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1): 7-14
Published online June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1.7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Jaeseok Kim1,* , Sehun Jung2 , Hongik Kim3
Correspondence to:Jaeseok Kim
Anapa Korean Medicine Clinic, 64, 3rd floor, Yangpyeong-ro, Yeongdeungpo-gu, Seoul 07222, Korea
Tel: +82-2-2635-3570
Fax: +82-2-2635-3573
E-mail: md.kimjaeseok@gmail.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Adhesion after Liposuction can occur due to injuries to muscles and fascia, leading to skin adhesions, contracted fibrosis. In such cases, adhesions and fibrosis can be removed using Acupotomy. However, in the abdomen, there is a risk of damaging organs as the thickness of the muscle layer varies between individuals.
Methods: The surgical site and areas of complaint are observed in patients who complain of postoperative symptoms and pain-inducing movements. Ultrasound scans are used to confirm that the tissue suspected of causing problems is located 2-2.5 cm below the area where the patient reports pain, and Acupotomy are then used on the tissue.
Results: The ultrasound-guided Acupotomy treatment was continu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NRS to 3, and the patient’s discomfort in daily lif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Ultrasound-guided Acupotomy is effective for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abdominal etching. For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dhesion in the abdomen, there is a need for ultrasound guidance to consider anatomical characteristics.
KeywordsUltrasound-guided acupotomy, Adhesion after operation
침도시술은 한의학적 침구이론과 현대의학의 수술요법을 결합하여 만든 신침 요법이며 연부조직을 유착, 박리하거나 절개, 혹은 절단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고질적 동통성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요법이다1). 연부조직의 병변에 발생한 유착(Adhesion)은 외상, 외과수술, 오랜 고정 이후 콜라겐 섬유가 주위조직에 늘어붙고 섬유화되어 연부조직의 정상적인 탄력성을 잃어버리게 만드는데, 이러한 경우에 침도 요법을 시행하면 유착된 연부조직 및 섬유화된 부위를 효과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2). 이와 같은 이유로 침도는 만성화된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에 임상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3).
Liposuction (지방 흡입술)은 미용 성형수술의 한 방법으로 Cannula라고 불리는 도구를 이용하여 지방조직내 지방을 끌어내어 빈틈을 만들고 흡입기를 통해 지방을 제거하는 것으로4),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시술된 성형 시술이다5). Liposuction은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과거에 단순히 지방을 제거하는 것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현대에는 몸을 조각하고 성형하는 수준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지방흡입술은 2017년 기준 남성들이 가장 많이 시술 받은 성형 수술이었으며 그 중 가슴과 복부의 지방 흡입술은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4). 지방 흡입 시 깊게 시술하여서 근육과 근막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의 유착과 퇴축된 섬유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수술 후에 압박이 심한 옷을 입거나 수술 부위에 고르지 않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부위에 유착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복부에 주로 발생한다6).
지방 흡입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은 부작용은 형태의 불규칙, 장액종, 색소침착, 흉터, 만성 경화 등이 있으며7) 한 연구에서는 미용 지방성형을 한 환자들 중 일부가 색소침착(66.18%), 장액종(29.97%), 섬유성 경결(19.9%)을 호소함을 보고하였고 대부분 자연스러운 경과로 4-8주 이내에 해당 부작용이 사라진다고 보았다. 다만 수술시의 과도한 절제 및 섬유질 절개, 지방 흡입시에 가해지는 마찰 및 압박, 의복에 의해 유발되는 압력, 지방 흡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섬유증이나 경결이 완고히 생길 수 있고 대부분 부신피질호르몬(corticoid treatment) 계열 치료제를 통해 증상의 경감을 기대하나 명확한 치료법이 존재하지는 않는8)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환자는 20대에 복부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 3회, 둔부와 내전부 부위 지방흡입 1회를 시행한 후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다가 갑작스러운 큰 외상 사고 이후 과거 수술 부위 주변 및 골반 및 서혜부, 음부 부위들의 통증의 양상이 요추와 천추 신경 레벨의 신경 증상이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진은 이를 복부 성형 후 발생한 유착 및 통증으로 인식하고 대한침도의학회의 치료법인 침도 치료를 초음파 유도 후 시행하여 호전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기환자는 20대에 9년에 걸쳐 지방흡입 수술 및 시술을 4차례 시행한 30세 남자 환자로, 아나파 한의원에서 2022년 12월 27일부터 2023년 4월 18일까지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 개선을 위한 치료를 진행하였다.
상기 환자는 21세와 24세에 상복부 지방 흡입, 25세에 서혜부, 하복부 지방 흡입, 29세에 허벅지 안쪽 지방 흡입을 시행한 환자로서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수술한 후에는 병원에 내원할 정도의 신체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으나 22년 8월 엘리베이터가 추락하는 외상 사고를 당한 후 증상이 매우 심해졌다. 환자는 걷거나 누워 있을 때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통증이 심한 날에는 잠을 자지 못할 정도였다. 상기 환자는 지속되는 극심한 통증으로 운동을 할 수 없었고, 시험 준비로 오래 앉아 있으면서 증상이 심해졌다. 본원에 내원하기 이전 정형외과와 마취통증의학과 병원에서 고관절 및 치골 염증소견을 진단받고 허리, 엉덩이 부위에 프롤로 주사 5회를 시행한 뒤 작열감과 근육을 도려내는 느낌은 조금 나아졌으나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본원으로 내원하게 되었다.
