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Soft Tissue 2022; 6(1): 57-61

Published online June 30, 2022 https://doi.org/10.54461/JKMST.2022.6.1.57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Case Report of 2 Patient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한방치료로 호전된 양성 자세 현훈 치험 2례

Jin-Hyuk Lee* , Min-Ji O , Do-Gyong Kim

Suwon Bareuljung Korean Medicine Clinic, Suwon, Korea

수원 바를정한의원

Correspondence to:Jin-Hyuk Lee
Suwon Bareuljung Korean Medicine Clinic, 274 Gwongwang-ro, Paldal-gu, Suwon 16534, Korea
Tel: +82-31-217-3375
Fax: +82-31-213-0789
E-mail: ljhljh5@hanmail.net

Received: April 28, 2022; Revised: June 14, 2022; Accepted: June 15,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a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The two female patients was suffered with BPPV.
Methods: The patient was given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herapy, including acupuncture, acupotomy and Chuna manual therapy. Treatment progres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bjective improvement.
Results: After treatment, significant improvements of BPPV symptoms were shown.
Conclusion: This improvement might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BPPV.

KeywordsCase report, Acupuncture, Chuna manual therapy,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양성 자세 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는 난형낭반에서 이탈한 이석이 세반고리관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자세 변화시 심한 어지럼증이 특징적인 질환이다1). BPPV는 어지럼증의 환자 중 약 20%을 차지하여, 회전성 말초성 현훈 질환 중에서 가장 높은 원인 질환이다2). 대부분의 BPPV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7-17%는 외상, 내이염, 메니에르병, 편두통 등에 의하여 유발된다고 보고되었다3).

현재 BPPV의 양방 치료는 이석 부유물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이석 정복술을 1차 치료로 선택한다. 그 외에 내과적으로 전정억제제, 구토억제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나 인지 저하 혹은 졸림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어. 아직까지 이석 정복술 외에 다른 치료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현훈에 대한 한의학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증례 보고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BPPV에 대한 한의학 증례보고는 이, 안, 정, 박의 연구논문이 있었다5-8). 하지만 보고된 증례에서 침도치료를 포함한 BPPV의 한의 치료 증례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진은 침도 뿐만 아니라 침, 약침, 추나를 복합치료하여 환자의 BPPV로 인한 증상에 개선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증례는 BPPV 환자 2례에 다양한 한의치료를 통하여 어지럼증 증상의 개선뿐만 아니라 동반하는 여러 증상 개선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치료적 중재

1) 침 치료

환자의 증상에 대한 침 치료는 일회용 stainless steel 호침 (km침, 0.20×30 mm) 을 사용하였다. 침 치료의 혈자리로는 이문(耳門, TE21), 청궁(聽宮, SI19), 청회(聽會, GB2), 완골(完骨, GB12), 태양(太陽), 예풍(翳風, TE17), 풍지(風池, GB20), 풍부(風府, GV16), 견정(肩井, GV16) 을 이용하였으며, 약 20분 가량 유침하였다. 침을 유침하는 동안 이문(耳門, TE21), 예풍(翳風, TE17)에 침전기자극기(STN-330, 스트라텍, 3 Hz frequency)로 전기 자극을 가하였다.

2) 약침 치료

약침은 黃芩, 黃蓮, 黃柏, 梔子를 수증기 증류 냉각식 조제법에 의해 제조된 黃連解毒湯藥鍼(기린한의원 부설 원외탕전실, 강원도 원주시)을 사용하였다. 31 G 1회용 인슐린 주사기(FEEL TECH BIO CO., LTD)를 이용하여 양측 견정(肩井, GV16)과 환측 예풍(翳風, TE17), 이문(耳門, TE21)에 경혈 당 0.1 cc, 총 0.4 cc를 주사하였다.

3) 추나 치료

환자의 증상에 대한 추나 치료는 앙와위 또는 좌위 경추 교정기법으로 정골기법을 사용하였고, 경추 부위를 고속-저진폭으로 교정하였다. 또한 복와위 또는 좌위 흉추 교정기법을 통해서 하부 흉추에서부터 상부 흉추까지 교정하였다.

4) 침도치료

좌우 C1-C4 transverse process, facet joint 를 촉진 하여 압통여부를 확인 후 1-2지점을 표지점으로 선택 후 0.4×0.5 소침도를 사용하여 취혈하였다. 침도치료는 주 1-2회 실시하였다.

2. 호전도 판단 및 평가방법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증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어지럼증 및 오심, 구토 등의 자각적 증상에 대한 평가 도구로 VAS를 사용하였다.

가장 불편감이 심한 상태를 10, 전혀 불편감이 없는 상태를 0으로 하여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VAS의 변화를 통해 환자 증상의 호전도를 판단하였다.

