pubmed CrossRef
  11. Hasegawa T, An HS, Haughton VM, Nowicki BH. Lumbar foraminal stenosis: critical heights of the intervertebral discs and foramina: a cryomicrotome study in cadavera. J Bone Joint Surg Am. 1995;77:32-8.
    Pubmed CrossRef
  12. Schroeder GD, Kurd MF, Vaccaro AR. Lumbar Spinal Stenosis: How Is It Classified? J Am Acad Orthop Surg. 2016;24(12):843-52.
    Pubmed CrossRef
  13. Wiltse LL, Guyer RD, Spencer CW, Glenn WV, Porter IS. Alar transverse process impingement of the L5 spinal nerve: the far-out syndrome. Spine (Phila Pa 1976). 1984;9:31-41.
    Pubmed CrossRef
  14. Windsor RE, Storm S, Sugar 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common spinal injections. Pain Physician. 2003;6(4):473-83.
    Pubmed CrossRef
  15. Landefeld CS, Beyth RJ. Anticoagulant-related bleeding: clinical epidemiology, prediction, and prevention. Am J Med. 1993;95(3):315-28.
    Pubmed CrossRef
  16. Goodman BS, Posecion LW, Mallempati S, Bayazitoglu M. Complications and pitfalls of lumbar interlaminar and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s.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08 Dec;1(3-4):212-22.
    Pubmed KoreaMed CrossRef
  17. Bogduk N, ed. Practice Guidelines for Spinal Diagnostic and Treatment Procedures, 2nd ed. San Francisco, CA: International Spine Intervention Society; 2013.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2): 160-164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Kyungho Kang1,2,* , Hongmin Chu1,3 , Beomchang Kim1 , Jinsam Wang1

1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Seoul, 2Departmen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Goyang,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Correspondence to:Kyungho Kang
Departmen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32 Dongguk-ro, Ilsandong-gu, Goyang 10326, Korea
Tel: +82-2-572-7773
Fax: +82-0303-3444-3013
E-mail: zhain@naver.com

Received: December 9, 2023; Revised: December 14, 2023; Accepted: December 14, 2023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introduces an approach to ultrasound guided acupotomy for foraminal stenosis, for enhanced precision.
Methods: Anatomical and vascular considerations of spine were explored to identify suitable candidates based on foramen width and type of stenosis. The procedure involved ultrasound-guided acupotomy needling in the posterior superior and posterior inferior quarters, with safety measures.
Results: Precise acupotomy needling in identified quarters proved effective, with careful attention to safety measures minimizing adverse events. Ultrasound guidance significantly enhanced accuracy throughout the procedure.
Conclusion: This research advocates for the adoption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 foraminal stenosis cases. By integrating anatomical insights, vascular considerations, and advanced imaging techniques, this approach offer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in the management of spinal stenosis, paving the way for further exploration in non-surgical interventions.

Keywords: Lumbar vertebrae, Stenosis, Foraminal stenosis, Acupotomy, Ultrasound, Protocol

INTRODUCTION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은 협착이 주로 일어난 부위에 따라 중심성 척추관 협착(Central spinal stenosis)과 외측 함요부(Lateral recess) 협착, 추간공 협착(foramen stenosis) 등으로 분류된다1). 중심성 척추관 협착의 경우 경막낭, 척추체, 추간판, 황색인대 등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말하며, Lee의 연구에서는 신경근 압박이 발생하는 병리적 구조의 설명을 위해 신경근관(Nerve Root Canal)의 종류를 3가지로 분류하였다1). 추간공 협착은 발생률이 8-11%로 알려져 있으며, 주된 원인은 요추 추궁(Pars) 부위의 섬유연골의 증식(proliferative fibrocartilage) 혹은 추간판 탈출(disc herniation)로 알려져있다2). 추간공 협착은 5번 요추 신경근(7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이 보고되고 있으며, 4번 요추 신경근(15%), 3번 신경근(5.3%)의 순서로 빈발함이 보고되었다3).

특히 4, 5번 요추의 배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은 추간공의 내측(intraforaminal)에서 압박이 가장 빈번하며 천추 1번 배근신경절은 척추관의 상부(cephalad) 혹은 척추내 공간(intraspinal)인 경우가 흔하다4).

척추 협착증에 대한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로 크게 구분되는데, 코크란 리뷰 그룹이 발표한 2016년 발표에 의하면 협착증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그룹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그룹의 3년 추적관찰 결과 후 효과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존재한다5).