2022년 12월 27일 본원에 내원하여 환자의 통증을 검사해본 결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천장관절, 좌골신경, 좌골결절, Inguinal ligament 부위에 압통이 있었으며, 치골 결합 부위에 열감과 손만 대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을 보였다. 또한 음부신경에서 당기는 느낌과 고환까지 당기는 통증과 성기 끝에 꼬맨 자국이 있는 곳에서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고환부위의 열감과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치골과 서혜부의 통증이 지속적으로 심한 상태에서 치골 부위는 마약성 진통제 복용하면 통증이 경감되었으나, 서혜부 쪽은 전혀 호전 없는 모습을 보였다. 신경학적인 검사를 위해 Pinch roll test를 시행시 Supra cluneal nerve, Infra cluneal nerve, Pudendal nerve, Perineal nerve가 양성 반응을 보였고, 서혜부에서 Obturator nerve, Iliohypogastric nerve, Ilioinguinal nerve, Genitofemoral nerve가 양성 반응을 보여서 위 신경들이 병리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혹시 모를 정계 정맥류를 배제하기 위해 외부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환자의 증상을 골반과 요추 주변의 염증에서 기원한 문제로 보고 2월 23일까지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약침을 시행하였으나 환자의 통증 정도가 NRS 7 정도에서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치료 결과 NRS가 7 이하로 감소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고 직업상 일하는 시간이 많고 오래 앉아있어,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지속되면서 3월 2일 치료부터는 치료 방향을 변경하였다.
통증의 원인을 골반과 요추 주변의 염증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는 동작 및 부위들을 확인하고 상체를 펴면 고환까지 당긴다는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에 관한 설명을 참고하여 치료 방향을 과거 복부 수술한 부위로 수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진단한 결과 상체를 굴곡하고신전함에 제한이 걸리는 부위가 복부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한 수술 부위와 증상 호소 부위와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수술 후 발생한 유착 및 장액종이 상기 환자의 통증의 원인이라고 판단하고 이후 치료를 진행하였다. 지방 흡입 시술 부위였던 고관절 부근이나 좌골아래 부위에서도 다리를 외회전, 외전, 굴곡, 신전 시 모두 불편감을 호소하였기에 이 부위들도 같이 치료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시술부위들과 시술 부위에 대한 초음파사진들은 Fig. 1-4에 표시하였다.
상기 환자는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의 증상 호전을 위해서 2022년 12월 27일부터 2023년 4월 7일까지 총 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대한침도의학회의 치료법에 따라서 42차례의 침도 치료와 안면, 경추, 흉추 부위에 8번의 추나 치료, 한약 치료,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치료를 병행하였다. 상기 환자의 내원일 별 시술한 부위들과 NRS 수치 변화는 Table 1에 표시하였다.
Table 1 Treatment process
Visit day | Treatment | NRS |
---|---|---|
2022.12.27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joint, Gluteus Maximus 1-Line, 2-Line,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2.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9 |
2022.12.28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2.12.29 | Same with 22.12.27 | NRS 10 |
2022.12.30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2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4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 S1,S2,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 joint, Supra cluneal n, Iliac crest’s osteofibrous tunnel,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3.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8 |
2023.01.0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09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0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3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4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7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19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2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27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2 | Same with 23.01.04 Same with 23.01.04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nterior Abdominal Cutaneous N. | NRS 10 |
2023.02.04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06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4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21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3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2.28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3.02 | Change the treatment Part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S1, S2, 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1) Adhesion of the abdomen, buttocks, groin and genital ‘s skin 2) Patient’s skin of ABS plastic surgery Line 3) Adhesion of Groin part, Pubic symphysis, Pubis’ Superior Ramus, Inferior Ramus, Public Tubercle, Fat pad of Pubic Body 4) Fat above Adductors 5) Adhesion located in Neural pathway of Pudendal n, Peroneal n 6) Patient’s Operation part in gluteal muscle and Great trochanter part 7) Adhesion of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8) Gluteus maximus 1-Line, 2-Line | NRS 7 |
2023.03.03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7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8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9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10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14 | Same with 23.03.03 | NRS 4 |
2023.03.16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1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3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4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8 | Same with 23.03.03 | NRS 3 |
2023.04.04 | Same with 23.03.03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bdominis muscle’s Rib attachment Tendinous intersection of Rectus Abdominis | NRS 3 |
2023.04.06 | Same with 23.04.04 | NRS 3 |
2023.04.07 | Same with 23.04.04 | NRS 3 |
초음파 유도하 침도 치료로 복부 및 둔부, 서혜부, 성기 부위의 피부의 유착을 박리하였다. 또한 서혜부 양쪽에서 복근라인을 따라 초음파를 스캔하며 침도를 횡자하여 피부층을 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서혜부에서 치골결합 및 Pubis의 Superior Ramus, Inferior Ramus, Pubic Tubercle, Body부위 Fat Pad를 초음파 유도 하 침도를 이용하여 유착을 박리하였다. 또한 좌골 결절 내측에서 내전근 위 지방조직 박리하였으며, Pudendal Nerve와 Peroneal Nerve의 주행 방향을 따라 초음파 유도하 침도를 통해서 유착을 박리를 진행하였다. 환자의 양쪽 대전자 수술자국 부위에서 둔근 쪽으로 지방층뿐만 아니라 둔근 자체의 유착을 모두 박리하였고, 대한침도의학회에서 설정한 치료점인 대둔근 1선, 2선도 따로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환자분이 불편감을 호소하는 부위에 초음파를 통해 유착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확인하고 장기까지의 깊이를 확인하여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로 박리하였다.
초음파를 통해 침도시술을 반복하여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치료 중 상기 환자는 복부, 둔부, 서혜부, 치골 주변의 피부 근육층 아래 유착부위들을 치료하고 나니 원래 불편하던 곳인 성기, 서혜부, 항문까지 자극(찌릿한 느낌)을 호소하였다.