3. 증례 1

1) 환자

안OO (F/48)

2) 주소증

어지럼증

3) 발병일

2018년 4월 6일

4) 과거력

2010년 BPPV

5) 현병력

상기 환자는 2010년 BPPV 발하여 이석정복술 등의 양방치료 후 호전되었으며, 상기 발병일에 재발하여 이비인후과 내원하여 BPPV 진단 후 이석정복술, 양약치료 후 별무호전 하여 2018년 4월 12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6) 치료기간과 경과

2018년 4월 12일부터 2018년 6월 28일까지 총 26회 방문하였으며 치료 경과에 따른 환자 진술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Case 1 patient’s symptoms change

DateSymptoms progress
Visit 1
(2018.4.12)
가만히 있을 때도 어지럽고, 눕고 일어날 때 많이 어지럽다. 우측으로 머리 돌리면 어지럼증 증가. 이명증상이 양측으로 있으며, 좌측귀가 더 심한 편. 명치 아래로 뻐근하고 머리가 저리고 멍하다. 소변 잔뇨감, 불면증, 피로감 심함
Visit 3
(2018.4.14)
금일 아침에 어지럼증 좀 덜해서 VAS 7. 소화기 울렁거림 및 불편감도 좋아져서 VAS 6-7
Visit 5
(2018.4.17)
계속 괜찮다가 월경 시작 후 어지럼증 조금 올라옴
Visit 10
(2018.4.22)
어지럼증은 VAS 4-5 정도로 많이 호전, BPPV 재발 이후로 정수리 부위 두통 있다고 하심
Visit 12
(2018.4.24)
어지럼증 VAS 2-3 으로 많이 좋아짐. 일상 생활시에 크게 나타나지 않음
Visit 22
(2018.5.11)
어지럼증 VAS 1정도로 호전. 가만히 있을 때, 우측으로 머리 돌릴 때, 누웠다가 일어날 때 많이 좋아짐. 가끔 오심 있으나 소화기 증상 많이 편해짐. 두통 및 머리 저림 거의 없어짐. 소변 잔뇨감 VAS 1-2로 많이 호전. 컨디션 호전.
Visit 27
(2018.5.18)
컨디션 좋은데 어지럼증 VAS 2-3정도로 미약하게 있음. 오늘은 좌측 팔, 손저림허리 통증으로 내원하셔서 병행치료 받으심
Visit 33
(2018.5.28)
어지럼증, 팔통증, 손저림 거의 없고 허리 통증만 조금 남아있음
Visit 38
(2018.6.12)
어지럼증은 없고 제사 준비로 목, 허리 통증
Visit 42
(2018.6.28)
어지럼증은 소실, 경미한 목, 허리 통증 남아있는 상태. 소화기 증상, 불면증, 잔뇨감 모두 호전된 상태로 컨디션 양호함

환자는 BPPV 과거력이 있는 상황에서 2018년 재발을 하였으며 이비인후과 치료에 별무호전 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초진 내원 당시에 회전성 어지럼증 외에 이명, 난청 소견이 있었고, 소화불량, 피로, 불면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이 함께 있었다. 치료 후 어지럼증 주증상이 단계적으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기타 제반 증상 또한 함께 호전되는 반응을 보였다. 치료 종료 당시에는 어지럼증 등의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제반 증상이 양호한 상태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4. 증례 2

1) 환자

장OO (F/38)

2) 주소증

어지럼증

3) 발병일

2018년 2월 15일

4) 과거력

3개월 전 뇌진탕.

5) 현병력

상기 환자는 상기 발병일에 어지럼증 발하여 이비인후과 내원하여 BPPV 진단 후 구토억제제, 위장약, 불안우울증 양약을 처방 받아 복용 중 2018년 3월 1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6) 치료경과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3월 31일까지 총 17회 방문하였으며 치료 경과에 따른 환자 진술은 Table 2과 같다.

Table 2 Case 2 patient’s symptoms change

환자 주관 진술
Visit 1
(2018.3.1)
양약복용 이후에도 구토 지속되고 명치부분이 답답함. 이명 오래되었고 원래 소화가 잘 안되는 편이었음. 앉아있는데도 계속 토할 것 같고 머리도 어지럽고 식은땀 난다. 불면증 있고 얼굴에 열이 많이 올라오는 편.
Visit 2
(2018.3.2)
어지럼증, 구토는 있으나 어제 치료 후 2-3시간 지나서는 좀 덜한 것 같다. 한시적으로 양약 같이 복용하시라고 설명드림
Visit 5
(2018.3.5)
현재 구토 소실, 울렁거림은 있으나 주기가 길어짐. 가슴 답답한 증상 VAS 6 정도로 호전.
Visit 7
(2018.3.8)
구토, 어지럼증, 오심 증상 모두 좋아짐. 울렁거림이 없어서 어제 식사를 좀 하셨다고 하심
Visit 10
(2018.3.12)
어지럼증, 구토, 오심 VAS 0-1정도로 거의 소실되어 가족 행사에 다녀온다고 하심
Visit 13
(2018.3.16)
어제 갈비탕 국물 드시고 나서 어지럼증, 두통 VAS 6-7정도로 올라옴.
Visit 15
(2018.3.28)
어지럼증, 울렁거림은 없으나 목이 붓고 아파서 치료해드림. 목이 부으니 귀 안 통증 호소
Visit 17
(2018.3.31)
어지럼증, 울렁거림 소실. 제반 컨디션 호전.