척추관 협착증에 대한 한의 비수술적 치료방법 중 하나로 침도요법이 존재하며 주요 시술점으로 외구혈이 존재하나, 아직 해당 혈위에 대해 초음파를 활용하여 시술하는 공식화된 프로토콜이 부재한 실정이다6). 이에 본 연구진은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 대해 초음파 중재하에 침도치료를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MAIN BODY

1. 추간공의 해부학적 구조

먼저 추간공이라는 공간의 정의는 전방 경계로는 상하부의 척추경(pedicle), 상부 척추체 후하부의 가장자리, 추간판의 후면, 하부 척추체의 후상부 가장자리가 존재하며, 후방 경계로는 황색인대 및 상하부의 후관절(articular facets)로 정의된다7,8).

외측부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외측 척추내 공간과 척추 외 공간을 이어주는 외측 척추관 부위에 협착증이 진행된 것이며, 입구대(Entry zone), 중간대(Mid zone), 출구대(Exit zone)로 구분된다. 특히 중간대는 척추경 아래 추궁 협부(pars interarticularis)에 해당한다(Fig. 1).

Figure 1. Diagram of the spinal canal. (A) Mid zone highlighted in red. (B) Representation of the nerve root canal. (C) Representation of the foramen.

2. 추간공에서 혈관의 위치

Neural foramen에서는 신경의 분포뿐만 아니라 혈관 또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시술자는 인지해야 한다. 추간공을 4등분하였을 때, 전상방(Anterior Superior quarter), 후상방(Posterior Superior quarter), 전하방(Anterior Inferior quarter), 후하방(Posterior Inferior quarter)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술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뿌리동맥(Radicular artery)은 전상방에 위치한다(Fig. 2)9,10).

Figure 2. Vascular system of the neural foramen. When dividing the L1 foramen into four quarters, the Radicular artery is located in the Anterior Superior quarter.

3.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시술 대상

추간공의 정상 폭은 높이 20-23 mm, 너비 8-10 mm로 알려져있다. 추간공이 15 mm 이하인 경우 협착증의 잠재적 지표로 판단된다11). 협착증의 경우 선천성 협착증과 퇴행성 협착증으로 원인을 구분할 수 있으며 선천성 협착증의 경우 연골 무형성 왜소증 환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12). 퇴행성 협착증의 경우 노화나 체중부하에 따라 황색인대가 비대해지는 등의 이유로 발생하기에 침도 시술의 대상은 주로 퇴행성 추간공 협착증 환자로 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foraminal zone과 exit zone stenosis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13).

4.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기전

추간공 협착증에 대해 침도치료가 효과있는 기전은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다. 경공인대(transforaminal ligaments)의 감압, 황색인대(ligament flavum)로 인한 압박의 해소, 추간판 탈출로 인해 좁아진 추간공 부위의 압박 해소 및 소염작용, 척추 배신경절에 대한 자극, 신경근의 글라인딩(grinding) 회복이다. 이를 위해 추간공 외구혈 등에 침도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5. 시술 전 확인 사항

안전한 시술을 위해 시술 전 환자가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지 혹은 혈액응고장애나 간병증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14). 이러한 기왕력의 환자는 시술 후 혈종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 있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급성 정맥혈전증이나 심뇌혈관 질환 혹은 뇌졸중으로 인해 항혈전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을 복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기에 주의해야 한다15).

6. 추간공 협착증 초음파 중재하 침도치료의 구체적인 방법

1) 천골 1번(S1)에서부터 종축으로 추궁판(larmina)을 배열시켜 환자의 추간공 협착이 진단된 레벨을 찾는다. MRI 영상이 있다면 MRI 영상을 통해 협착증 부위를 찾아 시술 부위를 결정한다(Fig. 3).

Figure 3. Checking MRI image of patient. (A) Vertebra foramen of right side. (B) Vertebra foramen of left side.

2) 찾아진 레벨에서 외측으로 프로브를 이동시켜 위아래 횡돌기를 확인한다.

3) 횡돌기간에서 프로브를 90도 회전시켜서 신경근을 확인한다.

4) Subpedicular approch와 posteroinferior, anteroinferior 시술법을 선택한다.

A. Subpedicular approch를 선택했다면 해당레벨의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두측(cephalic)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내려온다. Power doppler를 켜고 신경근 아래쪽으로 지나는 혈관을 확인한다9). 신경근 위쪽으로 침도를 자입한다.