상기 환자에게는 통원 약침을 초음파 유도 하에 천신경총을 목표점으로 팔료혈에 시술하였다.
S1, S2, S3의 Foramen 각 부위마다 27GNeedle로 3-CC씩 시술하였다. S3 이하의 Sacral Foramen 경우는 Needle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들이 있었으며, 그럴 경우 치료점을 대체할 목적으로 주변 천장관절 및 천결절인대 등에 시술하였다.
상기 환자는 첫 내원시 열감이 존재하며 통증을 비롯하여 화끈거리는 느낌을 호소하였으며 비뇨기과를 포함한 양방의료기기관에서 염증 소견을 진단받아 왔다. 무엇보다 본원에 내원시 급격하게 진행되는 급성 염증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염증을 잡기위해서 시호와 황금을 넣었으며, 특히 시호는 환자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과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처방시 첩당 15 g으로 증량하여 처방하였다. 해당 처방의 구성은 Table 2에 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환자는 급, 만성 염증의 상태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기에 소시호탕을 처방하였다. 소시호탕에 녹용을 가감한 처방을 2022년 12월 27일에 처방하여 2개월 복용하였다.
Table 2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Sosigi-tang (小柴胡湯) | 柴胡 Bupleuri Radix | 15 g # 2 |
黃芩 Scutellariae Radix | 1 g # 2 | |
半夏 Dinelliae Tuber | 2 g # 2 | |
甘草 Glycyrrhize Radix | 2 g # 2 | |
生薑 ZingiberisRhizomaRecens | 2 g # 2 | |
大棗 ZizyphiFrcutus | 4 g # 2 | |
人蔘 Panax Jinseng | 2 g # 2 | |
黃芪 Astragali Radix | 2 g # 2 | |
陳皮 CitriPericarpium | 2 g # 2 | |
當歸 Angelicaegigantis Radix | 2 g # 2 | |
升麻 CimicifugaeRhizoma | 1.2 g # 2 | |
玄胡索 Corydalis Tuber | 2 g # 2 | |
蒼朮 AtractylodisRhzoma | 1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2 g # 2 |
이후 만성 전립선 증상 및 소변난을 호소하며 배뇨가 잘 안되어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야간에 빈뇨 증상과 골반 불편감이 동반되어 2023년 2월 27일부터 저령차전자탕에 녹용을 첨가하여 2개월간 처방하였다. 해당 처방의 구성은 Table 3에 표시하였다.
Table 3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Jeoreongchajeonja-tang | 澤瀉 AlismatisRhizoma | 4 g # 2 |
白茯苓 Pouria | 4 g # 2 | |
猪苓 Polyporus | 3 g # 2 | |
車前子 Plantaginis Semen | 3 g # 2 | |
知母 AnemarrhenaeRhizoma | 2 g # 2 | |
石膏 Gypsum Fibrosum | 4 g # 2 | |
羌活 NotopterygilRhizoma | 2 g # 2 | |
獨活 AlgelicaePubescentis Radix | 2 g # 2 | |
荊芥 SchizonepetaeHerba | 2 g # 2 | |
防風 Ledebouriellae Radix | 2 g # 2 | |
肉桂 Cinnamomum Cassia | 2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1.5 g # 2 | |
烏藥 Linderae Radix | 2 g # 2 | |
益智 AlpiniaeOxyphyllae Fructus | 2 g # 2 |
추나 치료는 상기 환자가 안면부 및 경추통증을 호소하여 상부 경추와 상부 흉추 위주로 치료하였다.
상기환자는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 이후 골반과 음부 통증 증상의 호전을 보고하였다. 2022년 12월 27일 초진시 NRS가 9 정도였으나 2023월 4월 7일 마지막 진료 날에는 NRS가 3까지 감소하여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치료 초반에 통증의 원인을 골반과 요추 주변 염증에서 기원한 문제로 판단하여 치료한 결과 NRS가 9에서 7까지 밖에 하락하지 않은 반면, 치료 중간에 환자의 과거 수술 및 시술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바꾼 결과 NRS가 4 정도로 증상이 급격하게 완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환자는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시술을 통한 수술 및 시술 부위의 유착을 박리한 첫날 시술 이후 ‘날아갈 것 같다’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치료 직후 증상이 완화되었으나 무리를 하면 증상 완화가 일시적으로 후퇴하였다. 이후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NRS가 3으로 감소하였으며, 환자가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감이 확실하게 줄었기에 해당 증상으로 인한 치료를 종결하였다. 추적 관찰한 결과 환자는 골반과 음부의 NRS가 2까지 줄어들었으며 큰 지장 없이 일상 생활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침도(Acupotomy) 시술은 유착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연부조직의 긴장을 완화하여 조직의 정상 기능을 회복시킨다. 또한 침도시술은 빠르게 근육 경련을 해소하고 정맥의 울혈을 개선하며 골내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3,9,10). 하지만 시술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에 큰 효용성을 가지는 침도는 근골격계 유착 및 신경 증상에 블라인드로 시행할 경우 불필요한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시술은 병소의 위치를 탐지하여 시술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침도가 도달하는 위치와 깊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 또한 초음파 가이드하 침도 시술은 초음파를 통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강점을 지닌다10).이에 따르면 복부의 경결과 유착에 초음파 유도하 침도 시술을 시행한다면 복부 장기를 피할 수 있고 주요 혈관이나 신경들을 피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상기 환자의 복부의 유착이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술로 인한 부작용 중 하나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골반과 요추의 염증으로 진단하고 치료하였으나 NRS가 9에서 7까지 밖에 감소하지 않고 치료를 진행해도 NRS의 변화가 없었기에 통증의 원인을 환자의 복부수술로 인한 부작용으로 보고 이에 따라 치료 방향을 설정하였다. 초음파 영상을 촬영하여 관찰한 결과 수술한 부위의지방층 및 근육층의 유착, 피하 부종(subcutaneous edema)들이 서혜부와 골반으로 진행하는 신경에 영향을 주어 움직임에 제한을 걸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1과 같이 cannula가 진입했던 광범위한 범위에 유착된 부위 및 피하 부종을 주요한 치료점으로 보았다.