환자는 명절에 과로, 스트레스가 겹친 상태에서 증상이 나타났고, 이후 응급실에 내원하여 BPPV로 진단받은 후 이석정복술 후 양약 처방을 받아서 복용하였지만 증상 별무 호전하여 2018년 3월 1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초진 내원 당시 회전성 어지럼증, 이명 외에 오심, 구토, 소화불량, 식은땀, 불면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 또한 심하였다. 치료 시작 일주일 후에는 어지럼증, 오심, 구토 증상이 상당 부분 좋아졌으며, 3월 31일 치료 종료 당시 어지럼증, 오심, 구토 증상이 소실되고 제반 증상이 양호한 상태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BPPV 환자들은 현훈 외에 자율신경계 및 소화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으로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며 이 중 상당수는 이석정복술, 양약 등으로 증상의 호전이 잘 안되는 경험을 하고, 재발률 또한 15-5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석정복술 후에도 증상이 경감되지 않거나 어지럼증 증상이 재발된 경우에 한의치료를 일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성 자세 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은 타원낭의 평형반 내의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이탈하여 두위에 따른 내림프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증상은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할 때 간헐적 혹은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안진과 현기증이 특징이며, 아침에 기상 시 갑작스럽게 회전감 있는 현훈과 평형장애가 나타나며 특히 누워서 목을 움직여 머리의 방향을 바꿀 때 증상이 쉽게 나타난다. 어지러운 증상은 머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짧게는 10초에서 대개 1분 전후로 사라진다. 어지러운 동안 오심, 구토가 동반되며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8).

역학적으로 BPPV는 말초성 회전성 어지럼증의 가장 높은 원인 질환으로9), 어지럼증으로 이비인후과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14.4%를 차지한다10). 여성에서 2-3배 흔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BPPV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며, 재발율은 20-30%정도로 알려져 있다11).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드물게 두부 외상, 상기도 감염, 중이염, 전정신경염 등이 선행되고, 편두통이나 메니에르 등에서 동반될 수 있다. 서양의학 치료로는 현훈의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전정 억제제, 구토억제제의 투여, 이석 정복술, 전정 재활 치료 등이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석을 되돌리는 정복술을 1회 시행 시 실패한 사례는 12%-56%로 보고되었으며, 전정억제제 등의 약물 복용은 일시적으로 증상은 완화되지만 인지 저하 또는 졸림 등의 다른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을 피해야 한다12,13). 전정 재활 운동치료는 자연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전정 적응(vestibular adaptation), 대치(substitution)의 세가지 기전을 통한 회복이 촉진되도록 하는 운동으로 이 역시 근본적 치료는 될 수 없다14).

두개부 말초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경우 BPPV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때문에 BPPV의 회복에 있어서도 말초혈관의 순환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이나 반고리관으로의 혈액 공급이 않기 때문이다15).

이 과정에서 두경부의 경혈, 근육 등을 자침 포인트로 하는 침, 약침, 도침 등의 한의치료는 전정기관의 혈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BPPV에 치료작용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치료는 귀 주변부, 측두부, 두경부의 말초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혈자리를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약침요법은 經絡학설의 원리에 근거하여 한약 제재를 멸균방식으로 제조하여 환자의 경혈, 혈위 혹은 압통점에 주입하는 치료방법이다. 황련해독탕 약침은 黃芩, 黃蓮, 黃柏, 梔子로 구성되어 消炎, 鎭痛, 淸熱解毒 또는 淸熱止痛 등의 효과가 있다.

침도요법은 날카로운 침도 말단을 통한 미세절개를 통하여 근육연축을 줄이고 신경 및 혈관포착을 해소할 수 있는 한의학 치료법이다. 침도요법이 치료기전은 연부조직의 유착과 반흔을 박리하여 원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며, 주로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근골격계질환에 다용되고 있다16). 근골격계 질환 이외에도 심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17), 말초성 안면마비와 이후통에 침도요법을 활용하는18) 등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PPV에 침도요법이 가지는 임상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경추 1, 2, 3번 횡돌기의 침도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는 superior cervical ganglion을 자극하여 귀로 가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경의 흐름을 좋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9). 또한 상위 경추부 신경의 지배를 받는 승모근 상부, 흉쇄유돌근, 경추 후부 근육 등 두경부 근막과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 두경부의 기혈 소통과 말초 혈류 순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리라 추정된다20).