B. Posteroinferior approch를 선택했다면 아래레벨의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미측(caudal)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올라온다. 이 위치에서 아래 추체의 superior articular process의 하연을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

C. Anteriorinferior approch를 선택했다면 아래레벨을 횡돌기를 향해 프로브를 미측(caudal) 방향으로 이동시켜 횡돌기를 확인하고 다시 횡돌기가 보이지 않는 위치로 올라온다. 이 위치에서 아래 추체를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Fig. 4).

Figure 4. 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an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7. 요추 5번에서의 Posterior Superior Quarter 시술(Fig. 5)

1) 요추 5번을 종축으로 확인한후 화면의 중심에 5번 요추의 추궁판을 중앙을 두고 90도 회전시킨다.

Figure 5. 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superior quarter. (A) Image of needle insertion, (B) anatomical structure, (C) Doppler image of radicular atery.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NR: nerve root, RA: radicular artery, Pm: psoas major,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white ellipse). *Exiting Nerve Root.

2) 5번 요추의 횡돌기 바로 아래, 천골익(ala of sacrum)과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사이에서 신경근이 보이는 위치를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시킨다.

3) 프로브의 두측(cephalic) 방향을 내측(medial)으로 45도 회전시켜, 요추 5번의 척추경(pedicle) – 천골익(ala) – 장골능(iliac crest)을 일렬로 배열한다.

4) 장골능(Iliac crest)쪽에서 요추 5번 척추경(pedicle)의 아래쪽을 향해 침도를 자입한다.

8. 요추 5번에서 Posterior Inferior Quarter 시술(Fig. 6)

1) 요추 5번을 종축으로 확인한 후 화면의 중심에 요추 5번 추궁판을 중앙을 두고 90도 회전시킨다.

Figure 6. 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2) 5번 요추의 횡돌기 바로 아래, 천골익(ala of sacrum)과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사이에서 신경근이 보이는 위치를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시킨다.

3) 프로브의 미측(Caudal) 방향을 내측(medial)으로 45도 회전시켜, 5번 요추 횡돌기(transverse process) – 요추5번-1번 천골의 후관절(facet) - 천골(sacrum)을 일렬로 배열한다.

4) 5번 요추 횡돌기와 L5-s1 후관절 사이 공간으로 침도를 자입한다.

9. 시술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주사나 침도 등 자입 도구의 삽입 과정에서 혈관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혈종 형성, 출혈 등 부작용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16).

또한 추간공 외구혈보다 깊은 부위에 자침을 시행하면, 추간판에 직접적인 자극이 발생하기 때문에 추간판염이나, 척수신경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침체가 추간공 외구 내측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주의해야 하며, 침 조작은 횡돌기 근부(Facet joint 부위의 외측연)에 연해서 이루어져야 한다6).

뿐만 아니라, 자입도구에 의한 척수 신경 또는 배근신경절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신경 손상의 경우 심한 통증이 발생하기에 시술 시 통증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자입도구를 퇴침한 후 자입 위치를 재평가해야 한다17).

추간공 외구혈의 시술은 효과성이 우수하나, 부주의한 시술이 이루어지거나, 환자의 특성에 따라상기 열거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치료법이므로, 초음파 유도하에 시술하는 것을 권한다. 초음파 유도 하에서도 맹검하에 시행하는 것에 비해서는 추간공으로 침도체가 정확하게 확인되지만, 최종단계에서 needle의 끝을 관찰하기가 어렵다는 점 또한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CONCLUSION

척추관 협착증이나 척추디스크 등의 척추신경근병증에서 외구혈의 정확한 취혈과 자침은 치료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점이다6). DRG주변의 압박을 풀어주려는 목적이면 PSQ, Ligament flavum에 대한 decompression이 목적이면 PIQ, Disc의 degeneration으로 인한 증상에는 AIQ를 시술점으로 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Fig 1.

Figure 1.Diagram of the spinal canal. (A) Mid zone highlighted in red. (B) Representation of the nerve root canal. (C) Representation of the foramen.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Fig 2.

Figure 2.Vascular system of the neural foramen. When dividing the L1 foramen into four quarters, the Radicular artery is located in the Anterior Superior quarter.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Fig 3.

Figure 3.Checking MRI image of patient. (A) Vertebra foramen of right side. (B) Vertebra foramen of left side.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Fig 4.

Figure 4.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an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Fig 5.