치료 방향을 변경 후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에 초음파 유도 하 침도를 시행할 때 초음파 영상에서 유착이라고 추정 진단되는 지방층과 근육층, 근육 사이의 Hyperechoic한 부위를 진입할 때부터 정상 근육이라고 느낄 수 없을 정도의 저항감이 있었다. 또한 해당 부위에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시술시 주사를 하려고 하면 주사액이 들어가지 않고 주사기가 손상되었다. 또한 환자에게 불편한 부위를 손가락으로 지시하게 하고 기타 시술 부위들과 같이 지속적으로 시술한 결과 상기환자는 ‘시원하다’고 표현하였으며 NRS가 3으로 호전되었으며 그 이후 4월 7일 이후 치료를 10회 더 지속하여 NRS 1로 떨어졌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진은 상기 환자의 과거 수술 부위의 유착 및 피하부종이 환자가 느끼는 통증에 영향을 주었다고 진단 및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증례는 수술 후 후유증인 수술 부위의 유착으로 인한 불편감 및 통증이 수술 직후 바로 발생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이 지연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환자는 본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전 복부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을 20대에 여러 번에 걸쳐서 시행하였으며, 평상시 미세한 서혜부 불편감만 있었고 별 문제없이 생활하였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발생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기존 수술 지점의 유착된 부위들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진은 수술 후 생긴 광범위한 수술 부위의 유착이 수술 직후에 통증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통증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를 통해 유착 부위로 의심되는 부위를 치료했을 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 후 일정 기간 동안 형성된 수술 부위의 유착은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시술로는 주사기가 밀리고 약침액이 들어가지 않는 등 치료적 접근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를 대체하여 유착 박리된 조직을 푸는데 효과적인 침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들을 일정 부분 제거를 하여 환자의 NRS 수치 감소와 임상 증상의 개선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증례 보고로 후향적 성격의 연구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증례는 단일 증례 보고로서 확정적인 근거를 위해서는 추후 증례보고 혹은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의 증상 변화와 완화를 NRS라는 단일 지표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상기 환자가 과거에 지방 흡입 수술을 한 부위였으나 본원에서 초음파로 스캔시 정상으로 판단된 부위를 상기 환자의 진술에만 의거해 불편한 부위라고 판단하여 치료한 경우도 있었다. 때문에 앞으로 초음파 검사시 근골격계의 비정상인 조직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진단 기준들을 쌓아나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수술 후 초음파 검사상 수술 부위에 유착으로 추정되는 곳에 침도 치료를 통한 절개 및 박리한 결과 NRS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환자의 통증 및 증상이 완화되어 호전된 사례를 보고함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추후 추가적인 증례 보고를 통해 본 증례의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2023; 7(1): 7-14
Published online June 30, 2023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1.7
Copyright © Korean Medical Society of Acupotomology.
Jaeseok Kim1,* , Sehun Jung2 , Hongik Kim3
1Anapa Korean Medicine Clinic, Seoul, 2Sejong Public Health Center, Sejong, 3Gobu Public Health Subcenter, Jeongeup Public Health Center, Jeongeup, Korea
Correspondence to:Jaeseok Kim
Anapa Korean Medicine Clinic, 64, 3rd floor, Yangpyeong-ro, Yeongdeungpo-gu, Seoul 07222, Korea
Tel: +82-2-2635-3570
Fax: +82-2-2635-3573
E-mail: md.kimjaeseok@gmail.com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Adhesion after Liposuction can occur due to injuries to muscles and fascia, leading to skin adhesions, contracted fibrosis. In such cases, adhesions and fibrosis can be removed using Acupotomy. However, in the abdomen, there is a risk of damaging organs as the thickness of the muscle layer varies between individuals.
Methods: The surgical site and areas of complaint are observed in patients who complain of postoperative symptoms and pain-inducing movements. Ultrasound scans are used to confirm that the tissue suspected of causing problems is located 2-2.5 cm below the area where the patient reports pain, and Acupotomy are then used on the tissue.
Results: The ultrasound-guided Acupotomy treatment was continu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NRS to 3, and the patient’s discomfort in daily lif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Ultrasound-guided Acupotomy is effective for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abdominal etching. For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dhesion in the abdomen, there is a need for ultrasound guidance to consider anatomical characteristics.
Keywords: Ultrasound-guided acupotomy, Adhesion after operation
침도시술은 한의학적 침구이론과 현대의학의 수술요법을 결합하여 만든 신침 요법이며 연부조직을 유착, 박리하거나 절개, 혹은 절단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고질적 동통성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요법이다1). 연부조직의 병변에 발생한 유착(Adhesion)은 외상, 외과수술, 오랜 고정 이후 콜라겐 섬유가 주위조직에 늘어붙고 섬유화되어 연부조직의 정상적인 탄력성을 잃어버리게 만드는데, 이러한 경우에 침도 요법을 시행하면 유착된 연부조직 및 섬유화된 부위를 효과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2). 이와 같은 이유로 침도는 만성화된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에 임상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3).