본 연구는 BPPV의 한의 치료의 효과에 대해 유의미한 임상결과를 얻었지만 증례보고가 가지는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진료 시 환자가 호소하는 소견으로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였기에 대증 치료에 대한 결과만 관찰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침 치료, 침도치료, 약침 치료 및 추나 치료가 동시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환자 증상 개선에 있어서 단일 중재의 효과를 명확히 파악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증례 보고 연구로, 후향적 보고 성격을 띄는 연구의 설계 상 임상 효과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BPPV 질환에 대해 침도치료를 포함한 한의치료에 대한 추가 증례 보고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018년에 본원으로 내원한 BPPV 환자 2례를 대상으로 치료하여 어지럼증 및 그 외 제반 증상이 거의 소실되어 유의미한 임상 결과를 얻었다. 단,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에 대한 증례보고이므로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다. 앞으로 BPPV의 한의학적 치료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관련 주제에 대한 임상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1. Bhattacharyya N, Baugh RF, Orvidas L, Barrs D, Bronston LJ, Cass S, Chalian AA, Desmond AL, Earll JM, Fife TD, Fuller DC, Judge JO, Mann NR, Rosenfeld RM, Schuring LT, Steiner RW, Whiteny SL, Haidari JH.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Found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139(5):47-81.
    Pubmed CrossRef
  2. Kim CS, Park SM. Pathogenesi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orean J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08;40(1):62-70.
  3. Kim MK, Kim HR, Jun HW, Byun HY, Chung JH, Lee SH. Risk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of Recurrent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9;62(10):562-7.
    CrossRef
  4. Lee SG, Lee JH, Kim YE. Four Case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Diagnosed as Damhu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3):734-9.
  5. An SH, Choi JS, Cho CS, Kim CJ. Five Case Report of Peripheral Vertigo Diagnosed Dam Hun with Oriental Medcal Treatment - Banhabaeckchulchunma-tang gaga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1):263-8.
  6. Choi YY, Byun JA, Kim SY, Hwang ML, An JH, Jung HA. Three Cases of Acut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Improve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21; 34(4):134-45.
  7. Park YH, Lim BR, Ok HJ, Sun JJ, Park JH. Case of Combined Eastern-Wester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Diagnosed with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fter Acute Vestibular Neuritis. J Int Korean Med. 2016;37(2):273-82.
  8. Song JS, Lee YJ, Choi JH, Kim JH, Park SY, Seo MS. Three case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 treated with Yeonggyechulgam-tang. The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raryngology & Dermatology. 2010;23(2):210-7.
  9. Kim GS, Kim KL, Park DI, Lee JS. A case study of a vertigo patient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6;37(5):903-9.
    CrossRef
  10. So UK. Clinical impact analysi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in clinics, Degree for doc. of Woo suck Univ. 2013:1-19.
  11. Parnes LS, Agrawal SK, Atlas 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3;169(7):681-93.
  12. Furman JM, Cass SP.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N Engl J Med. 1999;341:1590-6.
    Pubmed CrossRef
  13. Macias JD, Lambert KM, Massingale S, Ellensohn A, Fritz JA. Variables affecting treatment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Laryngoscope. 2000;110:1921-4.
    Pubmed CrossRef
  14. Brandt T, Daroff RB. Physical therapy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rch Otolaryngol. 1980;106: 484-5.
    Pubmed CrossRef
  15. Ishiyama A, Jacobson KM, Baloh RW. Migraine and benign positional vertigo. Ann Otol Rhinol Laryngol. 2000; 109:377-80.
    Pubmed CrossRef
  16. Kang CS, Yang HM. Acupotomy and clinic. Seoul:Dawoo. 2011:21-44, 93-105, 137-54.
  17. Kim MJ, Hong KE. A case report of congestive heart failure treated with acupotomy therapy. The Acupuncture. 2009;26(2):207-12.
  18. Lee ES, Jeong JY, Seo DG. Clinical Research of Cervical Acupotomy Effects with Acupuncture on Facial & Trigemial Nerve Branch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nd Postauricular Pain. The Acupuncture. 2014;31(4):143-54.
    CrossRef
  19. Jin SY, Wang SH, Lee JH, Kang HY. Case Report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Using Acupuncture and Acupotomy. JKMST. 2021;5(2):180-89.
    CrossRef
  20. Lee ES, Jeong JY, Seo DG. Clinical Research of Cervical Acupotomy Effects with Acupuncture on Facial & Trigemial Nerve Branch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nd Postauricular Pain. The Acupuncture. 2014;31(4):143-54.
    CrossRef

Article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Soft Tissue 2022; 6(1): 57-61

Published online June 30, 2022 https://doi.org/10.54461/JKMST.2022.6.1.57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Case Report of 2 Patient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Jin-Hyuk Lee* , Min-Ji O , Do-Gyong Kim

Suwon Bareuljung Korean Medicine Clinic, Suwon, Korea

Correspondence to:Jin-Hyuk Lee
Suwon Bareuljung Korean Medicine Clinic, 274 Gwongwang-ro, Paldal-gu, Suwon 16534, Korea
Tel: +82-31-217-3375
Fax: +82-31-213-0789
E-mail: ljhljh5@hanmail.net

Received: April 28, 2022; Revised: June 14, 2022; Accepted: June 15, 2022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a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The two female patients was suffered with BPPV.
Methods: The patient was given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herapy, including acupuncture, acupotomy and Chuna manual therapy. Treatment progres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bjective improvement.
Results: After treatment, significant improvements of BPPV symptoms were shown.
Conclusion: This improvement might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BPPV.

Keywords: Case report, Acupuncture, Chuna manual therapy,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NTRODUCTION

양성 자세 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는 난형낭반에서 이탈한 이석이 세반고리관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자세 변화시 심한 어지럼증이 특징적인 질환이다1). BPPV는 어지럼증의 환자 중 약 20%을 차지하여, 회전성 말초성 현훈 질환 중에서 가장 높은 원인 질환이다2). 대부분의 BPPV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7-17%는 외상, 내이염, 메니에르병, 편두통 등에 의하여 유발된다고 보고되었다3).