Figure 5.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superior quarter. (A) Image of needle insertion, (B) anatomical structure, (C) Doppler image of radicular atery.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NR: nerve root, RA: radicular artery, Pm: psoas major,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white ellipse). *Exiting Nerve Roo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Fig 6.

Figure 6.Image of ultrasound-guided acupotomy interventions for foraminal stenosis of posterior inferior quarter. Ic: Iliocostalis, L: longissimus, Vb: vertebra body, Vf: vertebra foramen.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 160-164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60

References

  1. Lee CK, Rauschning W, Glenn W. Lateral lumbar spinal canal stenosis: classification, pathologic anatomy and surgical decompression. Spine (Phila Pa 1976). 1988;13(3):313-20.
    Pubmed CrossRef
  2. Kunogi J, Hasue M. Diagnosis and operative treatment of intraforaminal and extraforaminal nerve root compression. Spine (Phila Pa 1976). 1991;16(11):1312-20.
    Pubmed CrossRef
  3. Jenis LG, An HS. Spine update: lumbar foraminal stenosis. Spine (Phila Pa 1976). 2000;25:389-94.
    Pubmed CrossRef
  4. Schönström N, Willén J. Imaging lumbar spinal stenosis. Radiol Clin North Am. 2001;39(1):31-53.
    Pubmed CrossRef
  5. Zaina F, Tomkins-Lane C, Carragee E, Negrini S. Surgical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lumbar spinal steno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29;2016(1):CD010264.
    Pubmed KoreaMed CrossRef
  6. Choi J, Chu H, Kang K, Lee J, Ryu M. Acupoint Definition and Clinical Study Analysis for Internal and External Orifices of Intervertebral Foramen Procedure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2; 6:96-102.
    CrossRef
  7. Hasegawa T, An HS, Haughton VM. Imaging anatomy of the lateral lumbar spinal canal. Semin Ultrasound CT MR. 1993;14(6):404-13.
    Pubmed CrossRef
  8. Nowicki BH, Haughton VM. Neural foraminal ligaments of the lumbar spine: appearance at CT and MR imaging. Radiology. 1992;183(1):257-64.
    Pubmed CrossRef
  9. Gregg L, Sorte DE, Gailloud P. Intraforaminal Location of Thoracolumbar Radicular Arteries Providing an Anterior Radiculomedullary Artery Using Flat Panel Catheter Angiotomography. AJNR Am J Neuroradiol. 2017;38(5):1054-1060.
    Pubmed KoreaMed CrossRef
  10. Orita S, Inage K, Eguchi Y, Kubota G, Aoki Y, Nakamura J, Matsuura Y, Furuya T, Koda M, Ohtori S. Lumbar foraminal stenosis, the hidden stenosis including at L5/S1. Eur J Orthop Surg Traumatol. 2016;26(7):685-93.
    Pubmed CrossRef
  11. Hasegawa T, An HS, Haughton VM, Nowicki BH. Lumbar foraminal stenosis: critical heights of the intervertebral discs and foramina: a cryomicrotome study in cadavera. J Bone Joint Surg Am. 1995;77:32-8.
    Pubmed CrossRef
  12. Schroeder GD, Kurd MF, Vaccaro AR. Lumbar Spinal Stenosis: How Is It Classified? J Am Acad Orthop Surg. 2016;24(12):843-52.
    Pubmed CrossRef
  13. Wiltse LL, Guyer RD, Spencer CW, Glenn WV, Porter IS. Alar transverse process impingement of the L5 spinal nerve: the far-out syndrome. Spine (Phila Pa 1976). 1984;9:31-41.
    Pubmed CrossRef
  14. Windsor RE, Storm S, Sugar 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common spinal injections. Pain Physician. 2003;6(4):473-83.
    Pubmed CrossRef
  15. Landefeld CS, Beyth RJ. Anticoagulant-related bleeding: clinical epidemiology, prediction, and prevention. Am J Med. 1993;95(3):315-28.
    Pubmed CrossRef
  16. Goodman BS, Posecion LW, Mallempati S, Bayazitoglu M. Complications and pitfalls of lumbar interlaminar and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s.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08 Dec;1(3-4):212-22.
    Pubmed KoreaMed CrossRef
  17. Bogduk N, ed. Practice Guidelines for Spinal Diagnostic and Treatment Procedures, 2nd ed. San Francisco, CA: International Spine Intervention Society; 2013.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Vol.8 No.2

December 2024

pISSN 2982-9976
eISSN 2983-0273

Frequency: Semiannual

Current Issue   |   Archives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