Liposuction (지방 흡입술)은 미용 성형수술의 한 방법으로 Cannula라고 불리는 도구를 이용하여 지방조직내 지방을 끌어내어 빈틈을 만들고 흡입기를 통해 지방을 제거하는 것으로4),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시술된 성형 시술이다5). Liposuction은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과거에 단순히 지방을 제거하는 것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현대에는 몸을 조각하고 성형하는 수준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지방흡입술은 2017년 기준 남성들이 가장 많이 시술 받은 성형 수술이었으며 그 중 가슴과 복부의 지방 흡입술은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4). 지방 흡입 시 깊게 시술하여서 근육과 근막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의 유착과 퇴축된 섬유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수술 후에 압박이 심한 옷을 입거나 수술 부위에 고르지 않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부위에 유착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복부에 주로 발생한다6).
지방 흡입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은 부작용은 형태의 불규칙, 장액종, 색소침착, 흉터, 만성 경화 등이 있으며7) 한 연구에서는 미용 지방성형을 한 환자들 중 일부가 색소침착(66.18%), 장액종(29.97%), 섬유성 경결(19.9%)을 호소함을 보고하였고 대부분 자연스러운 경과로 4-8주 이내에 해당 부작용이 사라진다고 보았다. 다만 수술시의 과도한 절제 및 섬유질 절개, 지방 흡입시에 가해지는 마찰 및 압박, 의복에 의해 유발되는 압력, 지방 흡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섬유증이나 경결이 완고히 생길 수 있고 대부분 부신피질호르몬(corticoid treatment) 계열 치료제를 통해 증상의 경감을 기대하나 명확한 치료법이 존재하지는 않는8)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환자는 20대에 복부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 3회, 둔부와 내전부 부위 지방흡입 1회를 시행한 후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다가 갑작스러운 큰 외상 사고 이후 과거 수술 부위 주변 및 골반 및 서혜부, 음부 부위들의 통증의 양상이 요추와 천추 신경 레벨의 신경 증상이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진은 이를 복부 성형 후 발생한 유착 및 통증으로 인식하고 대한침도의학회의 치료법인 침도 치료를 초음파 유도 후 시행하여 호전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기환자는 20대에 9년에 걸쳐 지방흡입 수술 및 시술을 4차례 시행한 30세 남자 환자로, 아나파 한의원에서 2022년 12월 27일부터 2023년 4월 18일까지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 개선을 위한 치료를 진행하였다.
상기 환자는 21세와 24세에 상복부 지방 흡입, 25세에 서혜부, 하복부 지방 흡입, 29세에 허벅지 안쪽 지방 흡입을 시행한 환자로서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수술한 후에는 병원에 내원할 정도의 신체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으나 22년 8월 엘리베이터가 추락하는 외상 사고를 당한 후 증상이 매우 심해졌다. 환자는 걷거나 누워 있을 때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통증이 심한 날에는 잠을 자지 못할 정도였다. 상기 환자는 지속되는 극심한 통증으로 운동을 할 수 없었고, 시험 준비로 오래 앉아 있으면서 증상이 심해졌다. 본원에 내원하기 이전 정형외과와 마취통증의학과 병원에서 고관절 및 치골 염증소견을 진단받고 허리, 엉덩이 부위에 프롤로 주사 5회를 시행한 뒤 작열감과 근육을 도려내는 느낌은 조금 나아졌으나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본원으로 내원하게 되었다.
2022년 12월 27일 본원에 내원하여 환자의 통증을 검사해본 결과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천장관절, 좌골신경, 좌골결절, Inguinal ligament 부위에 압통이 있었으며, 치골 결합 부위에 열감과 손만 대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을 보였다. 또한 음부신경에서 당기는 느낌과 고환까지 당기는 통증과 성기 끝에 꼬맨 자국이 있는 곳에서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고환부위의 열감과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치골과 서혜부의 통증이 지속적으로 심한 상태에서 치골 부위는 마약성 진통제 복용하면 통증이 경감되었으나, 서혜부 쪽은 전혀 호전 없는 모습을 보였다. 신경학적인 검사를 위해 Pinch roll test를 시행시 Supra cluneal nerve, Infra cluneal nerve, Pudendal nerve, Perineal nerve가 양성 반응을 보였고, 서혜부에서 Obturator nerve, Iliohypogastric nerve, Ilioinguinal nerve, Genitofemoral nerve가 양성 반응을 보여서 위 신경들이 병리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혹시 모를 정계 정맥류를 배제하기 위해 외부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환자의 증상을 골반과 요추 주변의 염증에서 기원한 문제로 보고 2월 23일까지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약침을 시행하였으나 환자의 통증 정도가 NRS 7 정도에서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치료 결과 NRS가 7 이하로 감소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고 직업상 일하는 시간이 많고 오래 앉아있어,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 지속되면서 3월 2일 치료부터는 치료 방향을 변경하였다.
통증의 원인을 골반과 요추 주변의 염증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는 동작 및 부위들을 확인하고 상체를 펴면 고환까지 당긴다는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에 관한 설명을 참고하여 치료 방향을 과거 복부 수술한 부위로 수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진단한 결과 상체를 굴곡하고신전함에 제한이 걸리는 부위가 복부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한 수술 부위와 증상 호소 부위와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수술 후 발생한 유착 및 장액종이 상기 환자의 통증의 원인이라고 판단하고 이후 치료를 진행하였다. 지방 흡입 시술 부위였던 고관절 부근이나 좌골아래 부위에서도 다리를 외회전, 외전, 굴곡, 신전 시 모두 불편감을 호소하였기에 이 부위들도 같이 치료를 진행하였다. 주요한 시술부위들과 시술 부위에 대한 초음파사진들은 Fig. 1-4에 표시하였다.
상기 환자는 치골과 서혜부 불편감의 증상 호전을 위해서 2022년 12월 27일부터 2023년 4월 7일까지 총 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대한침도의학회의 치료법에 따라서 42차례의 침도 치료와 안면, 경추, 흉추 부위에 8번의 추나 치료, 한약 치료,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치료를 병행하였다. 상기 환자의 내원일 별 시술한 부위들과 NRS 수치 변화는 Table 1에 표시하였다.