현재 BPPV의 양방 치료는 이석 부유물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이석 정복술을 1차 치료로 선택한다. 그 외에 내과적으로 전정억제제, 구토억제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나 인지 저하 혹은 졸림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어. 아직까지 이석 정복술 외에 다른 치료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현훈에 대한 한의학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증례 보고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BPPV에 대한 한의학 증례보고는 이, 안, 정, 박의 연구논문이 있었다5-8). 하지만 보고된 증례에서 침도치료를 포함한 BPPV의 한의 치료 증례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진은 침도 뿐만 아니라 침, 약침, 추나를 복합치료하여 환자의 BPPV로 인한 증상에 개선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증례는 BPPV 환자 2례에 다양한 한의치료를 통하여 어지럼증 증상의 개선뿐만 아니라 동반하는 여러 증상 개선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ASE REPORT

1. 치료적 중재

1) 침 치료

환자의 증상에 대한 침 치료는 일회용 stainless steel 호침 (km침, 0.20×30 mm) 을 사용하였다. 침 치료의 혈자리로는 이문(耳門, TE21), 청궁(聽宮, SI19), 청회(聽會, GB2), 완골(完骨, GB12), 태양(太陽), 예풍(翳風, TE17), 풍지(風池, GB20), 풍부(風府, GV16), 견정(肩井, GV16) 을 이용하였으며, 약 20분 가량 유침하였다. 침을 유침하는 동안 이문(耳門, TE21), 예풍(翳風, TE17)에 침전기자극기(STN-330, 스트라텍, 3 Hz frequency)로 전기 자극을 가하였다.

2) 약침 치료

약침은 黃芩, 黃蓮, 黃柏, 梔子를 수증기 증류 냉각식 조제법에 의해 제조된 黃連解毒湯藥鍼(기린한의원 부설 원외탕전실, 강원도 원주시)을 사용하였다. 31 G 1회용 인슐린 주사기(FEEL TECH BIO CO., LTD)를 이용하여 양측 견정(肩井, GV16)과 환측 예풍(翳風, TE17), 이문(耳門, TE21)에 경혈 당 0.1 cc, 총 0.4 cc를 주사하였다.

3) 추나 치료

환자의 증상에 대한 추나 치료는 앙와위 또는 좌위 경추 교정기법으로 정골기법을 사용하였고, 경추 부위를 고속-저진폭으로 교정하였다. 또한 복와위 또는 좌위 흉추 교정기법을 통해서 하부 흉추에서부터 상부 흉추까지 교정하였다.

4) 침도치료

좌우 C1-C4 transverse process, facet joint 를 촉진 하여 압통여부를 확인 후 1-2지점을 표지점으로 선택 후 0.4×0.5 소침도를 사용하여 취혈하였다. 침도치료는 주 1-2회 실시하였다.

2. 호전도 판단 및 평가방법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증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어지럼증 및 오심, 구토 등의 자각적 증상에 대한 평가 도구로 VAS를 사용하였다.

가장 불편감이 심한 상태를 10, 전혀 불편감이 없는 상태를 0으로 하여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VAS의 변화를 통해 환자 증상의 호전도를 판단하였다.

3. 증례 1

1) 환자

안OO (F/48)

2) 주소증

어지럼증

3) 발병일

2018년 4월 6일

4) 과거력

2010년 BPPV

5) 현병력

상기 환자는 2010년 BPPV 발하여 이석정복술 등의 양방치료 후 호전되었으며, 상기 발병일에 재발하여 이비인후과 내원하여 BPPV 진단 후 이석정복술, 양약치료 후 별무호전 하여 2018년 4월 12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6) 치료기간과 경과

2018년 4월 12일부터 2018년 6월 28일까지 총 26회 방문하였으며 치료 경과에 따른 환자 진술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Case 1 patient’s symptoms change.

DateSymptoms progress
Visit 1
(2018.4.12)
가만히 있을 때도 어지럽고, 눕고 일어날 때 많이 어지럽다. 우측으로 머리 돌리면 어지럼증 증가. 이명증상이 양측으로 있으며, 좌측귀가 더 심한 편. 명치 아래로 뻐근하고 머리가 저리고 멍하다. 소변 잔뇨감, 불면증, 피로감 심함
Visit 3
(2018.4.14)
금일 아침에 어지럼증 좀 덜해서 VAS 7. 소화기 울렁거림 및 불편감도 좋아져서 VAS 6-7
Visit 5
(2018.4.17)
계속 괜찮다가 월경 시작 후 어지럼증 조금 올라옴
Visit 10
(2018.4.22)
어지럼증은 VAS 4-5 정도로 많이 호전, BPPV 재발 이후로 정수리 부위 두통 있다고 하심
Visit 12
(2018.4.24)
어지럼증 VAS 2-3 으로 많이 좋아짐. 일상 생활시에 크게 나타나지 않음
Visit 22
(2018.5.11)
어지럼증 VAS 1정도로 호전. 가만히 있을 때, 우측으로 머리 돌릴 때, 누웠다가 일어날 때 많이 좋아짐. 가끔 오심 있으나 소화기 증상 많이 편해짐. 두통 및 머리 저림 거의 없어짐. 소변 잔뇨감 VAS 1-2로 많이 호전. 컨디션 호전.
Visit 27
(2018.5.18)
컨디션 좋은데 어지럼증 VAS 2-3정도로 미약하게 있음. 오늘은 좌측 팔, 손저림허리 통증으로 내원하셔서 병행치료 받으심
Visit 33
(2018.5.28)
어지럼증, 팔통증, 손저림 거의 없고 허리 통증만 조금 남아있음
Visit 38
(2018.6.12)
어지럼증은 없고 제사 준비로 목, 허리 통증
Visit 42
(2018.6.28)
어지럼증은 소실, 경미한 목, 허리 통증 남아있는 상태. 소화기 증상, 불면증, 잔뇨감 모두 호전된 상태로 컨디션 양호함