Table 1 . Treatment process.
Visit day | Treatment | NRS |
---|---|---|
2022.12.27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joint, Gluteus Maximus 1-Line, 2-Line,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2.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9 |
2022.12.28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2.12.29 | Same with 22.12.27 | NRS 10 |
2022.12.30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2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4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 S1,S2,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 joint, Supra cluneal n, Iliac crest’s osteofibrous tunnel,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3.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8 |
2023.01.0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09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0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3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4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7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19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2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27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2 | Same with 23.01.04 Same with 23.01.04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nterior Abdominal Cutaneous N. | NRS 10 |
2023.02.04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06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4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21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3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2.28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3.02 | Change the treatment Part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S1, S2, 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1) Adhesion of the abdomen, buttocks, groin and genital ‘s skin 2) Patient’s skin of ABS plastic surgery Line 3) Adhesion of Groin part, Pubic symphysis, Pubis’ Superior Ramus, Inferior Ramus, Public Tubercle, Fat pad of Pubic Body 4) Fat above Adductors 5) Adhesion located in Neural pathway of Pudendal n, Peroneal n 6) Patient’s Operation part in gluteal muscle and Great trochanter part 7) Adhesion of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8) Gluteus maximus 1-Line, 2-Line | NRS 7 |
2023.03.03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7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8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9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10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14 | Same with 23.03.03 | NRS 4 |
2023.03.16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1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3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4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8 | Same with 23.03.03 | NRS 3 |
2023.04.04 | Same with 23.03.03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bdominis muscle’s Rib attachment Tendinous intersection of Rectus Abdominis | NRS 3 |
2023.04.06 | Same with 23.04.04 | NRS 3 |
2023.04.07 | Same with 23.04.04 | NRS 3 |
초음파 유도하 침도 치료로 복부 및 둔부, 서혜부, 성기 부위의 피부의 유착을 박리하였다. 또한 서혜부 양쪽에서 복근라인을 따라 초음파를 스캔하며 침도를 횡자하여 피부층을 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서혜부에서 치골결합 및 Pubis의 Superior Ramus, Inferior Ramus, Pubic Tubercle, Body부위 Fat Pad를 초음파 유도 하 침도를 이용하여 유착을 박리하였다. 또한 좌골 결절 내측에서 내전근 위 지방조직 박리하였으며, Pudendal Nerve와 Peroneal Nerve의 주행 방향을 따라 초음파 유도하 침도를 통해서 유착을 박리를 진행하였다. 환자의 양쪽 대전자 수술자국 부위에서 둔근 쪽으로 지방층뿐만 아니라 둔근 자체의 유착을 모두 박리하였고, 대한침도의학회에서 설정한 치료점인 대둔근 1선, 2선도 따로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다. 또한 환자분이 불편감을 호소하는 부위에 초음파를 통해 유착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확인하고 장기까지의 깊이를 확인하여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로 박리하였다.
초음파를 통해 침도시술을 반복하여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치료 중 상기 환자는 복부, 둔부, 서혜부, 치골 주변의 피부 근육층 아래 유착부위들을 치료하고 나니 원래 불편하던 곳인 성기, 서혜부, 항문까지 자극(찌릿한 느낌)을 호소하였다.
상기 환자에게는 통원 약침을 초음파 유도 하에 천신경총을 목표점으로 팔료혈에 시술하였다.
S1, S2, S3의 Foramen 각 부위마다 27GNeedle로 3-CC씩 시술하였다. S3 이하의 Sacral Foramen 경우는 Needle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들이 있었으며, 그럴 경우 치료점을 대체할 목적으로 주변 천장관절 및 천결절인대 등에 시술하였다.
상기 환자는 첫 내원시 열감이 존재하며 통증을 비롯하여 화끈거리는 느낌을 호소하였으며 비뇨기과를 포함한 양방의료기기관에서 염증 소견을 진단받아 왔다. 무엇보다 본원에 내원시 급격하게 진행되는 급성 염증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염증을 잡기위해서 시호와 황금을 넣었으며, 특히 시호는 환자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과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처방시 첩당 15 g으로 증량하여 처방하였다. 해당 처방의 구성은 Table 2에 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환자는 급, 만성 염증의 상태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기에 소시호탕을 처방하였다. 소시호탕에 녹용을 가감한 처방을 2022년 12월 27일에 처방하여 2개월 복용하였다.
Table 2 .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Sosigi-tang (小柴胡湯) | 柴胡 Bupleuri Radix | 15 g # 2 |
黃芩 Scutellariae Radix | 1 g # 2 | |
半夏 Dinelliae Tuber | 2 g # 2 | |
甘草 Glycyrrhize Radix | 2 g # 2 | |
生薑 ZingiberisRhizomaRecens | 2 g # 2 | |
大棗 ZizyphiFrcutus | 4 g # 2 | |
人蔘 Panax Jinseng | 2 g # 2 | |
黃芪 Astragali Radix | 2 g # 2 | |
陳皮 CitriPericarpium | 2 g # 2 | |
當歸 Angelicaegigantis Radix | 2 g # 2 | |
升麻 CimicifugaeRhizoma | 1.2 g # 2 | |
玄胡索 Corydalis Tuber | 2 g # 2 | |
蒼朮 AtractylodisRhzoma | 1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2 g # 2 |
이후 만성 전립선 증상 및 소변난을 호소하며 배뇨가 잘 안되어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야간에 빈뇨 증상과 골반 불편감이 동반되어 2023년 2월 27일부터 저령차전자탕에 녹용을 첨가하여 2개월간 처방하였다. 해당 처방의 구성은 Table 3에 표시하였다.
Table 3 .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Jeoreongchajeonja-tang | 澤瀉 AlismatisRhizoma | 4 g # 2 |
白茯苓 Pouria | 4 g # 2 | |
猪苓 Polyporus | 3 g # 2 | |
車前子 Plantaginis Semen | 3 g # 2 | |
知母 AnemarrhenaeRhizoma | 2 g # 2 | |
石膏 Gypsum Fibrosum | 4 g # 2 | |
羌活 NotopterygilRhizoma | 2 g # 2 | |
獨活 AlgelicaePubescentis Radix | 2 g # 2 | |
荊芥 SchizonepetaeHerba | 2 g # 2 | |
防風 Ledebouriellae Radix | 2 g # 2 | |
肉桂 Cinnamomum Cassia | 2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1.5 g # 2 | |
烏藥 Linderae Radix | 2 g # 2 | |
益智 AlpiniaeOxyphyllae Fructus | 2 g # 2 |
추나 치료는 상기 환자가 안면부 및 경추통증을 호소하여 상부 경추와 상부 흉추 위주로 치료하였다.
상기환자는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 이후 골반과 음부 통증 증상의 호전을 보고하였다. 2022년 12월 27일 초진시 NRS가 9 정도였으나 2023월 4월 7일 마지막 진료 날에는 NRS가 3까지 감소하여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치료 초반에 통증의 원인을 골반과 요추 주변 염증에서 기원한 문제로 판단하여 치료한 결과 NRS가 9에서 7까지 밖에 하락하지 않은 반면, 치료 중간에 환자의 과거 수술 및 시술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바꾼 결과 NRS가 4 정도로 증상이 급격하게 완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환자는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시술을 통한 수술 및 시술 부위의 유착을 박리한 첫날 시술 이후 ‘날아갈 것 같다’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치료 직후 증상이 완화되었으나 무리를 하면 증상 완화가 일시적으로 후퇴하였다. 이후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NRS가 3으로 감소하였으며, 환자가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감이 확실하게 줄었기에 해당 증상으로 인한 치료를 종결하였다. 추적 관찰한 결과 환자는 골반과 음부의 NRS가 2까지 줄어들었으며 큰 지장 없이 일상 생활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침도(Acupotomy) 시술은 유착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연부조직의 긴장을 완화하여 조직의 정상 기능을 회복시킨다. 또한 침도시술은 빠르게 근육 경련을 해소하고 정맥의 울혈을 개선하며 골내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3,9,10). 하지만 시술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에 큰 효용성을 가지는 침도는 근골격계 유착 및 신경 증상에 블라인드로 시행할 경우 불필요한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시술은 병소의 위치를 탐지하여 시술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침도가 도달하는 위치와 깊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 또한 초음파 가이드하 침도 시술은 초음파를 통하여 연부조직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하는데 강점을 지닌다10).이에 따르면 복부의 경결과 유착에 초음파 유도하 침도 시술을 시행한다면 복부 장기를 피할 수 있고 주요 혈관이나 신경들을 피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상기 환자의 복부의 유착이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술로 인한 부작용 중 하나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골반과 요추의 염증으로 진단하고 치료하였으나 NRS가 9에서 7까지 밖에 감소하지 않고 치료를 진행해도 NRS의 변화가 없었기에 통증의 원인을 환자의 복부수술로 인한 부작용으로 보고 이에 따라 치료 방향을 설정하였다. 초음파 영상을 촬영하여 관찰한 결과 수술한 부위의지방층 및 근육층의 유착, 피하 부종(subcutaneous edema)들이 서혜부와 골반으로 진행하는 신경에 영향을 주어 움직임에 제한을 걸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1과 같이 cannula가 진입했던 광범위한 범위에 유착된 부위 및 피하 부종을 주요한 치료점으로 보았다.
치료 방향을 변경 후 상기 환자의 수술 부위에 초음파 유도 하 침도를 시행할 때 초음파 영상에서 유착이라고 추정 진단되는 지방층과 근육층, 근육 사이의 Hyperechoic한 부위를 진입할 때부터 정상 근육이라고 느낄 수 없을 정도의 저항감이 있었다. 또한 해당 부위에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시술시 주사를 하려고 하면 주사액이 들어가지 않고 주사기가 손상되었다. 또한 환자에게 불편한 부위를 손가락으로 지시하게 하고 기타 시술 부위들과 같이 지속적으로 시술한 결과 상기환자는 ‘시원하다’고 표현하였으며 NRS가 3으로 호전되었으며 그 이후 4월 7일 이후 치료를 10회 더 지속하여 NRS 1로 떨어졌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진은 상기 환자의 과거 수술 부위의 유착 및 피하부종이 환자가 느끼는 통증에 영향을 주었다고 진단 및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증례는 수술 후 후유증인 수술 부위의 유착으로 인한 불편감 및 통증이 수술 직후 바로 발생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이 지연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환자는 본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전 복부 지방 흡입 및 복근 성형을 20대에 여러 번에 걸쳐서 시행하였으며, 평상시 미세한 서혜부 불편감만 있었고 별 문제없이 생활하였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발생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기존 수술 지점의 유착된 부위들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진은 수술 후 생긴 광범위한 수술 부위의 유착이 수술 직후에 통증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통증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초음파 유도 하 침도 치료를 통해 유착 부위로 의심되는 부위를 치료했을 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 후 일정 기간 동안 형성된 수술 부위의 유착은 초음파 유도 하 약침 시술로는 주사기가 밀리고 약침액이 들어가지 않는 등 치료적 접근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를 대체하여 유착 박리된 조직을 푸는데 효과적인 침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들을 일정 부분 제거를 하여 환자의 NRS 수치 감소와 임상 증상의 개선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증례 보고로 후향적 성격의 연구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증례는 단일 증례 보고로서 확정적인 근거를 위해서는 추후 증례보고 혹은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의 증상 변화와 완화를 NRS라는 단일 지표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상기 환자가 과거에 지방 흡입 수술을 한 부위였으나 본원에서 초음파로 스캔시 정상으로 판단된 부위를 상기 환자의 진술에만 의거해 불편한 부위라고 판단하여 치료한 경우도 있었다. 때문에 앞으로 초음파 검사시 근골격계의 비정상인 조직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진단 기준들을 쌓아나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수술 후 초음파 검사상 수술 부위에 유착으로 추정되는 곳에 침도 치료를 통한 절개 및 박리한 결과 NRS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환자의 통증 및 증상이 완화되어 호전된 사례를 보고함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추후 추가적인 증례 보고를 통해 본 증례의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Table 1 Treatment process