환자는 BPPV 과거력이 있는 상황에서 2018년 재발을 하였으며 이비인후과 치료에 별무호전 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초진 내원 당시에 회전성 어지럼증 외에 이명, 난청 소견이 있었고, 소화불량, 피로, 불면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이 함께 있었다. 치료 후 어지럼증 주증상이 단계적으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기타 제반 증상 또한 함께 호전되는 반응을 보였다. 치료 종료 당시에는 어지럼증 등의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제반 증상이 양호한 상태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4. 증례 2

1) 환자

장OO (F/38)

2) 주소증

어지럼증

3) 발병일

2018년 2월 15일

4) 과거력

3개월 전 뇌진탕.

5) 현병력

상기 환자는 상기 발병일에 어지럼증 발하여 이비인후과 내원하여 BPPV 진단 후 구토억제제, 위장약, 불안우울증 양약을 처방 받아 복용 중 2018년 3월 1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6) 치료경과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3월 31일까지 총 17회 방문하였으며 치료 경과에 따른 환자 진술은 Table 2과 같다.

Table 2 . Case 2 patient’s symptoms change.

환자 주관 진술
Visit 1
(2018.3.1)
양약복용 이후에도 구토 지속되고 명치부분이 답답함. 이명 오래되었고 원래 소화가 잘 안되는 편이었음. 앉아있는데도 계속 토할 것 같고 머리도 어지럽고 식은땀 난다. 불면증 있고 얼굴에 열이 많이 올라오는 편.
Visit 2
(2018.3.2)
어지럼증, 구토는 있으나 어제 치료 후 2-3시간 지나서는 좀 덜한 것 같다. 한시적으로 양약 같이 복용하시라고 설명드림
Visit 5
(2018.3.5)
현재 구토 소실, 울렁거림은 있으나 주기가 길어짐. 가슴 답답한 증상 VAS 6 정도로 호전.
Visit 7
(2018.3.8)
구토, 어지럼증, 오심 증상 모두 좋아짐. 울렁거림이 없어서 어제 식사를 좀 하셨다고 하심
Visit 10
(2018.3.12)
어지럼증, 구토, 오심 VAS 0-1정도로 거의 소실되어 가족 행사에 다녀온다고 하심
Visit 13
(2018.3.16)
어제 갈비탕 국물 드시고 나서 어지럼증, 두통 VAS 6-7정도로 올라옴.
Visit 15
(2018.3.28)
어지럼증, 울렁거림은 없으나 목이 붓고 아파서 치료해드림. 목이 부으니 귀 안 통증 호소
Visit 17
(2018.3.31)
어지럼증, 울렁거림 소실. 제반 컨디션 호전.


환자는 명절에 과로, 스트레스가 겹친 상태에서 증상이 나타났고, 이후 응급실에 내원하여 BPPV로 진단받은 후 이석정복술 후 양약 처방을 받아서 복용하였지만 증상 별무 호전하여 2018년 3월 1일 본원에 내원하였다. 초진 내원 당시 회전성 어지럼증, 이명 외에 오심, 구토, 소화불량, 식은땀, 불면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 또한 심하였다. 치료 시작 일주일 후에는 어지럼증, 오심, 구토 증상이 상당 부분 좋아졌으며, 3월 31일 치료 종료 당시 어지럼증, 오심, 구토 증상이 소실되고 제반 증상이 양호한 상태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BPPV 환자들은 현훈 외에 자율신경계 및 소화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으로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며 이 중 상당수는 이석정복술, 양약 등으로 증상의 호전이 잘 안되는 경험을 하고, 재발률 또한 15-5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석정복술 후에도 증상이 경감되지 않거나 어지럼증 증상이 재발된 경우에 한의치료를 일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CUSSION

양성 자세 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은 타원낭의 평형반 내의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이탈하여 두위에 따른 내림프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증상은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할 때 간헐적 혹은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안진과 현기증이 특징이며, 아침에 기상 시 갑작스럽게 회전감 있는 현훈과 평형장애가 나타나며 특히 누워서 목을 움직여 머리의 방향을 바꿀 때 증상이 쉽게 나타난다. 어지러운 증상은 머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짧게는 10초에서 대개 1분 전후로 사라진다. 어지러운 동안 오심, 구토가 동반되며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8).

역학적으로 BPPV는 말초성 회전성 어지럼증의 가장 높은 원인 질환으로9), 어지럼증으로 이비인후과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14.4%를 차지한다10). 여성에서 2-3배 흔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BPPV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며, 재발율은 20-30%정도로 알려져 있다11).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드물게 두부 외상, 상기도 감염, 중이염, 전정신경염 등이 선행되고, 편두통이나 메니에르 등에서 동반될 수 있다. 서양의학 치료로는 현훈의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전정 억제제, 구토억제제의 투여, 이석 정복술, 전정 재활 치료 등이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석을 되돌리는 정복술을 1회 시행 시 실패한 사례는 12%-56%로 보고되었으며, 전정억제제 등의 약물 복용은 일시적으로 증상은 완화되지만 인지 저하 또는 졸림 등의 다른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을 피해야 한다12,13). 전정 재활 운동치료는 자연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전정 적응(vestibular adaptation), 대치(substitution)의 세가지 기전을 통한 회복이 촉진되도록 하는 운동으로 이 역시 근본적 치료는 될 수 없다14).

두개부 말초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경우 BPPV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때문에 BPPV의 회복에 있어서도 말초혈관의 순환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이나 반고리관으로의 혈액 공급이 않기 때문이다15).

이 과정에서 두경부의 경혈, 근육 등을 자침 포인트로 하는 침, 약침, 도침 등의 한의치료는 전정기관의 혈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BPPV에 치료작용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치료는 귀 주변부, 측두부, 두경부의 말초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혈자리를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약침요법은 經絡학설의 원리에 근거하여 한약 제재를 멸균방식으로 제조하여 환자의 경혈, 혈위 혹은 압통점에 주입하는 치료방법이다. 황련해독탕 약침은 黃芩, 黃蓮, 黃柏, 梔子로 구성되어 消炎, 鎭痛, 淸熱解毒 또는 淸熱止痛 등의 효과가 있다.

침도요법은 날카로운 침도 말단을 통한 미세절개를 통하여 근육연축을 줄이고 신경 및 혈관포착을 해소할 수 있는 한의학 치료법이다. 침도요법이 치료기전은 연부조직의 유착과 반흔을 박리하여 원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며, 주로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근골격계질환에 다용되고 있다16). 근골격계 질환 이외에도 심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17), 말초성 안면마비와 이후통에 침도요법을 활용하는18) 등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PPV에 침도요법이 가지는 임상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경추 1, 2, 3번 횡돌기의 침도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는 superior cervical ganglion을 자극하여 귀로 가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경의 흐름을 좋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9). 또한 상위 경추부 신경의 지배를 받는 승모근 상부, 흉쇄유돌근, 경추 후부 근육 등 두경부 근막과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 두경부의 기혈 소통과 말초 혈류 순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리라 추정된다20).

본 연구는 BPPV의 한의 치료의 효과에 대해 유의미한 임상결과를 얻었지만 증례보고가 가지는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진료 시 환자가 호소하는 소견으로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였기에 대증 치료에 대한 결과만 관찰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침 치료, 침도치료, 약침 치료 및 추나 치료가 동시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환자 증상 개선에 있어서 단일 중재의 효과를 명확히 파악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증례 보고 연구로, 후향적 보고 성격을 띄는 연구의 설계 상 임상 효과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BPPV 질환에 대해 침도치료를 포함한 한의치료에 대한 추가 증례 보고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ONCLUSION

2018년에 본원으로 내원한 BPPV 환자 2례를 대상으로 치료하여 어지럼증 및 그 외 제반 증상이 거의 소실되어 유의미한 임상 결과를 얻었다. 단,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에 대한 증례보고이므로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다. 앞으로 BPPV의 한의학적 치료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관련 주제에 대한 임상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Table 1 Case 1 patient’s symptoms change

DateSymptoms progress
Visit 1
(2018.4.12)
가만히 있을 때도 어지럽고, 눕고 일어날 때 많이 어지럽다. 우측으로 머리 돌리면 어지럼증 증가. 이명증상이 양측으로 있으며, 좌측귀가 더 심한 편. 명치 아래로 뻐근하고 머리가 저리고 멍하다. 소변 잔뇨감, 불면증, 피로감 심함
Visit 3
(2018.4.14)
금일 아침에 어지럼증 좀 덜해서 VAS 7. 소화기 울렁거림 및 불편감도 좋아져서 VAS 6-7
Visit 5
(2018.4.17)
계속 괜찮다가 월경 시작 후 어지럼증 조금 올라옴
Visit 10
(2018.4.22)
어지럼증은 VAS 4-5 정도로 많이 호전, BPPV 재발 이후로 정수리 부위 두통 있다고 하심
Visit 12
(2018.4.24)
어지럼증 VAS 2-3 으로 많이 좋아짐. 일상 생활시에 크게 나타나지 않음
Visit 22
(2018.5.11)
어지럼증 VAS 1정도로 호전. 가만히 있을 때, 우측으로 머리 돌릴 때, 누웠다가 일어날 때 많이 좋아짐. 가끔 오심 있으나 소화기 증상 많이 편해짐. 두통 및 머리 저림 거의 없어짐. 소변 잔뇨감 VAS 1-2로 많이 호전. 컨디션 호전.
Visit 27
(2018.5.18)
컨디션 좋은데 어지럼증 VAS 2-3정도로 미약하게 있음. 오늘은 좌측 팔, 손저림허리 통증으로 내원하셔서 병행치료 받으심
Visit 33
(2018.5.28)
어지럼증, 팔통증, 손저림 거의 없고 허리 통증만 조금 남아있음
Visit 38
(2018.6.12)
어지럼증은 없고 제사 준비로 목, 허리 통증
Visit 42
(2018.6.28)
어지럼증은 소실, 경미한 목, 허리 통증 남아있는 상태. 소화기 증상, 불면증, 잔뇨감 모두 호전된 상태로 컨디션 양호함