Visit day | Treatment | NRS |
---|---|---|
2022.12.27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joint, Gluteus Maximus 1-Line, 2-Line,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2.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9 |
2022.12.28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2.12.29 | Same with 22.12.27 | NRS 10 |
2022.12.30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2 | Same with 22.12.27 | NRS 9 |
2023.01.04 |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 S1,S2,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L1,L2, L3, L4, L5 Facet joint, Supra cluneal n, Iliac crest’s osteofibrous tunnel, Sciatic n, Genitofemoral n, Ilioinguinal n, Iliohypogastric n, Obturator n 3. Electroacupuncture-Groin | NRS 8 |
2023.01.0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09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0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3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4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17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19 | Same with 23.01.04 | NRS 7 |
2023.01.26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1.27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1 | Same with 23.01.04 | NRS 8 |
2023.02.02 | Same with 23.01.04 Same with 23.01.04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nterior Abdominal Cutaneous N. | NRS 10 |
2023.02.04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06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14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0 | Same with 23.02.02 | NRS 10 |
2023.02.21 | Same with 23.02.02 | NRS 9 |
2023.02.23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2.28 | Same with 23.02.02 | NRS 7 |
2023.03.02 | Change the treatment Part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Pharmacopuncture S1, S2, S3 Foramen 2.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1) Adhesion of the abdomen, buttocks, groin and genital ‘s skin 2) Patient’s skin of ABS plastic surgery Line 3) Adhesion of Groin part, Pubic symphysis, Pubis’ Superior Ramus, Inferior Ramus, Public Tubercle, Fat pad of Pubic Body 4) Fat above Adductors 5) Adhesion located in Neural pathway of Pudendal n, Peroneal n 6) Patient’s Operation part in gluteal muscle and Great trochanter part 7) Adhesion of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8) Gluteus maximus 1-Line, 2-Line | NRS 7 |
2023.03.03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7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8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09 | Same with 23.03.03 | NRS 6 |
2023.03.10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14 | Same with 23.03.03 | NRS 4 |
2023.03.16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1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3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4 | Same with 23.03.03 | NRS 5 |
2023.03.28 | Same with 23.03.03 | NRS 3 |
2023.04.04 | Same with 23.03.03 Add 1. Ultrasonography Guidance for Acupotomy Abdominis muscle’s Rib attachment Tendinous intersection of Rectus Abdominis | NRS 3 |
2023.04.06 | Same with 23.04.04 | NRS 3 |
2023.04.07 | Same with 23.04.04 | NRS 3 |
Table 2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Sosigi-tang (小柴胡湯) | 柴胡 Bupleuri Radix | 15 g # 2 |
黃芩 Scutellariae Radix | 1 g # 2 | |
半夏 Dinelliae Tuber | 2 g # 2 | |
甘草 Glycyrrhize Radix | 2 g # 2 | |
生薑 ZingiberisRhizomaRecens | 2 g # 2 | |
大棗 ZizyphiFrcutus | 4 g # 2 | |
人蔘 Panax Jinseng | 2 g # 2 | |
黃芪 Astragali Radix | 2 g # 2 | |
陳皮 CitriPericarpium | 2 g # 2 | |
當歸 Angelicaegigantis Radix | 2 g # 2 | |
升麻 CimicifugaeRhizoma | 1.2 g # 2 | |
玄胡索 Corydalis Tuber | 2 g # 2 | |
蒼朮 AtractylodisRhzoma | 1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2 g # 2 |
Table 3 Composition of herbal medication
Prescription name | Pharmacognostic name | Dose (g) per 1 day divide (#) 2 times |
---|---|---|
Jeoreongchajeonja-tang | 澤瀉 AlismatisRhizoma | 4 g # 2 |
白茯苓 Pouria | 4 g # 2 | |
猪苓 Polyporus | 3 g # 2 | |
車前子 Plantaginis Semen | 3 g # 2 | |
知母 AnemarrhenaeRhizoma | 2 g # 2 | |
石膏 Gypsum Fibrosum | 4 g # 2 | |
羌活 NotopterygilRhizoma | 2 g # 2 | |
獨活 AlgelicaePubescentis Radix | 2 g # 2 | |
荊芥 SchizonepetaeHerba | 2 g # 2 | |
防風 Ledebouriellae Radix | 2 g # 2 | |
肉桂 Cinnamomum Cassia | 2 g # 2 | |
鹿茸 Cervi PantotrichumCornu | 1.5 g # 2 | |
烏藥 Linderae Radix | 2 g # 2 | |
益智 AlpiniaeOxyphyllae Fructus | 2 g # 2 |
December 2024
pISSN 2982-9976
eISSN 2983-0273
Frequency: Semiannual