Table 2 Case 2 patient’s symptoms change

환자 주관 진술
Visit 1
(2018.3.1)
양약복용 이후에도 구토 지속되고 명치부분이 답답함. 이명 오래되었고 원래 소화가 잘 안되는 편이었음. 앉아있는데도 계속 토할 것 같고 머리도 어지럽고 식은땀 난다. 불면증 있고 얼굴에 열이 많이 올라오는 편.
Visit 2
(2018.3.2)
어지럼증, 구토는 있으나 어제 치료 후 2-3시간 지나서는 좀 덜한 것 같다. 한시적으로 양약 같이 복용하시라고 설명드림
Visit 5
(2018.3.5)
현재 구토 소실, 울렁거림은 있으나 주기가 길어짐. 가슴 답답한 증상 VAS 6 정도로 호전.
Visit 7
(2018.3.8)
구토, 어지럼증, 오심 증상 모두 좋아짐. 울렁거림이 없어서 어제 식사를 좀 하셨다고 하심
Visit 10
(2018.3.12)
어지럼증, 구토, 오심 VAS 0-1정도로 거의 소실되어 가족 행사에 다녀온다고 하심
Visit 13
(2018.3.16)
어제 갈비탕 국물 드시고 나서 어지럼증, 두통 VAS 6-7정도로 올라옴.
Visit 15
(2018.3.28)
어지럼증, 울렁거림은 없으나 목이 붓고 아파서 치료해드림. 목이 부으니 귀 안 통증 호소
Visit 17
(2018.3.31)
어지럼증, 울렁거림 소실. 제반 컨디션 호전.

References

  1. Bhattacharyya N, Baugh RF, Orvidas L, Barrs D, Bronston LJ, Cass S, Chalian AA, Desmond AL, Earll JM, Fife TD, Fuller DC, Judge JO, Mann NR, Rosenfeld RM, Schuring LT, Steiner RW, Whiteny SL, Haidari JH.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Found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139(5):47-81.
    Pubmed CrossRef
  2. Kim CS, Park SM. Pathogenesi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orean J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08;40(1):62-70.
  3. Kim MK, Kim HR, Jun HW, Byun HY, Chung JH, Lee SH. Risk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of Recurrent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9;62(10):562-7.
    CrossRef
  4. Lee SG, Lee JH, Kim YE. Four Case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Diagnosed as Damhu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3):734-9.
  5. An SH, Choi JS, Cho CS, Kim CJ. Five Case Report of Peripheral Vertigo Diagnosed Dam Hun with Oriental Medcal Treatment - Banhabaeckchulchunma-tang gaga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9;23(1):263-8.
  6. Choi YY, Byun JA, Kim SY, Hwang ML, An JH, Jung HA. Three Cases of Acut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Improve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21; 34(4):134-45.
  7. Park YH, Lim BR, Ok HJ, Sun JJ, Park JH. Case of Combined Eastern-Wester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Diagnosed with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fter Acute Vestibular Neuritis. J Int Korean Med. 2016;37(2):273-82.
  8. Song JS, Lee YJ, Choi JH, Kim JH, Park SY, Seo MS. Three case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 treated with Yeonggyechulgam-tang. The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raryngology & Dermatology. 2010;23(2):210-7.
  9. Kim GS, Kim KL, Park DI, Lee JS. A case study of a vertigo patient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6;37(5):903-9.
    CrossRef
  10. So UK. Clinical impact analysis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in clinics, Degree for doc. of Woo suck Univ. 2013:1-19.
  11. Parnes LS, Agrawal SK, Atlas 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3;169(7):681-93.
  12. Furman JM, Cass SP.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N Engl J Med. 1999;341:1590-6.
    Pubmed CrossRef
  13. Macias JD, Lambert KM, Massingale S, Ellensohn A, Fritz JA. Variables affecting treatment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Laryngoscope. 2000;110:1921-4.
    Pubmed CrossRef
  14. Brandt T, Daroff RB. Physical therapy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rch Otolaryngol. 1980;106: 484-5.
    Pubmed CrossRef
  15. Ishiyama A, Jacobson KM, Baloh RW. Migraine and benign positional vertigo. Ann Otol Rhinol Laryngol. 2000; 109:377-80.
    Pubmed CrossRef
  16. Kang CS, Yang HM. Acupotomy and clinic. Seoul:Dawoo. 2011:21-44, 93-105, 137-54.
  17. Kim MJ, Hong KE. A case report of congestive heart failure treated with acupotomy therapy. The Acupuncture. 2009;26(2):207-12.
  18. Lee ES, Jeong JY, Seo DG. Clinical Research of Cervical Acupotomy Effects with Acupuncture on Facial & Trigemial Nerve Branch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nd Postauricular Pain. The Acupuncture. 2014;31(4):143-54.
    CrossRef
  19. Jin SY, Wang SH, Lee JH, Kang HY. Case Report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Using Acupuncture and Acupotomy. JKMST. 2021;5(2):180-89.
    CrossRef
  20. Lee ES, Jeong JY, Seo DG. Clinical Research of Cervical Acupotomy Effects with Acupuncture on Facial & Trigemial Nerve Branch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nd Postauricular Pain. The Acupuncture. 2014;31(4):143-54.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